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1 Download: 0

18세기 京華士族의 시조 향유와 창작 양상에 관한 연구

Title
18세기 京華士族의 시조 향유와 창작 양상에 관한 연구
Authors
남정희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In the 18th century, the cultural conditions which were various in shape becoming complicated, the social constructional drawing was suddenly changed. This thesis reveals and investigates the real aspects of enjoyment of Sijo acted by Kyung Hwa Sa Gok(京華士族)-privilege rank that monopolized a honor and an official post in the 18th in Korean governing class. The specific aims are to analyze 240 poems of 28 poets who were active mainly in the 18th century, and then to inquire into an aesthetic sense of them. For an efficient discussion, this thesis is concerned with classfying works of Kyung Hwa Sa Gok into two periods. From this process, we observed the social culture conditions which became the base of the creation of the song and investigated the real aspects of the enjoyment and the analysis of work in parallel. In the main discourse, first I investigated the class quality of the poets as Kyung Hwa Sa Gok. They appeared in the latter halves of the 17th century, when it came to the 18th century, they acquired the true identity of class characteristic. The poets all, excepted Yoon You, Yoon Soon, Shin Jeong Ha, Cho Myong Li, Lee Kwang Myong, Cho Heon Myong(윤유, 윤순, 신정하, 조명리, 이광명, 조현명), were belonged to the No-lon(老論) party politically. They dwelled in Seoul and tied a relationship with academic and family connection among them. The poets lived even in geography near distance and they naturally enjoyed a poem and a song. They developed a noble and aesthetic culture which contains a poem, calligraphy, and picture.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new musical piece appeared. The new musical piece(今調의 數大葉)with quick rhythm gave people the sad impression. Kyung Hwa Sa Gok accommodated this musical piece and also they were tolerant of the new song(新飜) that the middle-class singers created. They and the singers interchanging with each other, from this process, they provided the theoretical base for the compilation of Chung Gu Young Yeon(靑丘永言). They in this time recognized Sijo(時調) with the art work and seriously appreciated it. The people who shares with same art taste in Sijo were gathered and they made a kind of the art association. The subjective emotion of the individual was disclosed in their Sijo in which they pursued the sense of beauty that is noble and elegant. In result, the ideological tendency being weakened, the poets of this time did not present an ethical and metaphysical model in the work.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rapid urbanization of Seoul was advanced and the space for song and its performance was magnified consequently. That times, various musical pieces were consumed and supplied in amusement circle. In this process, Sak Dae Yeop(數大葉), it was repeated to play a variation. And many musical pieces were derived from it. Kyung Hwa Sa Gok were tilting the interest in song of Sijo rather than in creation. Kyung Hwa Sa gok who particip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singers appeared in public and they became patrons. The patronage of them was classified with three branches-the creator type, the real sponsor type, and the simple consumer type, the last type increased little by little in the end. The Kying Hwa Sa gok poets accommodated urbane sensibility in work which they led various materials and understood the realities of life in terms of the keen insight. Those were reflected in work. They created Sa Sul Sijo(辭說時調) in this time. They sought the popular