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54 Download: 0

영국의 곡물법 반대연맹(Anti-Corn-Law League)과 곡물법 폐지

Title
영국의 곡물법 반대연맹(Anti-Corn-Law League)과 곡물법 폐지
Authors
박진숙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영국이 19세기에 자유무역주의를 채택하게 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로 인식되는 곡물법 폐지와 그 폐지만을 목적으로 형성되었던 곡물법반대연맹(Anti-Corn-Law League)에 관한 연구이다. 19세기 영국에서 자유무역주의의 채택은 1820년대 관세개혁과 1840년대 전반의 관세개혁, 1846년의 곡물법 폐지, 그리고 1849년 항해조례의 폐지라는 일련의 과정을 밟아 이루어 졌으며, 그 가운데 절정을 이룬 것이 곡물법 폐지였다. 그것은 곡물법이 규제하는 식량은 모든 국민의 필수품인 만큼 경제적으로 중요할 뿐 아니라 국가 안위도와 관계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에 관련된 농업분야는 전통적으로 가장 우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농업관련자(지주계급)는 당시 정부와 의회를 지배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영국에서 오랜 역사를 통해 농업을 보호하고 기존 세력을 보호해온 곡물법은 보호주의의 하나의 “정서적 상징”으로 간주되어 왔기 때문에 이를 폐지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따라서 곡물법 폐지를 가능하게 했던 자유무역주의는 단순히 하나의 경제이론이 아니라 정치적 및 사회적 의미를 갖는 광범한 사회적 정서적 신조였으며 종교적 믿음과도 연결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곡물법폐지가 갖고 있는 정치적 사회적 정서적 관련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것인 곡물법반대연명(Anti-Corn-Law League)의 활동이었다. 本稿에서는 이러한 곡물법반대연맹의 조직과 활동양상을 검토하여 19세기 전반의 민간단체의 실상을 밝힘과 아울러 이러한 민간단체가 당시 정부체제와 어떠한 관계가 있었으며, 정책 결정과정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는지, 즉 의회 의결과 聯盟의 활동과 압력은 어떠한 관계에 있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곡물법 폐지에 있어 “新型軍”(New Model Army)이었던 곡물법반대연맹은 1839년에 산업혁명이래 신흥 상공업 도시로 성장한 만체스터에서 새로운 부와 증대된 세력을 갖게 된 제조업자 및 상인들을 주축으로, 19세기 초반부터 여러 개혁운동에 관여해온 급진주의 개혁가들과 비국교도들로 조직되었다. 聯盟은 리차드 콥덴(Richard Cobden)과 존 브라이트(John Bright)와 같은 뛰어난 지도자들과 더불어 당시 가장 현대적이라 할만한 모든 방법과 수단을 동원하여 곡물법폐지를 위한 여론 조성을 위해 대중을 계몽하고 자유무역주의의 보급에 노력하였다. 그러나 곡물법은 의회에서 제정된 것이므로, 그 폐지는 의회의 의정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리하여 대의회전략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청원서 제출 및 서명운동이 전개되었고,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유권자들에게 선거인 명부의 열람 및 잘못된 것에 대한 是正을 촉구하는 한편, 새로운 유권자의 창출을 도모하였으며, 자유무역지지 입후보자를 위해 선거운동을 지원하기도 하고, 聯盟에서 직접 입후보자를 내세우기도 하며 명실공히 院外 정치압력단체로서, 나아가 “第3黨”과 같은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聯盟의 선거전략 내지 대의회전략이 가능했던 것은 제1차 선거법개정(1832)에 힘입은 바 컸으며, 聯盟의 곡물법폐지 운동은 이미 선거법개정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聯盟의 의회에 미친 영향은 제한된 것이었으며, 지역적으로나 이념적인 면에서, 그리고 타계급과의 관계에서도 몇가지 한계성을 노정시켰다. 그러나 聯盟은 곡물법 폐지문제를 정치가들이 의회에서 논의해야할 중요한 議題로 부각시키는데 성공하였으며, 언론을 포함한 일반 대중들의 여론을 폐지를 지지하는 쪽으로 조성하고 전향시키는데 성공하였다. 그리하여 곡물법 폐지는 1846년에 政黨을 초월하여 국민의 여론을 수렴하여 반영시키고자 했던 토리(보수)당의 로버트 필(Robert Peel)수상의 주도하에 달성되었다. 이는 경제적·사회적 상황의 변화에 따른 적응이었으며, 양보였던 것이다. 이후 자유무역으로의 추세는 순조로와 1860년대에는 전면적인 자유무역이 실시되면서 자유무역주의가 한 시대를 대표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 기여한 곡물법반대연맹은 19세기 초반에 가장 성공적인 민간단체로서, 여러 면에서 빅토리아초기 영국의 수 많은 중요한 문제와 사고, 발전을 상징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첫째로, 聯盟은 19세기 가장 대표적인 상업(무역)이데올로기인 자유무역과 그 대두를 나타내주며, 둘째, 자유주의의 상징이기도 하였다. 중세적 殘滓, 즉 봉권적 특권, 귀족정치의 失政과 계급입법에 대항하여 투쟁하였으며, 보다 자유롭고 폭넓은 정치 참여를 위해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셋째, 대두하는 중산계급의 정치 참여의 한 상징이기도 하였다. 당시 산업화의 영향으로 수적으로나 물질적으로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던 중산계급의 잠재력과 영향력을 과시하고, 전통적으로 지주귀족과 젠트리가 지배해 오던 정치적 獨占에 도전한 것이며, 마지막으로 낙관주의적인 진보에 대한 믿음의 상징이기도 하였다. 聯盟의 구성원들은 영국의 제도에 큰 신뢰를 가지고 보호주의라는 멍에만 없어지면 영국이 인류를 진보/향상시키고 평화로운 세계를 이끌어 갈 것이라고 믿었던 사람들이었다. ; This study explores the repeal of the Corn Laws and the Provisional Laws as the most important stage in the process of adopting free trade in the British commercial policy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study focuses on the Anti-Corn-Law League, formed for a single goal: the repeal of the Corn Laws. Free trade was adopted gradually in Britain through a series of tariff reforms in the 1820’s and the early 1840’s. These included the repeal of the Corn Laws in 1846 and the abolition of the Navigation Acts in 1849. Among these the key event was the repeal of the Corn Laws. Not only was the food regulated by the Corn Laws necessary for the people, it was also of importance to the British economy and national defense. Agriculture, a native industry, produced staple foods and was traditionally regarded as the predominant industry. In addition, agriculturists and landed interests dominated the Government and the Parliament. Since the Corn Laws were an “emotive symbol” deeply rooted in the protection of agriculture and the established politico-social system, it was hard to repeal the Corn Laws. Therefore, when Free Trace ideology was put into service to achieve the repeal of the Corn Laws, it appeared not as a simple economic theory, but as a set of social and emotional convictions, connected with religious beliefs with broad political and social meaning. Activities of the Anti-Corn-Law League well expose these rel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League not only to explore the facts and reality of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but also to understand how they exerted their influence on the policy making.