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76 Download: 0

고려시대 혼인제도 연구

Title
고려시대 혼인제도 연구
Authors
권순형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Marriage is the starting point of making a family and home. And home has been the central domain of women all their lives, espicially before the modern age. While the marital institution refelcts the mechanism and the character of a society, it shows the life and the status of women in that society. This study, therefore, tried to find out the character of Koryo society and the status of Koryo women by investigating the marital institution of Koryo period. As for a preliminary step to look into the marital institution of Koryo society, this study analysed the Book of the Penal Laws in A History of Koryo; the Book was the sole and fundamental source to tell the system of the marital institution and show its character although it gave limited informations. As A History of Koryo had been written to justify the ruin of Koryo, it couldn t provide the whole body of the marital code of Koryo. So the research on the marital system of Koryo had to be supplimented to make up for the shortage of informations and to find out the actual running of the marital code with a case study and a comparative study with chinese marital code Discovering that the marital system of Koryo was composed of marriage, the restriction on adultery, and divorce, this study examined the required conditions for a marriage, the convention about the residence of the married couple, the regulations against adultery, and the divorce to find out the full extent of marriage in Koryo society. First of all, the required conditions for a marriage were investigated: the wedding was prohibited when the parents were in prison or when the bride or the groom had to be in mourning for their parents. The society didn t allow an intermarriage, a marriage between different classes, a doulbe-marriage, and a free marriage. Koryo society also had its own marital procedure and wedding ceremony; to be an approved marriage, a marriage should be arranged by the elders of the families and have a certain wedding ceremony following the chinese one. If not, it wasn t approved as a legal one. At the close of Koryo period, moreover, it was regarded as an adultery and punished under the doctrines of Confucianism. As for the convention about the residence of the married couple, Koryo society adopted the custom of soryubuga(a long stay at the bride s home after the wedding) while China had one of ch inyong. In Koryo society, people had closely related to the mother s and the wife s as well as the father s family. And sons and daughters had the equal heirship. Furthermore, the married daughter kept still her right in her family and her husband was treated as a son rather than as a son-in-law. So the custom of soryubuga was running ambilocally: the married couple stayed for a very long time at the bride s house, returned earlier to the groom s than usual, or had their own home for holding an office. Often this close relationship with his wife s family worked negatively against women; a man easily deserted his wife for the sake of his political ambition or his own needs. On the other hand, the Koryo society regulated adultery to preserve marriage as the ancient society did. Furthermore, it expanded its concept of adultery and the range of the punishment against it. While the ancient society imposed the penalty only to the married, Koryo society defined all the sexual intercourses as adultery except the marital ones and differentiated the penalties systematically. In general, the adulterous relationship between a master and a slave or the one between a public official and his people as wellas intermarriage were punished more heavily than those cases between commoners. But the