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5 Download: 0

여인발복 설화의 연구

Title
여인발복 설화의 연구
Authors
김대숙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thesis concerns the archetype of “Palbok(blessed woman expelled from her own house)” narratives which, among the many types of orally transmitted narratives, is a particularly appropriate subject for a historical examination aimed at elucidating typical narra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main plot of a blessed woman expelled from her own house, meeting a charcoal man, finding a natural gold mine, becoming rich and meeting her family again, each version of the “Palbok” narrative implies a slightly different meaning according to the aspects of conflicts. The common type of oral tradition implies that fortune and misfortune together constitute both sides of the truth of life-felicity associated with bad luck-and reveal the transmitter’ outlooks on destiny in which a blissful person eventually gets to live well. While Bokjin I and Bokjin II are based on the same deterministic view, when they are compared to the “Naebok” version, the element of human will overcoming fate becomes apparent. These literary narratives, with their typical structure including the common types of oral tradition materials, are similar in conflict aspects to the “Naebok” type. ‘Ondaljeion’ is a story of the life of a royal subject, Ondal. The story of Ondal’s successful rise from obscurity highlights the role of a hero. The Moowang narrative is also centered around a “Palbok” narrative of Matoong’s rise from humble background to the throne. ‘Sam-gong-bon-pul-I’ shares the “Naebok” type epic structure in which a heroine is directly revealed as a rich goddess by her name Kan-eun-jang and by her ability to reverse her parents’ fortunes from poverty to wealth. Although based on a common structure, these types show characteristic differences. Among the points they share are: a heroine who brings prosperity to a man she meets after leaving her own house; superiority of the heroine to her mate; proximity of the man to mountains and trees; and the heroine’s ability to use gold to effect radical changes in the situation. The narratives differ, however, in the status of the heroine, her mate’s vocation, the cause of her leaving home, and the form of the gold. Based on research and synthesis the present writer has concluded that the “Palbok” narratives have a mythical background, and has uncovered the mythical prototypes. The “Palbok” narrative is assumed to have originated in a myth of a woman functioning as goddess of wealth and fertility with an affinity to gold and rice, who, on meeting a man from an inferior cultural level, brings him sudden wealth by turning him into a smith-shaman. Assuming this prototype, this thesis examines later variations in the narrative a long the three axes of heroine’s character and family relations, hero’s work, and the function of gold. In subsequent renditions of the narrative, the heroine’s character and family relations have undergone variation, her mythical powers have been gradually reduced, and from her original position of superiority she has been reduced to relative equality with the male character, whose role has been correspondingly enhanced. Changes in the male character’s vocation in subsequent versions of the myth are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e prototype a smith becomes a king; Matoong also becomes a king; a beggar becomes a captain; and a later version has a charcoal man becoming a rich man. These shifts reflect socio-historical changes, in particular, changes in the outlook of the storie’s underlying social class. The meaning of gold is assumed to have changed. Originally it was most significant as a metal for producing arms and ritual objects. Later