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liamentary procedures on the one hand, and the activities and pressures of the League, on the other. At the same time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GO and the Government/ Parliament. The Anti-Corn-Law League, which was a “New Model Army” in the repeal of the Corn Laws, was organized in Manchester, a typical manufacturing and commercial city with emerged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1839. The core power of the League was the manufacturers and merchants in the Manchester area, Radicals(Reformers)who actively participated in various reform movements, and dissenters. The League had prominent leaders and spokesmen, such as Richard Cobden and John Bright, and it mobilized all sorts of modern methods and means to foster public opinion by enlightening the public about the Corn Law Repeal cause and to spread Free Trade ideology. However, since the Corn Laws were enacted by Parliament, a change in the law could only be obtained by a vote in the House of Commons. As a part of strategies to win over Parliament, the League organs carried out campaigns for collecting signatures and petitioning, and they examined and manipulated voters’ registration throughout the country. The League also created new voters by using the Reform Act of 1832 to secure proper qualifications, and the League supported Free Trade advocates in elections and by elections. The League’s organization became an extra-parliamentary pressure group action like a “third party”. Such activities were enable by the Reform Act, and therefore the League’s agitation for the repeal of the Corn Laws may be said to have been launched by the Reform Act. However, the impact of the League’s activities on Parliament was restricted, and the activities also exposed the limitations of region, ideology,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classes. The League was, however, successful in delivering the question of the repeal of the Corn Laws to the hands of politicians as an important issue to discuss in The House of Commons, and they were also successful in promoting and converting public opinion and the press to support the repeal. The repeal was accomplished in 1846(but the actual repeal was not achieved until Feb. 1, 1849)on the initiation of the Tory Robert Peel, Prime Minister, who chose to comply with public opinion beyond party politics. His measure was a concession to new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Thereafter the tendency toward promotion Free Trade continued until the end of the 1860’s when Free Trade was fully mature in Britain. The role and activities of the Anti-Corn-Law League, depicted as the most successfu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at the time, were crucial in the process of employing Free Trade as a dominant commercial policy in Victorian Britain. In many respects, the League itself is representative of various issues, ideas, developments in the early Victorian era. First, the League is a symbol of Free Trade. Second, it is a symbol of liberalism. It vigorously opposed medieval legacies such as feudal privileges, aristocratic misrule, and class legislation. The League also sought freer and wider popular political participation. Third, the League is also a symbol of middle class political participation. It demonstrated the potential and influential power of the middle class, which increased annually with industrialization. It challenged the politics traditionally dominated by lanced aristocrats and the gentry. Lastly, the League is a symbol of an optimistic belief in progress. Members had great confidence in Britain and its institutions and in the nation’s potential to lead a peaceful world and improve humankind if they were freed from protectionism shackl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