punishments were also differentiated between the offenders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a male master and a slave girl wasn t regarded as adultery while the one between a female master and a slave man deserved a heavy penalty. and a man could not only report his wife s infideity to the authorities but kill both her and her adulterer in the very act of adultery. But a women hadn t this kind of right. On the contrary, listed her name on the janyuahn(an official document about unfaithful women) and becoming a sewing slave, the unfaithful women was deserted by her husband and her children were restricted in their social and political lives. After all, Koryo society was not open-minded to the sexuality and didn t grant the equal right to women unlike as it was believed. Divorce was usually established under the agreement of man and wife or caused from euijol(the legal separtion) of his or her spouse, but most of them resulted from kich o(deserting his wife) by a man. Though chilgoh(the seven causes for deserting his wife) was one of the reasons for the abandonment of his wife, the major motives of kich o were those for his political convenience or his ambitions. A man shared not only the honors but the punishments of his wife s family, because Koryo society admitted the close relationships with his wife s as well as his father s and his mother s family. Moreover, as Koryo society allowed remarriage, a man could easily desert his wife and remarry another women to escape the dangers in the power struggles of the ruling class and to perserve his wealth and political advantages. But women couldn t choose divorce for the same reasons, that is, they had no right to divorce. Based on those discussions, this study summarized and reconsidered the character of the marital institution and the status of women in Koryo society. The marital institution of Koryo had developed through four phases. During the reign of Taecho to Chungjong, the first phase, the marital code took its shape fo the first time, which was made refering to those of Dang and Shilla. And in the reign of Munjoung to Euijong, the second phase, while most systems and instituions of the society were arranged and developed, it was reorganized on the whole. Thus the new law against intermarriage was set up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intermarriage was a convention inherited from the ancient society and it had no restrictions. And as the society settled the class order concretely, it also set up laws to inhibit the marriage between different classes and to impose the restrictions on their children and their public lives. While the military officials took the power during the period of Myungjong to Kojon, there was no establishment of new laws or repeal of the existing laws. Even though the existing laws and institutions were kept all the same in those days, there were many illegal and unusual cases in the actual running of them. It was the time of political upheavel, so many people divorced and remarried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interests. And the man or the group that got the power wrongly did illegal acts frequently: some of them kept two wives and granted them honorable postions; hanpumsuhyong(the restrictions on the man of below class in taking an office) for the below class was loosened.