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3 Download: 0

교사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인 학교 생활과의 관계

Title
교사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인 학교 생활과의 관계
Authors
김남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교사효능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생의 성공적인 학교생활에 어느 정도 관련이 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학교생활 적응도를 외부 준거 변인으로 설정하여 각각의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11개 학교에서 중등학교 담임 교사 78명(남자 26명 : 여자 52명, 중학교 48명 : 고등학교 26명)과 담임 교사가 맡고 있는 학급의 학생 2,849명(남학생 1,552명·여학생 1,297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중에서 고등학교는 1개 학교가 여자고등학교였고, 1개 학교는 별도의 입학시험을 통해 학생을 선발하는 특수 남녀 공학 고등학교였다. 측정 도구는 교사에게는 교사효능감 척도가 사용되고 학생에게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및 학교생활 적응 척도가 사용되었다. 교사효능감의 올바른 측정을 위해 7문항으로 된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포함시켜 총 43문항으로 된 검사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는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영어의 학년말 종합 성적(1학기, 2학기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총 4회 성적의 평균)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교사효능감은 남자 교사가 여자 교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교사의 경력을 세 집단(1-2년, 3-9년, 10-18년)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들의 경력이 오래될수록 교사효능감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교사의 근무지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학교별(총 11개 학교)로 본 교사효능감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중,고등학교로 나누어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고등학교 교사들이 중학교 교사들보다 교사효능감이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α< .05). 5. 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학년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중학교 3학년보다 높았다(α< .05). 고등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학교급별 교사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사후검증 결과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 연구들과 일치하지 않는 결과로 우리나라의 중등학교 학생들은 교사의 교육적 신념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8. 교사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 연구들과 일치하지 않았다. 9. 교사효능감과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10.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r= .35)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자기조절효능감이 학업성취와 가장 관련이 높았다(r= .37). 11.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적응도는 정적인 상관을 이루었다(r= .22). 이러한 결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도 나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 적응도와 상관이 거의 없으며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도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교사효능감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이 없게 나타났다는 것은 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교육적 신념이 학생들에게 제대로 전달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반증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효능감을 높여 줄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이 요구되며 교사효능감이 학생들의 학업적 신념과 수행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사의 교육적 신념과 학생의 학업적 신념 및 학교 생활 적응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현 중등교육 현장에서의 교사와 학생간의 문제점을 밝혀내었다. 그리고 교사효능감은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어 학업성취도가 높아진다는 외국 문헌들의 결과가 우리나라의 중등학교 상황에서는 적용되지 않음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cher s efficacy, th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related social adaptation in the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Samples was taken for 78 teachers and 2,849 students of 78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eacher s efficacy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related social adapt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 s pedagogical belief was not efficiently conveyed to students on the pedagogical scene. To enhance the students academic belief and the performance, it was suggested that noble programs to train the novice teachers or experienced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and execu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