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장용학 소설의 공간 연구

Title
장용학 소설의 공간 연구
Authors
장영은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장용학 소설의 특이함은 일찍이 문학사에서 여러차례 지적된 바 있다. 전후 현실 속에서 앞 세대를 부정하며 새로운 시대적 기치를 내걸어야 하는 시대적 임무를 부여받은 장용학을 비롯한 전후 세대의 정신적 공황은 심각한 것이 아닐 수 없었다. 앞 세대와는 단절감과 앞 세대를 향한 비판적 시선과 부정 의식은 작품 속에 그대로 투영되어 새로운 작품 성향을 발하였다. 특히 장용학은 그러한 전후 세대 작가 중에서 작품 성향의 특이함으로 주목받은 작가이다. 장용학 소설에서는 선적 시간적 질서와 그에 따른 정연한 서사구조 대신 난해한 철학적 사변이 직설적으로 토로되어 있으며, 꿈, 환상과 현실, 독백과 대화가 복잡하게 혼합되어 있다. 고전적인 서사 양식에서 벗어난 이러한 장용학의 소설 경향은 전후 세대의 대표적인 작가로서 그를 자리매김 시켰다. 이러한 장용학 소설의 형식적 새로움은 자유정신을 구현하고 이를 형상화하는 데 말미암았다고 볼 수 있다. 장용학 소설에 있어 ‘자유’는 현실 상황에 대한 부정정신과 비판적 사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속박을 강요하는 구체적 현실뿐만 아니라 이분법적 이념의 테두리에서도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장용학 소설은 비판과 해체를 그의 작품에서 그대로 보여주고 있으며 더 나아가 실질적으로 자유를 공간 안에서 보여주고자 하였다. 즉 장용학 소설의 주인공들은 모든 현실 상황이 양가택일적인 이분법적 논리에 기인하고 있음을 파악하고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공간을 지향하며, 결국 그러한 사유과정에 따라 경계공간을 선택하고, 비약적인 초월을 꿈꾸고 있는 것이다. 장용학 소설에서 인식으로서의 ‘자유’는 현실 공간에서의 ‘경계공간’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장용학 소설의 기본적인 테마로서 ‘자유’를 상정하고 장용학 소설에서 자유정신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구현되고 있는지 주로 공간을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본 논문은 장용학 소설의 공간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의 소설은 인물의 사유 과정에 따라 공간의 이동이 동질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다시 말해 항상 공간이동을 변화 있게 보여주었는데 이는 인물의 사유 과정에 대응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장용학 소설의 주인공들은 순수한 가치를 추구하는 인물들이다. 따라서 주인공들은 순수한 가치의 세계인 상공간을 지향하지만 인간적 한계로 인해 좌절하고 만다. 이와 마찬가지로 바깥 공간을 향한 적극적인 참여의지 역시 비속한 세계에 의해 좌절된다. 이러한 좌절의식과 지향 공간에 대한 부정의식은 결국 上下 공간과 內外 공간을 해체시켜 두 대립적 공간 개념들을 무력화시키며 이상적인 공간을 희구하게 되는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즉 경계공간에서 비약적인 초월에 이르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대립 구도의 해체는 ‘본래적 생으로서의 자유’를 추구하는 장용학 소설의 주제와 긴밀히 관련되는데 즉 상/하 공간이 다함께 자연공간으로서의 ‘내밀성’을 발견하고 합일함으로써 ‘본래적 생’의 특성을 강화시키고 있으며, 外 공간인 바깥 세계를 지양하고 이에 대립함으로써 내밀한 자연공간, 즉 ‘원시적이고 본래적인 생’을 지향한다. 그러나 장용학 소설의 주제인 본래적 생으로서의 자유를 추구하는 것은 현실 상황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세계는 이미 비속하며 강대한 힘과 허위, 기만을 본질적 속성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장용학 소설의 주인공들은 따라서 1)끊임없이 지향적 운동을 하여 경계공간을 순환하거나 2)경계공간에서 새로운 내세를 향한 초월을 검증하기 위해 자살하거나 3)그대로 세계에 패퇴하여 죽고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때의 경계공간은 접점이면서, 극단적인 공간인 동시에 자유로운 독립된 공간이므로 장용학 소설의 주제 의식을 상징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上下 대립 공간은 해체되고, 문명화된 바깥 세계는 적대시되며 이분법적 언어의 해체를 통해 바깥 세계의 허위는 폭로된다. 그러면서 선/악, 미/추, 성/속, 남/녀, 아버지/어머니 등과 같은 이분법적 대립항들도 해체괴고 부정된다. 지금까지의 장용학 연구는 내용중심이며 사상중심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을 교훈 삼아 上下, 內外, 경계 공간 유형을 토대로 공간의 이동과 인물 인식 과정의 동일한 의미망을 추출하기에 노력하였으며 더 나아가 장용학 소설의 담론적 특성을 고찰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로써 장용학 소설 연구에 있어 보다 새롭게 그의 미학적 특질을 밝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 The peculiarity in Jang, Yong-Hak s novel was pointed out many times earlier by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mental panic of the postwar generation including Jang, Yong-Hak who was assigned times mission as to post new and timely banners as to deny the foregoing generations in the postwar realities must be serious. The sense of rapture with the foregoing generations and critical vision and negative consciousness toward the foregoing generations were projected into the works as it was and incurred new propeusity of works. Especially, Jang, Yong-Hak is novelist noted by peculiarity of propensity of works among such postwar generation novelists. In Jang s novel difficult philosophical speculations are directly expressed in lieu of linear and timely order and orderly descriptive structure subject to it and dream, fantasy and reality and monologue and dialogue are mixed together in complexity. Such Jang s novel tendency get rid of classic descriptive style was positioned him as a leading novelist in the postwar