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reign of Wonjoung to King Kongyang, the fourth phase, Won had it power on Koryo society. At that time, divorce and remarriage for the political convenience were flourished and many illegal cases came out. But the most serious problem of this phase was the deformation of the marital institution. Because Won demanded women as a tributory offering, chohon(early marriage), yesohje(predetermining a son-in-law), and polygamy were prevalent in the society. On the other hand, as the teachings of Chu-tzu was accepted as the ruling ideology of Koryo society, the society expanded and strengthened the range of the restrictions and the punishments against illegal sexual relations. The definitions of intermarriage was enlarged to include those between people who had same family names, and the indirect penalty which restricted the children and their public lives changed into the direct one to punish the offenders and have them be divorced. Then this study reconsidered the nature of women s status in the marital institutions; from the wedding to the divorce. Marriage in Koryo society was decided by the parents or the close elder relatives not by the woman herself. Though the wedding ceremony was performed at the bride s house and the married couple could choose their residence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none of this was resulted from the higher status of a wife. On the contrary, a woman was subordinated to her husband throughly: she shared his fate with him - she shared his honors and punishments with him. And she could be deserted if she had one of the seven deserting causes. Moreover she could be deserted if she had one of the seven deserting causes. Moreover she could be abandoned unfairly according to her husband s political and personal needs. On the other hand, she was forced to keep her chastity. And she was severly punished if she committed adultery or if she eloped with her adulterer. In the late Koryo period, the society ensured married women s right as a wife but it demanded her to keep her chastitiy after the death of her husband. This change reflected the fact that the ruling class of Koryo accepted the teachings of Chu-tzu as the governing ideology; the family order was considered as the important basis of a society and a country; and the marriage was regarded as the beginning of the family order; it was crucial to keep the family order and the marriage healthy for a good society and for a good country. This ideology was succeeded to Chosun and regulated women of Chosun society. ; 본고는 고려시대 혼인제도에 대한 연구이다. 전근대 여성들의 생활 영역은 가정이었고, 혼인은 이를 이루는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혼인에 대한 고찰은 여성사 연구의 핵심이 될 것이다. 또한 혼인은 한 사회의 구조나 성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사의 중심 테마이기도 하다. 본고는 고려시대 혼인제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고려 사회의 일면을 분석하고, 고려 여성들의 지위와 생활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간 고려시대 혼인제에 대한 연구성과를 보면 매우 미진하여 기초적인 사실들조차 거의 정리되지 못한 수준에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려 혼인제에 대한 범주를 정하고 가장 기본적인 사실들을 실증하는 작업부터 시작하고자 한다. 이에 제 2장에서는 고려 혼인제를 연구하기 위한 전제로서 『고려사』형법지 혼인 관련 조항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로써 고려 혼인제의 범주와 형법지가 가지는 사료로서의 의미와 한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려사』형법지의 내용을 통해 볼 때 고려의 혼인은 부부의 결합으로서의 혼인과 그 유지로서의 간음에 대한 규제, 그리고 그 해소로서의 이혼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형법지는 고려율이 현존하지 않는 상황에서 고려의 혼인율에 대해 알 수 있는 유일한 기초 사료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 형법지는 그 내용이 매우 소략하여 고려 혼인율의 전부를 말해주지 못한다. 또한 고려 멸망의 필연성과 조선왕조 건국의 정당화라는 목적 의식에서 작성되어 사료가 취사선택되기도 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형법지의 이용의 실제 적용성을 알아보는 것이 요구된다 하겠다. 제 3장에서는 혼인의 성립 요건이나 거주 규정, 간통 및 이혼에 대한 규정 등 고려 혼인제의 운영실태 전반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제 1절에서는 고려 시대에 혼인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가를 알아보았다. 시기면에서는 부모가 옥에 갇혀있다거나 親喪 중일 때 결혼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대상면에서는 同姓近親婚이나 신분 및 지위가 다른 사람간의 결혼, 그리고 이미 처나 남편이 있는 사람과는 결혼 등이 허락되지 않았다. 主婚과 절차면을 보면 혼인은 반드시 집안의 어른에 의해 중매를 통해 결정되어야 했으며 당사자 간의 자유혼은 인정되지 않았다. 또, 혼인을 하는 데는 중국의 혼인례에 준하는 일정한 의식이 있었다. 남녀가 만일 중매나 혼인의식을 거치지 않고 결혼했다면 이는 혼인으로 인정되지 않았으며, 주자학적 이데올로기가 수용되는 고려말에는 간통으로 간주, 처벌되기까지 하였다. 