aesthetic sense through a writing Sa Sul Sijo(辭說時調) that made affect the change of Sa Gok s Sijo. By the discussions which precede, we will be able to place Kyung Hwa Sa Jok s Sijo in the history of Sijo. Most of all, Kyung Hwa Sa Jok didn t feel the necessity of creation of lyric for people s sensibility toward the enlightenment, and they didn t have any intention to maintain Sung-Jeong(性情) in people s heart and to educate people. But this attitude was a chance to overcome the closing characteristic of Sijo as Sa Dae Bu(士大夫) art genre. While the fixed purpose above ethical layer became weak, the universal logic that the song must give a deep impression in humam being s heart might be emphasized. And from association of the singers of middle class, Kyung Hwa Sa Gok changed their roles from the creator to the consumer and appreciator of Sijo. Kyung Hwa Sa Gok s Sijo, throughout this process acquired the characteristic to speak the sensitivity of the people of all classes. The literary theory of Cheongi(天機論), the theory of profoundness of mother Nature and its actions, which considered the sincerity of the natural temperament of each person very important. The Cheongi theory supported the idea of every living beings being entitled to liberally express their natural qualities through literary writings(like poems). In those times, that theory focused on the individual s feeling revealed by the action of the organs of perception. It placed song and poem in which they didn t cultivate mind but they expressed the sentiment of the human being. Chun Gi, a kind of energy which exists in human mind and body naturally, that is preserved very well in common farmers, women, and children. Kyung Hwa Sa Gok insisted that this Chun Gi, the natural sentiment was known to Sijo work. They thought that people could touch true feelings on this type of Sijo. Consequentlly the reason which people writes Sijo is not to the moral culture of mind but is to the excitement and the pleasant sensation. The speculation which had integrated the content and the form of Sa Dae Bu s Sijo was Confucian idea. Sa Dae Bu in the previous generation intended to preserve their mind and to give the human society and the nature an order. But Kyung Hwa Sa Gok was going to escape from like this traditional sense of value. They affirmed the subjectivity and the feelings of individuals in writing Sijo. It could be possible that they had more wide and free recognition of thing. Kyung Hwa Sa Gok as a poet didn t undergo a discord in heart and wander to overcome an agony of actuality. Escaping from this traditional sense of Sijo, they sought after free themes and various expressions in creating process and chose Sa Sul Sijo as a newly rearranged Sijo. In their work, they took the open attitude toward the world and the city which had been changed. On the other hand, Haeng Chon Sa Gok(鄕村士族) preserved the tradition of Sijo in the last period in their Sijo. The space of singing performance was changing. That times, it was Kyung Hwa Sa Gok who sensed keenly the change of the singing space and accommodated that facts in work. They recognized their rank in the center bureaucracy clearly and participated positively in the amusement of Sijo. The change of Korean society in the 18th century and vivid sentiment of people living in Seoul reflected in their Sijo. As a result, they had acquired variety of contents and had deep understanding of world in their work. ; 18세기는 다양한 문화 현상들이 착종되고 사회 구조도 급격하게 변한 시기였다. 본고에서는 18세기 경화 사족의 시조를 대상으로 하여 그 향유의 실상을 밝히고 작품의 창작 양상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8세기를 주무대로 하여서 활동하였던 경화 사족 작가 28명의 작품수 240여수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효율적인 논의 진행을 위해서 18세기를 전,후반기로 나누고 각각의 시기에 주로 창작 활동을 했던 사족 작가들을 구분하였다. 