View : 934 Download: 0

여고생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여고생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조진희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Test is useful tool which chooses and evaluates social members in modern society. Especially, students are estimated their ability through test, and they compete with peer group. Test not only makes many students go through mental and psychological pressure, but also causes psycho-physiological disorder(headache, dizziness, insomnia etc.), emotional disorder(mental depression, despair, anxiety etc.), and psychosis. Test also can bring about juvenile problem such as school-work resignation, school attendance rejection, disappearance from home, irregularity, drug abuse, suicide. Consequently, test anxiety, which feel unrest at a important valuated situation, has been studied since 1980 s with interest in Korea. Though many precedent studies which have tried to examine closely correlative or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other variable have the same result that test anxiety and the personal factor of a testee are closely related, there are few of studies that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chool·environment, social factors and test anxiety. Thus, this context select family factors, that greatly affect personal development, and school·environment factors, that students spend their most of time in significant interaction, as variable, with personal factor which generally studied in connection with test anxiety; analyze how these factors effect on test anxiety; present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students who experience test anxiety. In this study, dependent variable is test anxiety defined as the individual variations of the tendency of anxiety which can be seen in a valuated situation important to a person. Independent variables considered as a factor which influences dependent variable are personal traits composed of academic self-concept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disposition, family traits composed of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parents and siblings support, and the degree of a variety support offered from parents and siblings, and school·environment traits composed of teacher s educational expectation, teacher and friend support, the degree of a variety support the degree of a variety support offered from teacher and friend, and friend s test anxiety.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the test anxiety of students. 2. The traits which influence the test anxiety of students. 3. The influence of three traits(individual, family, school·environment) about test anxiety. 4. The verification of the influence referred in No. 3. 5. The base of social work approach for parents, teacher and friends as a environment surrounding person, as well as person who experiences high test anxiety.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cond-grade-girl-students studying at high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ata are as follows. 1. The lower have they academic self-concept, the higher is test anxiety, and external control disposition strengthen test anxiety. Thus, hypothesis 1-1 and 1-2 are accep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accountability of personal traits is 25.6%, so hypothesis 1 is accepted. 2. The group with more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is more likely to have high degree of test anxiety, and hypothesis 2-1 is accepted. Siblings suppor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mean varies in U-shape. Thus, hypothesis 2-2 is rejected. In case of the degree of a variety support, only parents emotional and valuational suppor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hypothesis 203 is partially accepted and 2-5 is reje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accountability of family traits is 7.7%,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F = 7.894), thus hypothesis 2 is accepted. 3. According to the T-test, teacher s educational expectation and support, and friend s support have no differences in significance. Thus, hypothesis 3-1, 3-2, and 3-4 are rejected. In case of the degree of a variety support, only teacher and friend s emotional and valuational suppor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roups, so hypothesis 3-3, 3-5 are partially accepted. Hypothesis 3-6 - the higher experience friends test anxiety, the higher is test anxiety - is accepted, because contrast of test anxiety is significant between high and low grou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accountability of school environment traits is 22.6%, thus hypothesis 3 is accepted. 4. Overall, the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accountability of test anxiety is highest when personal traits, family traits, and school·environment traits are applied together. In other words, test anxiety is influenced by all of these traits, and especially academic self-concept, friend s emotional·valuational support, friend s test anxiety, parents scholastic achievement pressure ar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considered. 1. Test anxiety will not be treated as a personal problem any more. It must be groped interventions for well-being promoting of students experiencing test anxiety, and need to activate the school social work as one of interventions. 2. The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which changes personal external control disposition into internal control disposition is required. 3. Individual and group counsel is necessary to help personal academic self-concept, especially studies academic ability self-concept that can be regarded as confidence of own ability among the sub-factor. 4. Intervention programs are necessary for the family, especially parents who have the students experiencing test anxiety. These are demanded for parents to sublate over-expectation to the achievement without consideration of children s academic ability and speciality, offering unconditional support, parents inconsistent rearing attitude and over-regulation, over-protection and so on, and to make right and functional family surrounding. 