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현숙-
dc.creator최현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5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3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577-
dc.description.abstractUntil Now, the majority of the studies in the social uses of CMC have assumed that CMC(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has been used as an alternative to face to face communications. However, the uses of CMC have changed. In order words, CMC has become more common among the youth in today s society. More specifically, the uses of online chatting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now more frequent. The first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day validities of the "functional alternative hypothesis", as previously used a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CMC. The second goal is to find other factors that affect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CMC. In order to reach these goals, a surveys was conducted among CHOLLIAN users through e-mail. The first part of the survey consists of measurement scale on functional alternative hypothesis variables such as the user s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The second part of the survey consists of new variables such as amount of general CMC uses and chatting, antecedents in interpersonal attraction, the motives and real amount of face interaction, and the level of develop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CMC. The result of the first part of the survey was rather contrary to the functional alternative hypothesis . But the second part of the survey found that the new facto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evel of develop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urthermore, the motives and real amount of face to face interactions father affected the development of relationships through CMC. In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presently CMC is not a functional alternative to face to face communication, but rather that CMC with face to face communication is a good arena for making friends. ; 본 연구는 CMC를 통한 대인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지배적인 가설로 통용되고 있는 기능적 대안 가설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출발하였다. CMC를 통한 대인관계가 보편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CMC는 더 이상 대면접촉의 대안이 될 수 없을 것이라 예상하고 기능적 대안 가설에서 제기하고 있는 변인 이외의 다른 변인에 주목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CMC상의 사회정서적 이용량, 즉 대인관계의 양적인 측면에 집중하였는데, 본 연구는 관계 수준이라는 관계의 질적인 측면에 관심을 둠으로써, CMC를 통한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는 관계 발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PC통신 천리안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전자메일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0명의 응답자가 본 조사에 참여하였다. 기능적 대안 가설을 점검해 보기 위해 이용자의 내적 요인으로 사회성을, 외적 요인으로 대화조건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CMC 경험요인으로 통신이용량과 채팅이용량,대인매력 요인으로 친숙성, 성실성, 피상적 유사성, 심층적 유사성을 측정하였다. 그 다음으로 CMC를 통한 대인관계에 대한 기대와 특정 상대와의 만족감을 측정하였고, 대면접촉동기와 대면접촉량과 같은 대면접촉과 관련된 변인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관계발전을 의미하는 관계 수준을 측정하였다. 첫 번째, 기능적 대안 가설은 모두 부정되었다. 따라서 CMC를 통한 대인관계가 대면접촉을 위한 대안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CMC 경험요인과 관계 수준과의 관계에 대한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통신이용량이 많고 채팅량이 많을수곡 관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용자가 통신매체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가 관계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대인매력 요인, 즉 이용자가 상대방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요인과 관계 수준과의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친숙성, 성실성, 피상적 유사성, 심층적 유사성은 관계수준과 정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면접촉에서 설명력이 높은 개념인 대인매력 요인이 CMC를 통한 대인관계에서도 통용되고 있었다. 네 번째, 대면접촉 요인과 관계수준과의 가설 모두 지지되었다. 먼저 CMC에서 대인관계가 가능한가에 대한 기대와 CMC에서 만난 특정 상대와의 만족스러운 경험이 대면접촉 동기를 설명할 수 있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면접촉 동기, 대면접촉량은 관계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CMC를 통한 대인관계에서 대면접촉이 차지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CMC를 통한 대인관계와 대면접촉과의 관계가 더 이상 기능적 대안론으로 설명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제 CMC를 통한 대인관계는 대면접촉의 대안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CMC는 대면접촉보다 더 쉽게 대인관계를 맺을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하여, 새로운 만남의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 문제 = 6 II. 이론적 배경 = 7 A. 기능적 대안 가설의 문제점 = 7 B. CMC 경험요인 = 9 C. CMC에서의 대인매력 요인 = 10 D. CMC와 대면접촉과의 관계 = 18 E. 개념들과의 관계 = 21 III. 연구 방법 = 24 A. 연구설계 = 25 B. 연구절차 = 25 C. 응답자의 속성 = 26 D. 측정척도의 구성 = 31 E. 연구가설 = 46 IV. 분석 결과 = 48 A. 기능적 대안 가설 검증 결과 = 48 B. CMC 경험요인과 관계 수준 가설검증 결과 = 50 C. 대인매력 요인과 관계 수준 = 52 D. 대면접촉 요인과 관계수준 = 59 V. 연구의 요약 및 결론 = 68 A. 연구의 요약 = 68 B. 결론 = 71 C.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73 [참고문헌] = 75 <설문지> = 82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147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대인관계 발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신문방송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