generation. Such formal novelty of Jang s novel may be regarded due to realize free spirit and configurate it. In the Jang s novel liberty is based on negative spirit and critical thinking against the realistic situation. Jang s novel to seek for freedom within the flange of dichotomic ideology not only concrete reality to force bondage show criticism and dissolution as it is and further tried to show the liberty substantially within the space. That is to say, heroes in Jang s novel grasped that all practical situations are due to dichotomic logic which choose one out of two and to orient to space that is not belong to wherever and, to choose boundary space subject to such thinking process and dream for jumping transcendence. The liberty as recognition in Jang s novel is becoming concrete to be boundary space in the realistic space. Thereby, this thesis lists liberty as basic theme of Jang s novel and try to give consideration through space mainly how the free spirit configurate and realize in his novel. Subject to such problematic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study space of Jang s novel. The space move takes place homogeneously subject to thinking process by characters in his novel. In other words the space move showed with change at always and which being made in response to thinking course of characters. The heroes in Jang s novel are characters who seek for pure value. Since therefore, heroes head for upper space which is world of pure value however, they frustrate due to human limit. Likewise the aggressive participating intent toward the outer space also is frustrated by vulgar heading space disassemble up and down space and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after all and incapacitate the two confronting spaces and will march to the phase to hope for ideal space. That is to say, it tries to reach to jumping transcendence from boundary space. The disassembling of such a confronted plot closely related to theme of Jang s novel that seeks for liberty as the original life and that is, to strenghten feature of original life by discover and unit secrecy as being the natural space by the up and down spaces together, and head for secret natural space that is, primitive and original life by heading toward outside world which is the outer space and confront to this. To seek for liberty as the original life which is theme of Jang s novel however, cannot be made in the realistic situation. Because of why the world has been vulgar and has powerful force, falsehood and swindle as essential attribute. The heroes in Jang s novel therefore, 1)circulate the boundary space by heading movement ceaselessly or 2)suicide to verify transcendence toward the new life to come in the boundary space or 3)shows the aspect to die by defeat in the as it is. The boundary space in this instance is a point of contact as well as extreme space and free and independent space and therefore, it may be said as space to symbolize theme consciousness of Jang s novel. The up and down confronted space will be disassembled as these and the civilized outer world will be regarded with hostility and the falsehood of outer world is exposed out through disassembling of dichotomic language. Likewise such dichotomic confronted terms as good/bad, beauty/ugly, saint/mundane, male/female, father/mother and etc, will be disassembled and denied. Up to now study of Jang, Yong-Hak was mainly for the contents and analyzed with thought centered. Such point was took as lesson under this thesis I made endeavors to extract identical meaning only in the space movement and character recognizing process based upon the pattern of up and down, interior and exterior and boundary space and further made efforts try to give consideration of the discoursing feature of Jang s novel. By doing these I may have the wish that it may be helpful in clarifying his aesthetic characteristic more a new in study of Jang, Yong-Hak s nove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