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원통의 변형에 의한 도자조형의 역동성 연구

Title
원통의 변형에 의한 도자조형의 역동성 연구
Authors
장유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예술은 인간의 내면세계를 새로운 영역을 통해 독자적으로 창조한 예술가의 조형언어이다. 예술은 하나의 인간 활동이며, 모든 사물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상징의 창조이다. 그 중에서도 합리적이며 순수한 조형의식을 갖는 형태로서의 기하학적 표현은 과거로부터 오늘날까지 예외 없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인간은 변화와 움직임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자연 속에서 생명력 그 자체인 자연의 영향을 받으면서 예술창작에 생동감 넘치는 역동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원통과 기하형태의 접합과 변형, 그리고 절단 등의 방법을 통하여 역동적 이미지로 조형화 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에 심리적인 창작 욕구를 자연스럽고 생동감 있게 표현할 수 있는 유기적 선의 동세를 통하여 역동적 이미지를 찾았고 기하입체와 역동성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의 주제인 원통의 역동성에 대한 조형화의 이론적 배경을 성립하였다. 이를 통해 조형은 현대예술의 모든 창조적 표현활동 속에서 추구되는 중요한 예술원리이며 원통을 소재로 한 작품 사례를 통하여 작가의 개성과 주관적 감성에 의해 다양하게 조형화 시킨 작품을 연구함으로써 본 연구자의 작품 제작에 참고하였다. 제작에 앞서 원통형과 직육면체, 반구 등의 기하형태를 부분적으로 단순화 시키고 변형시켜 장식적 표현으로 재구성하는 디자인 과정을 통해 연구자의 조형의식을 역동적 이미지로 형상화 시켰다. 제작과정 에서는 연구자가 의도한 자유로운 표현을 위하여 말아 올리기, 속 파기, 압축성형 등의 기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였고, <작품 1~9>는 조형물로 <작품 10>은 벽면조형물로 제작하였다. 태토로는 자유로운 표현과 다양한 질감을 위하여 수축률이 적은 석기질 점토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1차 소성 후 안정된 색감을 표현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흑유를 분무 시유하여 닦아낸 후 고화도 안료와 백색 무광택유, 연노랑 무광택유, 코발트유, 산화철유 등을 분무법으로 시유하였다. 소성은 1.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최고온도 850℃로 8시간 1차 소성하였고 2차 소성은 0,5m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최고온도 1,250℃로 9시간 산화염 소성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자는 원통의 다양한 움직임을 통해 도자에 역동성을 표현하였다. 역동적이며 생동감 넘치는 동세의 표현은 운동감을 주는 조형요소들을 작품의 조형성과 조화시켜 적절하게 작품에 도입할 때 효과적 표현이 가능해짐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기하입체와 원통의 조형화 과정에서 접합, 절단, 변형 등의 방법적 연구를 통해 형태적 특징에 관한 조형적 체험을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도 조형의 변화와 논리에 대한 여러 작가들의 역량과 연구의 노력이 다양한 도자 조형 작품을 통해 표현되기를 바란다. ; Art is an artist s modeling language made by uniquely creating through a new area. It is a part of human activity, and also the creation of imagination which can be derived from all objects. Geometric expression has appeared as a form of pure modeling ideas from the past to today. Also, human beings have desire to express dynamic character to their art creation affected by nature, vitality itself. This study had a purpose to model rhythmic image through set and transformation within a cylinder and geometric form and severance. I found a rhythmic image through an organic line and dynamic change where psychological creation desire can be vividly expressed, and establish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 cylinder rhythm, the subject of this study, through the general examination on geometric form and rhythmic character. Through this, modeling is an important art principle pursued in every modern art creation, and I made a reference to the examples of works with the subject of a cylinder to study works in which an artist s individuality and emotion is variously modeled. Before production, I formed my modeling thoughts into rhythmic image through partly Simplifying the geometric forms such as a cylinder, hexahedron, and hemisphere, and restructuring them into a decorative expression.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I used skills like digging, rolling, compression for free expression which I intended, and made into a modeling work, and in wall modeling work. For the purpose of creating effect of colorful image of coelenterates color engobe being produced through blending white engobe with 10% of fine stain and sprayed then for creating glazed surface transparent glaze was sprayed very thinly and then for creating overall effect of brightness and darkness as well as rich and stable atmosphere black glaze was sprayed to finish it. For firing work 1.5㎥ down draft gas kiln was used for the first firing and firing lasted for 8 hours at a peak temperature of 850 degree C and for second firing 0.5m gas kiln was used and firing lasted for 9 hours at a peak temperature of 1,250 degree C. As written above, I expressed rhythm to pottery through the various movements of a cylinder I also found that expressing lively rhythm can make a desirable expression when properly introduced to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work. Also, I could experience formal features through methodological study such as attachment, severance and transformation. I hope several artist s potent power and efforts of studying on the change and logistics of modeling will be expressed through various pottery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