논의의 과정에서는 가창의 토대가 되는 사회적, 문화적 조건을 살피고 향유의 실상 고찰과 작품 분석을 병행하였다. 본론에서는 먼저 경화 사족 작가들의 계층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들은 17세기 후반기에 나타나 18세기에는 그 계층적 정체성을 획득하는 부류였다. 서울에서 누대로 세거하면서 벌열로서의 지위를 누렸고 당색으로는 노론에 해당하였다. 경화 사족 작가들은 윤유, 윤순, 신정하, 조명리, 이광명, 조현명 등을 제외하고는 모두 당색으로는 노론에 속했다. 이들은 서울에 거주하면서 학통과 학연, 혈연으로 묶여서 교류하였으며 지리적으로도 가까운 거리에 살면서 자연스럽게 시가를 향유하였다. 이들은 시,서,화를 아우르는 고상하고 심미적인 사대부 문화를 발전시켰다. 18세기 전반기에는 가창 공간에서 새로운 악곡이 나타났다. 이것은 금조인 삭대엽으로 빠른 리듬감과 슬픈 느낌을 준다는 특성이 있었다. 경화 사족들은 이 삭대엽을 수용하였고, 가객들이 창작하는 새로운 신번에 대해서도 관용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경화 사족들과 가객들은 서로 교유하고 있었고 이 과정에서 경화 사족들은 청구영언의 편찬에 이론적인 배경을 제공하였다. 이 시기 경화 사족들은 시조를 예술 작품으로서 인정하고 진지한 태도로 감상하였다. 서로 취향을 공유하는 사족들이 모여서 예술 동호인적인 모임을 가지기도 하였다. 이들은 시조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주관적 정서를 드러냈으며 격조 있는 미감을 추구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시기의 경화 사족의 시조는 이념성이 약화되고 있었고 사족 시조 속에서 윤리적이고 형이상학적인 모범이 제시되지 않았다. 18세기 후반기에는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서 가창 공간이 확대되고 유흥 문화의 유행으로 다양한 악곡이 소비되고 공급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삭대엽곡은 변주를 거듭하여 많은 곡들을 파생시켰다. 경화 사족들은 이러한 때에 시조의 창작보다는 가창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전대의 예술 동호인적인 모임이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가객의 연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족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화 사족들을 후원자로 지칭한다. 이 후원자들은 세 부류(창작 감상가류, 연행 후원자류, 단순 소비자류)로 나뉘어지며 시간이 흐를수록 단순 소비자류가 다수를 차지하게 된다. 이 시기 경화 사족의 시조 작품에서는 시정적인 감수성을 수용하고 다양한 제재가 나타났다. 또한 현실에 대한 이해와 관심도 높아져서 시조를 통한 작가의 현실 인식이 분명하게 드러났다. 이 시기에 가장 특징적인 양상은 사설시조의 창작이다. 경화 사족들은 사설 시조의 창작을 통해서 서민적인 미의식에 다가갈 수 있었고 그것은 사족 시조의 변모에 영향을 미쳤다. 앞선 논의들에 의해서 의미화 할 수 있는 18세기 경화 사족 시조의 시조사적 위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경화 사족들은 대민적 시가 창작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았고 시조를 통해서 성정을 수련하고 교화를 실천하려고 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러한 태도가 사대부 장르로서의 시조의 폐쇄성을 극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즉 윤리적 층위에서의 목적성이 약해지자 노래는 감동을 주어야 한다는 보편의 논리가 강조될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시기에 존재했던 가객 들과의 교류를 통해서 경화 사족들은 시조 창작자가 아니라 감상자, 소비자로 그 역할을 바꾸어 나갔다. 이러한 과정에서 시조는 사대부만이 아니라 모든 계층의 감성을 대변하는 장르로서의 특성을 획득하게 되었다. 이 시기 나타나는 천기론에 의한 인간 보편 감정의 강조는 결국 모든 계급의 사람들에게 상존하는 본래적인 情의 중요성을 드러낸 것이다. 이것은 시가의 창작과 향유가 인간의 내면을 닦는 수양의 차원이 아니라 인간 속에 본래 존재하고 있는 것을 발현하는 차원의 문제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시조는 사대부만이 아니라 모든 계급의 감성을 대변하는 장르로서의 특성을 획득하게 된다. 천기는 꾸미지 않는 상태에서 드러나는 것이므로 초동과 농부, 여항의 사람들이 오히려 잘 보존하고 있었다. 이것은 시조의 창작에서도 자연스러운 감정의 발산과 진정성이 드러나야 한다는 논리를 이끌어낸다. 결과적으로 이제 시조를 짓는 이유는 심성의 수양이 아니라 감동과 쾌감에 있는 것이었다. 사대부 시조의 내용과 형식을 통합했던 사유는 바로 유가적 이상이었다. 前代의 사대부는 시조 속에서 본성을 보존하면서 사회와 자연에 어떤 질서를 부여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18세기의 경화 사족은 이러한 전통적 가치관에서 벗어나고 있었다. 시조 창작에서 개인의 주관의 감각과 情을 긍정했고 그것은 좀더 자유롭고 폭 넓은 사물 인식을 가능케 한다. 경화 사족들은 현실을 소화해내기 위해서 내면적인 갈등과 방황을 일삼았던 작가가 아니었다. 이들은 사대부 시조의 전통적인 경향성에서 벗어나 좀더 자유로운 주제 의식과 다양한 표현을 작품 속으로 가져왔으며 사설시조를 선택했다. 경화 사족의 시조는 도시 공간이라는 현실 속에서 변화하는 세계에 좀더 개방적인 자세를 취했다. 반면에 향촌 사족들은 전대의 사대부 시조 전통을 유지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18세기 사대부 시조에서 변모의 동인은 경화 사족의 시조에 있었다. 이들은 중앙 관료층으로서 자신들의 계층에 대한 인식을 분명히 하고 시조의 향유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다. 사회의 변화를 시조 속에서 투영하면서 그 결과 인식의 범위를 확대했고 내용의 다양성을 획득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다양성은 향유 공간에서 시정적인 정서와 결합하는 양상을 띠면서 경화 사족의 시조는 인간 보편의 감정을 노래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시작 태도는 사족만이 아니라 여타의 계층과의 공감까지도 이끌어내는 작품을 생산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