the establishment of kingdoms depended the significance of gold as symbol of royal authority and strength. In the society centered around the hunting horseman, took on significance because by exchanging it for horses, the hero could enter the soldier-nobility. Finally gold’s function as pure exchange value is highlighted when the young charcoal man accumulates it to become rich. Because in later versions of the narrative the theme of life and death takes precedents over the poverty-prosperity theme, these versions omit the birth of the second generation. In these later versions the shaman-smith no longer has the highest social status, and the ability to refine gold has lost its power to determine success and failure. But because the main character remains a woman, echoes of shamanism mythology and the foundation myth remain. Changes in the narrative also reveal changed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original form “Palbok” stories related an encounter between a culturally and socially superior woman and a male inferior. But enhancement of the male’s status becomes evident paralleling the gradual rise of patriarchal rights and male socio-political dominance. This change in relative status is intensified by in subsequent versions of the “Palbok” narrative. In this sense the heroine of “Palbok” follows the carrier of the prototypical image of woman in epic tradition. ; 이 논문은 구전설화 유형가운데 전승사적 연구를 시도하기에 적합하면서 유형자체의 성격이 사적인 검토에서 가장 확실하게 드러나리라고 예상되는 “쫓겨나 여인 발복” 설화라는 한 상위유형에 대한 연구이다. “발복”이야기는 복있는 여인이 집에서 쫓겨나 숯구이를 만나고 생금장을 발견해서 부자가 된 후에 헤어진 가족과 재회하는 내용이 근간을 이루면서 각 유형마다 갈등의 양상에 따라 조금씩 다른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구전자료 공통유형은 복은 결국 박복과 짝하고 있어서 행운과 불운은 표리를 이루고 있다는 삶의 진실을 반영하면서 복 있는 사람은 결국 잘살게 된다는 전승자들의 운명론적 세계관을 드러내 주고 있는데 “복진I” “복진II” 유형은 그와같은 운명론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내복”유형에 비할 때 운명을 극복하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가 부각되고 있다. 문헌자료는 유형구조가 구전자료 공통유형을 포함하면서, “내복” 유형과 갈등의 양상이 유사하다. 온달전은 온달이라는 미천한 인물의 충성심을 기리기 위한 충신열전인데 주인공의 역할이 온달의 출세담 속에 포괄되고 있다. 무왕설화는 미천한 처지의 마퉁이가 왕이 되기까지의 출세과정에 “발복” 설화가 핵심이 되고 있다. 삼공본풀이는 “내복” 유형과 동일한 서사구조로 짜여져 있는데 주인공이 부신(富神)이라는 성격이 감은장이라는 이름과 거지인 부모를 부자로 만드는 전환에서 직접적으로 표출된다. 여러가지 유형들은 공통적인 구조와 요소를 기반으로 하면서 각각 상이한 특성이 있다. 인공은 번영(부)을 가져오는 존재이고 집을 나가 만나는 남자에 비하여 우월하며 남자들은 모두 산과 나무에 가깝고 여자가 금(金)으로 상황을 전도시키는 점은 공통적이다. 그러나 주인공의 신분, 남자의 생업, 집을 떠나게 되는 요인, 금의 상태등은 제각기 다르다. 이상과 같은 공시적인 연구를 거치면서 “발복” 설화가 신화적 배경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어 원형을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발복” 설화의 시원은 금과 쌀에 친연성이 있고 부신(富神)의 기능을 지닌 여인이 자신보다 문화단계가 낮은 남자를 만나 남편을 야장으로 전환시키면서 획기적인 번영을 이룩한 문화신화라고 추정하였다. 그와 같은 원형은 바탕으로 후대의 변모를 주인공의 성격과 가족관계, 남주인공의 일, 금의 기능이라는 세개의 축에서 살펴보았다. 주인공의 성격은 신화적 능력이 차츰 축소되는 방향으로, 가족관계는 여성과 남성의 역할과 위치가 여자쪽이 우월하거나 대등한 관계에서 점점 남자쪽의 역할이 강화되는 쪽으로 진행되었다. 남자들은 여자를 만나면 하던 일을 그만두고 전업해서 성공을 이룬다. 생업의 변모는 대장장이(Smith King)가 괴었던 원형에서 출발해서 마퉁이가 왕이되고 거지가 장수가 되고 숯구이(마퉁이)가 부자되는 등 사회사적 변모와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계층의 세계관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애초의 금은 아마도 쇠의 의미가 더 컸으리라 짐작되는데 신화시대의 재패하는 의기(儀器)와 무기의 구실을 하였을 것이다. 고대국가에서 금은 왕의 위엄과 힘을 상징하는 물건으로 왕위를 좌우하고, 수렵사회적인 성격이 잔존하는 사회에서는 말을 바꾸는 가치수단이 되어 주인공을 군사귀족으로 성취시킨다. 숯구이 총각에게 금은 교환가치로 가난한 그를 큰 부자로 만들어 주는 화폐의 구실을 대신하고 있다. “발복”설화는 삶(초공본풀이)과 죽음(이공본풀이)의 다음단계 즉 잘살고 못사는 일(빈부)을 주관하는 신화이며 그러기에 이세의 탄생이 없다. 이야기는 샤만과 대장장이가 사회의 최고위 신분이 아니며 금의 제련이 더 이상 쟁패를 가름하지 않게 되면서 신화적 성격을 잃어버리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주인공이 여성이기에 무속신화에 잔영을 떨구고 있으며 시조신화로 연계되고 인물전설에서는 남자의 역할속에 포괄되고 한편으로 구전되면서 민담화 된 것으로 생각된다. 애초에는 “발복”이야기가 문화적인 격차를 보이는 남녀의 만남으로 형성되었더라도 차츰 남성이 사회를 지배하고 가부장권이 강화되면서 여성들에게 대상기능을 담당하게 되었을 것이며 주인공이 점점 더 불행한 처지로 설정되면서 대상효과는 더욱 증폭되었을 것이다. “발복”설화의 주인공은 여성 원형상에서 비롯된 인물형으로 서사전통내에서 길고 넓게 관여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