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5 Download: 0

기능적 보완대체 의사소통(AAC)도구 사용 훈련이 중도장애아의 물건사기를 위한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Title
기능적 보완대체 의사소통(AAC)도구 사용 훈련이 중도장애아의 물건사기를 위한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Authors
채수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의사소통 행동은 인간이 상호작용하는데 중요한 기술이다. 그러나 중도장애인의 경우 여러 가지 제한점으로 특정 상황에 필요한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고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보완 대체 의사소통(AAC)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기능적 활동에 알맞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AAC)체계를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내 실제 환경에서의 보완 대체 의사소통(AAC)도구 사용 훈련이 그 환경과 활동에 알맞은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보완대체 의사소통(AAC)도구 유형의 차이가 의사소통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기숙제 특수학교에 재학중이며 뇌성마비를 지닌 4명의 중도장애 초등학생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내의 가게에서의 물건사기 활동을 교육 환경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네 명의 장애 아동에 대해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와 평행처치설계(parallel treatment design)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에서는 AAC도구를 제공하였지만 이것의 사용을 위한 교수는 제공하지 않았다. 훈련은 교실에서 보완 대체 의사소통(AAC)도구를 구성하고 있는 버튼의 내용을 습득하게 하는 훈련과 직접 가게에서 보완 대체 의사소통(AAC)도구를 사용하여 물건사기활동에 필요한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을 습득하도록 하는 2가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일반화 검사는 훈련받지 않은 다른 가게에서 4회기 실시하였으며, 유지검사는 훈련 종료 3주 후에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4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 AAC도구 사용훈련을 통해 대상자 4명 모두 AAC 도구를 사용하여 물건사기활동에 적절한 의사소통 행동을 습득하였다. 둘째, 기능적 AAC도구 사용훈련을 통해 습득된 의사소통 행동은 훈련받지 않은 다른 가게에서 훈련수행수준 보다 높은 수준으로 일반화되었다. 셋째, 기능적 AAC도구 사용훈련을 통해 의사소통 행동은 훈련이 종료된 3주 후에도 일반화수준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넷째, AAC 도구 유형의 차이가 AAC 도구를 사용한 의사소통 행동의 습득, 일반화, 유지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기는 어렵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중도장애아들에게 기능적 보완대체 의사소통(AAC)사용 훈련은 이들이 실제 지역 사회 내의 활동에 필요한 의사소통 행동을 습득하고 유지하는 것과 훈련을 받았던 장소가 아닌 새로운 가게에서의 일반화에 효과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훈련에 사용한 AAC도구 유형의 차이가 의사소통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는 어렵다. ; Communication is an important skill for a human being to interact. In case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however, there is much difficulty in activity to communicate properly by various limiting factors. The training that enables communicative behaviors for functional activity is under way by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to overcome that kind of problems in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effect that AAC device training have on the proper communicative behaviors in the grocery, and whether the difference of AAC device types take effect on communicative behaviors. The subjects were 4 severely disabled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and mental retard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functional activity was buying things at the grocery. This study used parallel treatment design, and AAC device was offered without instruction for its use. The training consisted of preinstructing about the use of AAC device in the classroom, and prompting subjects to do proper communicative behaviors by AAC use. To see generalization effect, 4 data were collected at the other two groceries. To see maintenance effect, 4 follow-up data were collected after 3 weeks after termination of the train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all the 4 subjects acquired the proper communicative behaviors by AAC device for the activity through functional AAC device training. Second, proper communicative behaviors by AAC device were generalized at the other two groceries. Third, proper communicative behaviors by AAC device were maintained 3 weeks after functional AAC device training. Fourth, it is hard to consider that the difference of AAC device types take effect on acquisi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communicative behaviors. From the results above, functional AAC device training takes effect on the aquisition, maintenance of proper communicative behaviors by AAC device, and generalization at other groceries, but the difference of AAC device doesn t seem to have effect on communicative behaviors in this ac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