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4 Download: 0

18, 19세기 기행가사의 작품세계와 시대적 변모양상

Title
18, 19세기 기행가사의 작품세계와 시대적 변모양상
Authors
유정선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에서는 기행가사의 창작전통이 정립되고 있는 18, 19세기의 작품들이 시기적으로 변모해가는 양상과 그러한 변모가 이루어지는 전후 맥락을 검토하는 것이다. 기행가사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기행가사의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통시적인 변화에 대한 고찰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특징적 성격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유형내적인 변모 양상의 검토를 통하여 시대적 변화의 국면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그 대체적인 윤곽과 취지가 1장에서 처리되 고 있다 2장에서는 기행가사의 변모과정을 검토하기 위한 작업가설이라 할 수 있는 유형화의 근거와 타당성, 그리고 18세기 이전의 기행가사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본 문에서 나눈 유형인 宦遊, 遊覽, 使行은 여행목적에 따른 분류로서 기행가사가 처음 대두하고 정립되는 과정과 맞물려 있으며 장편화 경향을 파악하는 유용한 잣대가 된다. 처음으로 기행가사가 창작되고 있는 16세기와 전대의 창작 양태를 모방 하면서도 새로운 유형의 태동을 보이고 있는 17세기는 과도기로 파악된다. 3장에서는 18세기에 창작된 작품들이 전개되는 양상을 검토하고 있다. 환유가 사는 외직 부임을 계기로 관장 구역의 통치적 요소들을 두루 살펴보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유람가사는 새롭게 대두한 산수유람의 취미를 반영하여 여행의 실제적 체험이 형상화된 경향과 처사의식이 투영되어 규범적인 자연인식을 보여주는 경향 이 병존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사행가사는 대외적 명분의식이 변화하면서 이국견문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4장에서는 19세기에 창작된 작품들의 작품세계를 검토하였다. 19세기에는 외연적으로는 장편화의 경향을 보이면서, 탈규범적인 성격이 나타나고 있다 환유가사의 경우 통치적 이념에 근거한 觀風意識과 題詠的 性格이 지속되고 있으며 공무수행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새로 창작된다. 유람가사는 금강산 유람으로 집중되면서 경관의 세밀한 묘사와 함께 경물에 얽힌 설화가 기록되는 한편으로, 금강산에 왕래하는 노정이 확대되면서 다채로운 풍물체험이 보고된다. 또 무명씨작가 계열의 작품들은 금강산을 불교적 관점에서 파악하면서 변화를 보여준다. 사행가사는 대외적 명분의식이 약화되고 이국의 신문물과 풍물에 대한 묘사가 확대된다. 5장에서는 3창, 4장에서 살펴본 작품 전개양상을 종합하여 18세기에서 19세기로 넘어가면서 나타나고 있는 변모양상을 살펴보았다. 장르적 성격의 변화로 장편화 경향이 눈에 띄고 이와 함께 기록물 지향성과 흥미 지향성이 강화되면서 공존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그 결과 개인적인 성격이 두드러지면서 장르적 개방성을 보이고 있다. 한편 작자층의 성격 변화로서 18세기에는 계층 지향성이 상대 적으로 분명히 드러나지 않는 가운데 처사의식이 강화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19세기에 이르면 새로이 京華를 지향하는 의식이 압도하면서 처사의식이 약화하거나 탈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작자층의 성격 변화와 기행가사의 변모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다. 6장에서는 기행가사의 변모가 지니는 가사문학사적 위상을 검토하였다. 전통적 가치가 도전받고 새로운 조류가 유입되는 사회현상 속에서 기행가사와 교훈가사,강호가사, 역사회고가사들은 경향이 전통적 가치가 해체되고 새로운 조류가 유입 되는 사회현상속에서 각기 다른 문학적 반응을 보여준다. 강호가사와 교훈가사, 역사회고류 가사는 모두 처사의식을 강화하면서 주자학의 이념을 재확인하고 대의명분을 강화하는 규범성을 지향한다 반면에 19세기에 창작된 기행가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탈규범적 성향과 보수적 대의명분론의 약화는 개방적인 사고를 보이고 있는 점에서 그 독특한 의의가 인정된다. 또한 기행가사의 창작전통은 여행의 욕구를 강렬하게 지닌 여성층이 근세 이후 적극적으로 기행가사 창작에 참여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있다. 위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기행가사는 18세기에서 19세기로 넘어가면서 장편화,양적인 증대, 다양한 관심사의 수용과 취급으로 요약되는 작품세계의 변모를 보이 면서 발전하고 있으며, 그 결과 다양한 독자층에 호소할 수 있는 장르적 개방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This is a study of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travel Gasa. Gasa is a traditional verse form with the rhythmic unit of four syllables, and travel Gasa has definitely established itself as a verse form of its own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This thesis is concerned with classifying works of travel Gasa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subject and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its interrelationship with the changing society. The first chapter broadly deals with the primary intention and outline of the thesis. The second chapter is devoted to examining the ground for classification as well as the literary-historical aspects of travel Gasa produced before the eighteenth century. Travel Gasa began to emerge in the sixteenth century and the succeeding century saw its gradual development. On the basis of works of travel Gasa produced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it can be classified into Whanyu (the inspection tour of local scholar-administrator),Yuram (the travel for pure sightseeing), and Sahang (the foreign travel of a diplomat or an envoy extraordinary) Gasa The third chapter is devoted to examining particular works of travel Gasa produced in the eighteenth century: works of Whanyu Gasa that deal with the inspection tour of newly appointed local administrators; works of Yuram Gasa that deal with the emerging sense of sightseeing; works of Sahang Gasa that deal with the increasing interests in foreign culture and current affairs. The fourth chapter is devoted to examining works of travel Gasa produced in the nineteenth century. It is worth noting that they tend to become longer in length and deviate from the conventional form. Works of Whanyu Gasa still retain their former features, treating materials related with official tasks of local administratirs. Works of Yuram Gasa mainly revolve around Mount Keumkang, focusing on the beauty of its scenery in detail and legends associated with it. Works of Sahang Gasa are chiefly concerned with depicting the customs and manners as well as beauties of mature of neighboring countries. The fifth chapter is devoted to the examination of changes both in form and subject which travel Gasa underwent at the turn of the nineteenth century. Travel Gasa gradually becomes both documentary-oriented and patime-oriented, gaining uniquely personal flavor. At the same time, with the change of social position of authors, the celebration of hermit s secluded life comes and goes. It is characteristic of the nineteenth century travel Gasa to celebrate and long for the relative convenience and pomp of the urban life. The sixth chapter is devoted to literary-historical examination and estimation of the changes noticeable in travel Gasa. The changing society with its values and mores exerts great influence on the changes of Kyohoon (instruction) Gasa, Kangho (seclusion) Gasa, Fego (historical retrospection) Gasa as well as travel Gasa. While other kinds of Gasa remain faithful to the ideology of orthodox Confucianism, it is characteristic of the nineteenth century travel Gasa, to deviate from the ideological norm of the day and to tend to embrace newly emerging forward-looking ideas. It is worth noting that, as the century advances, female authors increasingly join in producing travel Gasa. In short, travel Gasa with its open-mindedness has come to establish itself as a definite verse form that can appeal to wider reading public at this peri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