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내열식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내열식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Authors
윤상아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대로부터 식생활은 인류의 기본생활이며 생존에 필요한 중요한 생활과정이고 가장 원초적이고도 필수적인 조건이다. 식생활 문화에는 식품의 산출, 조리가공, 식품의 풍습 뿐 만 아니라 용구와 식기도 포함되며 풍토와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각 민족 나름대로의 특성이 내재되면서 발달해 왔다. 어느 나라 어느 민족이나 그들의 고유음식은 문화와 더불어 시작되어 주위환경, 즉, 지리적 · 역사적 여건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고유한 식생활 전통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우리의 문화가 한국이라는 풍토와 자연환경을 그 배경으로 하여 발달해 온 바와 같이 우리의 식생활사도 우리나라의 풍토와 자연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발달해 왔다. 우리나라의 식생활은 밥을 주식으로 하며 기본 반상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습식요리이다. 탕, 찌게, 전골과 같은 습식요리의 음식은 부엌에서 조리를 하여 탕기에 담아 식탁에 옮겨서 음식을 먹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이다. 숯불을 사용하게 된 이후부터는 식탁위에서 음식을 조리하면서 먹는 새로운 식사방법이 생겨나게 되었고 식탁위에서 직접 조리하고 식사가 끝날 때까지 따뜻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전골남비, 신선로, 뚝배기 등의 내열식기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내열식기들은 금속재료를 이용한 그릇이 대부분이며 현재에는 옹기질의 뚝배기가 주류를 이루고 한정적으로 생산되어 시판되며 이에 대한 연구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어서 현대적인 감각과 조형성을 가진 개성 있고 새로운 디자인의 내열식기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자연이 만들어낸 아름다운 야채의 형태에서 이미지를 얻어 그동안 변화가 활발하게 나타나지 않았던 내열식기 디자인에 시각적으로 현대인들의 미적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고 사용하기 편리하면서도 기능적인 내열식기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문헌과 관련 자료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식문화와 내열식기의 역사에 대하여 살펴보고 내열식기의 현황에 대하여 시장조사를 하고 이에 따른 내열식기의 문제점을 지적하여 이를 보완하고 내열용기로서의 야채를 응용한 디자인으로 기능과 미적요구에 응할 수 있는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야채의 일반적 이론을 통해 야채의 정의와 종류들을 살펴보고 야채형태의 조형성을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연구하여 디자인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디자인 과정에서는 야채 형태의 재현을 기본으로 야채에 대한 기존관념을 확대하여 새로운 야채 형태를 표현하는데 형태의 단순화, 재해석, 반복, 축소, 확대 등의 방법으로 새로운 시각에서 야채의 새로운 디자인을 창조해 본다. 제작방법은 대량생산이 가능한 석고틀을 이용한 가압성형기법을 이용하였으며 태토는 내화성이 뛰어난 경남 산청군의 생초점토를 기본으로 하는 내열소지를 사용하였으며 소지의 특성상 소성후 태토의 색상이 짙어서 유약의 발색이 용이하도록 화장토를 태토위에 덧바른 후 유약을 시유하였다. 소성방법으로는 1차소성은 1.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8시간 동안 850℃ 까지 초벌하였고 2차소성은 같은 가마에서 9시간 동안 1250℃ 까지 모든 작품을 산화염소성하였다. 그동안 활발한 발전을 보이지 않았던 내열식기의 디자인 연구가 더욱 발전적으로 이루어져서 현대인들의 요구에 응할 수 있는 내열식기의 실제적인 기능과 장식적인 기능을 고루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이 개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야채 형태를 응용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새로운 형태가 창조되고 이는 자연 형태에서의 무한한 조형적 창조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를 통하여 내열식기의 관심이 확대되고 더 깊이있는 연구들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Since the beginning of evolution, human beings had to feed themseives. Eating is crucial part of our survival and a fundamental human habit. The food is hunted or grown, then cooked in a particular style using different tools and utility wares. The basic habit is more or less the same all over the world, however, their traits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nd condition of the region of the people s habitation. naturally, it is possible to state that each race has their particular method of attending food. This has also been influenced by culture. Every culture prepares their dish differently and since the ancient times, this has developed in accordance to the condition of the land. The Korean food is also very unique. Rice, like the bread in the west, it essential in a Korean meal. The rice is accompanied by a bowl of soup in every Korean meal. Furthermore, a stew or a soup-based dish is cooked in the kitchen and then served in a hot pot to maintain the heat, while being served throughout the meal. Therefore, because of such dishes, the Koreans had to develop a way of keeping the food heated throughout the entire meal. The Koreans have what is known as a Shinsol-ro(the pot for this dish is usually made out of brass and has a small opening at the bottom to keep a candle to heat the food during the meal) and a Dtuk-bae-gi(a pot made from clay). These types of pots are used to keep the food warm during a meal and today they are still being used extensively in Korean homes. Today, they are made out of stainless steel and onggi clay(earthenware red clay). The lack variety in both style and in material and they require to be further developed to fit the contemporary taste of the Korean people. Inspired by the shape of beautiful vegetables made by nature. the design of heat resistant ceramic wear which hasn t changed much till now makes its goal to develop one which can satisfy the aesthetical desire of modern people and be functional as well as easy to us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use of heat-preserving pots and how they can be further developed. The history of Korean food and their utility ware, have been researched as background material for this study. Then, the study concentrates mainly on Korean dishes that requires to be heated. Examining how function and aesthetics can be combined. This was then translated into the practical aspect of this research study, creating new forms and methods in clay. I want to look at the concepts and kinds of vegetables with general theory about them and to help to design studying their formative shapes through works of other artists. In design, to express new shape of vegetables by extending its traditional concept with the realization of its shape as basis, new design of vegetables are created from new point of view with simplification, reanalysis, repetition, reduction, and magnifications, etc. The shapes ware first made in plaster and then the press-moulding technique was used to creat the actual forms, A refractory clay was used for heat-resistance. This was then decorated with slips and then completed with a glaze. The first firing was for 8 hours reaching a temperature of 850℃ in a 1.5㎥ gas kiln. The second firing reached a temperature of 1,250℃ and it was fired 9 hours in the same gas kiln. This was an oxidized firing. It is important for the Korean people to examine this matter further to develop a ware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modern taste. I can find out the possibility of limitless formative creation from nature s shape by applying various shapes of vegetables and creating new ones with fresh view-point, and also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heat resistant ceramic wear of new design. I hope my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research on this field and furthermore, I hope that many people will take an interest in developing this particular wa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