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9 Download: 0

On the autonomy of morphology

Title
On the autonomy of morphology
Authors
이유미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강어휘론의 입장에서 형태론이 하나의 자립적 체계로서 문법내의 어휘부 (lexicon)에 자리매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려는데 있다. 특별히 우리는 과연 형태부의 하위성분인 파생과 굴절 및 복합어 형성이 모두 통사부와 독립된 현상으로 볼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관심을 둔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형태론의 자립성에 관한 제언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수정하여, 이들이 모두 통합적으로 다루어지는 체계화된 이론의 틀을 제시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제 2장에서는 파생, 굴절, 복합어 형성을 공히 지배하는 형태부의 구조적 측면을 살펴본다. 먼저 형태론이 구성원소과 규칙면에서 통사론과 다름을 보인다. 무엇보다 형태부의 규칙은 본질적으로 연접규칙이며, 그 구조도 분기구조만을 허용하므로 통사부의 X-바 구조와는 구분된다. 이러한 연접과정에서 형태구조는 모두 형태적 주요부 결정 원칙 에 따른 비주요부-주요부의 공통된 결합양상을 보이며 주요부와 관련된 국부성 조건의 지배를 받는다. 또한 형태론에서의 여침의 체계는 비주요부의 여침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특성을 가지며, 형태론에서의 하위범주틀은 통사범주 자질 뿐만 아니라 형태론, 음운론의 제약까지도 포괄 기술하는 것으로, 이러한 복합적 제약으로 인해 형태론이 통사론 보다 비생산적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제 3장에서는 형태부의 의미적 측면을 살피고 의미해석에 필요한 형식체계를 제시한다. 형태부의 규칙은 모두 논항구조를 변화시키는 속성을 가진다는 Williams(1981a)의 이론을 받아들이고, 여기에 Event 의미역을 포함시킨 논항구조 이론을 발전시킨다. 형태론과 관련된 논항구조 변화양상은 합성 (Composition), 만족 (Satisfaction), 수식 (Modification)으로 나타나며, 이에 의거하여 파생, 굴절, 복합어 형성이 구별됨을 제안한다. 이러한 논항구조에 나타난 형태부의 의미특징은 통사부를 지배하는 투사원리를 위배하는 현상으로 더욱 형태부와 통사부가 구별되어야 함을 정당화 시켜준다. 제 4장에서는 이러한 이론의 틀안에서 영어의 형태론중 동사파생명사와 그와 관련된 동사성 복합어를 재분석 함으로써 논항구조 설정의 이론적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로써 동사 drive 에서 파생된 명사 driving 이 driving of a truck 및 truck-driving 에서 보여주는 의미양상이 논항구조 기술을 통해 일관성있게 설명된다. 여기에서 driving 은 자신의 논항구조를 가지는 Event 명사류로 정의됨으로써 동사성 복합어 형성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영어의 -ing, -er, -ation 등의 접미사를 가진 동사 파생 명사류들 각각의 의미적특성 및 규칙성과 불규칙성 까지도 논항구조를 통해 기술 가능함을 보임으로써 논항구조가 형태론의 의미해석에 필수적이 기재임을 입증한다. 제 5장에서는 형태론의 특성을 다시 한번 요약하고, 통사론과의 상호작용 문제인 굴절과 구절복합어가 이 이론의 틀 안에서 어떻게 수용되는지 간략히 검토한다. ;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demonstrate that morphology is an autonomous component and is located solely in the lexicon of the grammar. As a starting point, we take the demarcation problem: where should the three morphological operations of derivation, inflection, and compounding be dealt with, in syntax or in lexicon? In this theses, a unified framework to handle all the morphological operations in lexicon is proposed, after reexamining many of the proposals for the autonomy of morphology. The proposed framework is specifically based not only on the structural but also on the semantic aspects of morphological operations. In Chapter 2, we explore the structural aspect of morphology. Morphology has its own primitives, its own rule type, and its own principles and conditions. Above all, the morphological rule is an adjunction process and therefore the morphological structure is binary by nature. In the adjunction process, all the morphological structures show the head/nonhead relationship and are subject to the Head Identification Principle and the Head Visibility Condition. Morphology typically allows for a nonhead participation in Percolation Conventions and the argument structure inheritance. Morphological subcategorization frames include morphophonological information as well as syntactic information on their base. Therefore, the three morphological operations can be unified in terms of formal similarity. In Chapter 3, the semantic aspects of morphology are investigated, and then formal mechanisms to represent semantic interpretations are presented, on the basis of argument structure. As a leading idea, we adopt E. Williams (1981a) thesis that all the morphological operations affect argument structures and further refine the representation of argument structure with the Event theta role. When we examine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head and nonhead, the three morphological operations can be reclassified by their interpretive mechanisms of the Thematic Composition, the Thematic Satisfaction, and the Thematic Modification. In Chapter 4, we reanalyze the English morphology concerning deverbal nominalization and its related synthetic compounding within our framework in order to verity its theoretical adequacy. Our analysis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syntactic construction driving of a truck, and a morphological construction truck-driving, where the head driving is semantically defined as an Event noun and the relation between head and nonhead is defined as the thematic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emantic regular and irregular aspects of English deverbal nominals with -ing, -er, -ation, etc. affixes can be properly represented in this event-based argument structure. In Chapter 5, we summarize the above proposals as to the autonomy of morphology, paying attention to its differences from syntax and then briefly comment on the interaction problem between morphology and syntax.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