5. Group programs with peer group are demanded to reduce anxiety of the students experiencing test-anxiety. When social workers intervene to the test anxiety problem of individual, she or he must practice group programs, like a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and a tension relaxing training program, not limit intervention target but expand to the peer group because the peer group share even mental things, like test-anxiety. 6. When social worker grasp social and family support of the student experiencing test anxiety and intervene, worker must educate supporter to face the students with love and concern, and to give approval or advice according as they are right or not. 7. It is necessary for the student experiencing test anxiety to purpose base of intervention by arranging a change of recognition s conversion that test anxiety is a kind of social anxiety in capability-based society. ; 시험은 현대사회에서 사회구성원을 선택·평가하는 유용한 도구이다. 특히 학생들은 시험을 통해 타인으로부터 학업성취능력을 평가받고, 다른 학생들과 비교, 경쟁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험은 많은 학생들로 하여금 심리적, 정신적 압박감을 경험하게 하며, 시험이라는 스트레스는 두통, 현기증, 불면증 등의 정신생리적 신체증상, 우울, 절망감, 불안 등의 정서장애, 심한 경우에는 정신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학업포기, 등교거부, 가출, 비행, 약물남용, 자살 등의 청소년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개인이 중요한 평가적 상황에서 불안을 느끼는 시험불안은 우리나라에서도 80년대부터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시험불안과 다른 변인들간의 상관적 혹은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던 많은 선행연구들이 시험불안과 피험자의 개인적 요인이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에 일치된 견해를 보이고 있고, 가족적 요인이나 학교·환경적, 혹은 사회적 요인과 시험불안과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시험불안과 관련하여 주로 연구되어온 개인적 특성과 더불어 개인의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가족적 특성 및 학생들이 의미있는 상호작용을 하며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환경적 특성을 변수로 선정하여 이 특성들이 시험불안에 어떠한 영항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통해 시험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에 대한 사회사업적 개입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시험불안이며, 이는 개인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평가상황에서 나타나는 불안 경향성의 개인차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려된 독립변수는 학문적 자아개념, 내외통제성향으로 구성된 개인적 특성,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부모 및 형제의 지지, 부모 및 형제가 제공하는 형태별 지지정도로 구성된 가족적 특성, 그리고 교사의 교육적 기대, 교사 및 친구의 지지, 교사 및 친구가 제공하는 형태별 지지정도, 친구의 시험불안정도로 구성된 학교·환경적 특성이다. 연구의 구체적 내용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의 시험불안 정도를 파악한다. 2. 학생들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파악한다. 3. 시험불안에 대한 세 가지 특성, 즉 개인적 특성, 가족적 특성, 학교·환경적 특성의 영향력을 살펴본다. 4. 시험불안에 대한 개인적, 가족적, 학교·환경적 특성의 영향력에 대한 종합적 검증을 한다. 5.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험불안도가 높은 학생 개인에 대한 접근뿐만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환경인 부모와 교사 및 친구에 대한 사회사업적 접근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중이 2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문적 자아개념이 낮을수록, 그리고 외적통제성향을 가질수록 시험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문적 높을수록 시험불안이 낮을 것이라는 [가설1-1]과 내외통제성향에 따라 시험불안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1-2]는 긍정되었다. 또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개인적 특성군이 시험불안의 전체 25.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적 특성은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은 채택되었다. 2.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을 많이 받는 집단이 적게 받는 집단보다 시험불안도가 높게 나타나 [가설2-1]은 지지되었다. 부모 및 형제의 지지정도는 형제의 전체 지지정도만 집단간 시험불안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평균치가 U자형으로 변화하여 부모와 형제의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시험불안도는 낮을 것이라는 [가설2-2]와 [가설2-4]는 기각되었다. 또한 형태별 지지정도의 경우,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부모 지지형태의 제공 정도에 따라 시험불안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2-3]은 부분적으로 긍정되었고, 형제 지지형태의 제공 정도에 따라 시험불안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2-5]는 부정되었다. 또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가족적 특성군이 시험불안의 7.7%을 설명하고 있으며 F = 7.894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가족적 특성이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는 지지되었다. 3. 교사의 교육적 기대, 교사의 지지정도, 친구의 지지정도는 T-test결과 상·하집단의 시험불안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교육적 기대가 클수록 시험불안도는 낮을 것이라는 [가설3-1], 교사와 친구의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시험불안도는 낮을 것이라는 [가설3-2]와 [가설3-4]는 기각되었다. 형태별 지지정도의 경우, 교사와 친구의 정서적, 평가적 지지만 집단간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교사와 친구의 지지형태의 제공 정도에 따라 시험불안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3-3]과 [가설3-5]는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또한, 친구의 시험불안도가 높을수록 시험불안도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3-6]은 상·하집단의 시험불안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채택되었다. 학교·환경적 특성군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시험불안의 22.6%를 설명하여 학교·환경적 특성은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은 채택되었다. 4. 전체적으로 각 변수들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종합적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적 특성, 가족적 특성, 학교·환경적 특성을 모두 투입하였을 때 시험불안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험불안은 이 모든 요인들의 상호적 영향력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가운데 특히 학문적 자아개념, 내외통제성향, 친구의 정서·평가적 지지, 친구의 시험불안,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시험불안을 더 이상 학생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고 넘어갈 것이 아니라 시험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복지 증진의 차원에서 개입이 모색되어야 하며, 그 방법 중 하나로 학교사회사업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2. 개인의 외적통제성향을 내적통제성향으로 변화시키는 인지-행동적 접근이 요구된다. 3. 개인의 학문적 자아개념, 특히 하위요인 중 앞으로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으로 표현할 수 있는 학업능력자아개념이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돕는 개인 및 집단 상담이 필요하다. 4. 시험불안을 경험하는 학생의 가족, 특히 부모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자녀의 학업능력이나 특기 등을 고려하지 않은 성취에 대한 지나친 기대나 무조건적인 지지제공, 부모의 일관성 없는 양육태도나 부모의 과잉통제, 과보호 등을 지양하고 올바르고 기능적인 가족환경을 만들도록 부모에게 개입하는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5. 시험불안을 경험하는 학생의 불안 감소를 위해 또래집단과의 집단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시험불안과 같은 심리적인 부분까지 또래집단은 공유하기 때문에 사회사업가는 개인의 시험불안 문제에 개입시 개인으로 개입 대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친구집단에게까지 개입의 범위를 확대하여 스트레스 대처훈련 프로그램이나 긴장완화 훈련 등의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6. 사회복지사는 시험불안을 경험하는 학생의 사회적 및 가족 지지망을 파악하여 개입할 때, 지지 제공자로 하여금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을 대하여 주며, 그들의 행위를 옳고 그름을 분별하여 인정해 주거나 부적절할 경우 충고를 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7. 시험불안이 능력위주의 사회에서 발생하는 일종의 사회불안이라는 인식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여 사회적으로 시험불안을 경험하는 학생들에 대한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