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2 Download: 0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자폐아의 사회인지능력 비교 : 사회적 참조와 공동주의하기를 중심으로

Title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자폐아의 사회인지능력 비교 : 사회적 참조와 공동주의하기를 중심으로
Authors
정석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자폐아의 사회인지능력 중 사회적 참조와 공동주의를 비교해 보고, 반응성 애착장애아 중 동작성지능이 보통수준이상인 유아와 보통수준이하인 유아간의 사회적 참조와 공동 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13개월부터 57개월 사이의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자폐아 32명이다. 사회적 참조는 낯선 상황절차를 진행하면서 권정혜(1990)의 측정도구중 유아의 응시 빈도로 측정하였고, 공동주의는 Mundy, Sigman와 Kasari(1990)의 측정기준 중 타인이 지시하는 곳을 바라보는 행동을 반응유무로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1. 자연스럽게 조성된 낯선 상황시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자폐아는 사회적 참조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2.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각성이 고조된 낯선 상황시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자폐아는 사회적 참조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3.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자폐아는 공동주의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4. 자연스럽게 조성된 낯선 상황시 반응성 애착장애아는 지능에 따라 사회적 참조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5.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각성이 고조된 낯선 상황시 반응성 애착장애아는 지능에 따라 사회적 참조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6. 반응성 애착장애아는 지능에 따라 공동주의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연스럽게 조성된 낯선 상황시 반응성 애착장애아는 자폐아에 비해 사회적 참조행동이 많았다. 2.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각성이 고조된 낯선 상황시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자폐아는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참조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폐아는 어머니에 대한 반응없이 놀이를 지속하였고, 반응성 애착장애아는 신체적인 회피를 보였다. 3. 공동주의 중 언어지시와 지적하기가 동시에 제공된 경우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자폐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언어지시만 주어진 경우에는 반응성 애착장애아가 자폐아보다 우수하였다. 4. 자연스럽게 조성된 낯선 상황시 반응성 애착장애아는 지능에 따라 사회적 참조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각성이 고조된 낯선 상황시 반응성 애착장애아는 지능에 따라 사회적 참조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반응성 애착장애아는 지능에 따라 공동주의 중 언어지시와 지적하기가 동시에 제공된 경우와 언어지시만 주어진 경우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들을 볼 때 반응성 애착장애아는 자폐아보다 사회적 참조행동이 많고 공동주의능력이 우수하였다. 또한 반응성 애착장애아의 경우 지능의 고·저에 따라 사회적 참조와 공동주의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반응성 애착장애와 자폐증이 사회인지능력면에서 구분이 되는 장애임을 밝혀준다. ;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mpare RAD infants with autistic infants as well as RAD infants whose LIPS are above the average with those whose LIPS are below the average in social cognition. A social referencing and joint attention were used to examine the social cognition. 32 infants(24 RAD, 8 autistic infants) ranged in CA from 13 to 57 months. Of the 24 RAD infants, 11 were matched as a group with the infants who had autistic on MQ. Social referencing was measured by the infants gaze frequency which is one of the Kown s measurements (1990) in SSP. Two measures(language, language+gesture) of joint attention were obtained using the Mundy, Sigman and Kasari(1990). The results from this study read as follow: 1. A social referencing in a natured SSP(Strange Situation Procedure) was RAD infants> MQ-matched autistic infants. 2. The RAD infan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autistic infants about the social referencing to their mothers in distressed SSP. RAD infants displayed avoidant behaviors and autistic infants played with the toy without any reaction toward their mothers. 3. Joint attention was RAD infants> MQ-matched autistic infants 4. Both social referencing and joint attention experiment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Q within the RAD infants.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RAD show significant difference from autistic disorder about the social cogn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