제 2절에서는 혼인 거주규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려의 혼인은 중국의 親迎制와는 달리  留婦家婚이었다. 그러나 서류부가혼은 기존에 알려져 있듯이 일률적으로 처가에서 장기간 머물다 夫家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었다. 처가에서 오래 머물기도 하고 남편집의 사정에 따라 일찍 夫家로 가기도 하며, 혹은 벼슬 등의 이유로 분가를 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다. 이는 양측적 친속 및 남녀균분 상속이라는 고려의 독특한 친족·상속제에서 비롯된다. 서류부가혼의 결과 고려시대에는 모계나 처계친과도 부계친 못지않게 가까왔고, 사위도 아들 못지않은 존재일 수 있었다. 딸에 대해서도 출가외인이라는 생각이 적을 수밖에 없었으며, 이에 아들과 딸 간의 차별도 그다지 심하지 않을 수 있었다. 그러나 처가와의 밀접성은 한편으로 정치적 이유 및 부귀와 출세를 위한 棄妻를 성행하게 했다는 역기능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제 3절에서는 혼인제의 유지라는 측면에서 간통의 규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간통에 대한 처벌은 이미 고대사회에서도 보이나 고려에 들어와 그 개념과 범위는 유교인식의 확산으로 보다 확대되었다. 고대에는 배우자가 있는 사람에 한해 간통죄가 적용된 반면 이 시기에는 혼인외의 모든 성관계를 간통으로 지칭, 처벌하였다. 또한 간통에 대한 처벌도 세분되어 간통자 간의 관계에 따라 형률에 차등이 두어졌다. 주인과 종이 간통을 했다거나 가까운 친척끼리 간통을 했다거나 관리가 자기가 관할하는 구역의 백성을 간통한 경우는 일반인 간의 간통보다 무겁게 처벌되었다. 그러나 여기서도 여성 차별이 보여 婢와 남자 주인의 관계는 간통으로 취급되지 않는 반면 여자주인과 남자종과의 관계는 重刑으로 다스려졌다. 또, 남편은 처의 간통에 대해 官에 고발하는 것은 물론 현장에서 姦夫와 함께 죽이는 것도 가능하였으나 여성에게는 이러한 권리가 없었다. 뿐만 아니라 여성들은 간통죄로 처벌된 뒤에도 남편에게 棄妻당함은 물론 恣女案에 올라 針工이 되었으며 자손들의 士路에도 제한을 받았다. 기존의 견해처럼 고려시대는 성 관계면에서 자유로운 사회도, 여성들이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가진 사회도 아니었던 것이다. 제 4절에서는 이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고려시대에 이혼은 부부의 합의하에 이루어지거나 부부 중 한 쪽이 義絶을 범했을 때도 이루어졌지만 남편의 일방적인 의사에 의한 棄妻가 대부분이었다. 기처는 여자에게 七去에 해당하는 사유가 있어 행해지기도 하였지만, 정치적 이유나 출세를 위해 행해지는 경우도 많았다. 고려는 친족제도 면에서 妻系나 母系와도 관계가 밀접하여 사위는 처가의 형벌에 함께 연루되고 영예도 함께 누렸다. 이에 정치적 격변기에는 형벌을 면하기 위하여, 평소에는 부귀나 출세를 구하기 위하여 처를 버리고 재혼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었던 것이다. 고려가 재혼이 금지된 사회가 아니라는 점도 이를 조장하였다. 그러나 정치적 이유나 상대 집안의 세력을 얻기 위해 이혼한다면 여자측에서도 이혼을 요구할 수 있어야 하나 실제로 여자측에는 거의 이혼권이 없었다. 이혼제의 측면에서 볼 때 고려 여성의 지위는 매우 낮았던 것이다. 제 4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고려 혼인제의 성격과 여성의 지위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제 1절에서는 고려의 혼인제가 시기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갔으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고려의 혼인제는 태조에서 정종까지를 제 1기, 문종에서 의종까지를 제 2기, 명종에서 고종까지를 제 3기, 원종에서 공양왕까지를 제 4기로 나눌 수 있다. 제 1기에는 당률 및 신라율 등을 참작, 고려의 혼비율이 처음으로 제정되었다. 제 2기에는 고려 사회의 여러 문물제도의 완비와 함께 혼인율 면에서도 대대적인 정비가 행해졌다. 고대 이래의 오랜 전통으로 이전 시기에는 규제되지 못했던 근친혼에 대해 처음으로 처벌규정이 마련되었으며, 고려의 신분질서가 확립됨에 따라 신분이나 지위가 다른 사람간의 혼인시 그 소생 자식을 규제하는 법도 나타나게 되었다. 제 3기는 무신집권기로서 새로운 법령의 제정이나 기존의 법령의 폐지 등이 보이지 않는다. 정치 제도 등과는 달리 혼인제 면에서는 앞시기의 법제가 그대로 유지되었던 것이다. 다만 그 운영면에서만 몇몇 불법사례들이 나타난다. 정치적 격변기였던 만큼 정치적 이유로 인한 이혼과 재혼이 빈번하였으며, 또 비상 수단으로 정권을 잡은 사람들 및 그들 집단에 의해 불법이 행해지기도 하였다. 처를 둘이나 얻고 모두 封爵을 받게 한다거나 천인 출신자의 限品敍用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제 4기는 원간섭기로 역시 정치적인 이혼과 재혼이 성행했고 불법적인 사례도 많았다. 그러나 이 시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원의 공녀징발로 早婚 및 豫 制, 一夫多妻制 등이 성행하는 등 혼인제도가 파행적으로 변화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한편으로 주자학이 도입되면서 혼인에 대한 규제 범위나 강도가 보다 강화되기도 하였다. 근친혼에 대한 규제는 同姓婚까지로 확대되었고, 혼인율을 어겼을 때의 처벌도 소생 자식을 규제하던 간접적인 것에서 당사자를 처벌하고 이혼시키는 직접적인 것으로 변화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제 2절에서는 혼인의 성립부터 이혼까지 혼인제 전반에 걸쳐 여성 지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우선 고려시대에 혼인은 여성 자신의 의사에 의해서가 아니라 부모나 가까운 친척 어른들에 의해 결정되었다. 결혼식은 처가에서 이루어졌고 이후의 거주는 다양했지만 이것이 절대적인 면에서 여성지위를 높게 유지해주는 것은 아니었다. 결혼생활에서 여성은 남편에게 종속된 존재로서 유순하게 정절을 지킬 것이 요구되었다. 여성의 지위가 높아지는 것은 남편의 공에 의해서였고, 여성이 처벌되는 것도 남편과의 관계 속에서 였다. 남편의 죄에 연좌되었음은 물론 남편을 배반하고 도망갔다거나 다른 남성과 간통을 하는 것은 중벌로 다스려졌다. 여성에게 七去 사유가 있으면 이혼당했으며, 이러한 사유가 없어도 정치적인 이유나 남편의 출세를 위해 불법적으로 기처되기도 하였다. 고려말이 되면 기처에 대해 제제가 가해지는데, 동시에 재혼에 대해서도 규제가 보인다. 즉, 처의 지위를 보장해 주는 대신 처에게는 남편 사후까지도 정절을 지킬 것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는 혼인을 人倫의 正始로 보아 가족질서를 바로잡는 것을 사회나 국가 통치의 기본으로 생각했던 성리학적 지배 이데올로기에서 나온 것이며, 이후 조선에 들어가 그 본격적인 적용이 행해지게 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