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3 Download: 0

대한제국 시기 관립학교 교육의 셩격 연구

Title
대한제국 시기 관립학교 교육의 셩격 연구
Authors
노인화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本 稿에서는 大韓帝國 時期의 官立學校를 체계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즉 민간이 중심이 되어 설립한 私立學校와는 다른 측면에서 위로부터의 교육 근대화를 시도하였던, 특히 당시 국가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지배층의 교육 근대화 작업의 실상과 허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大韓帝國 時期의 官立學校에는 기초 교육기관으로서 官立小學校, 중등일반교육기관인 中學校, 중등전문교육기관으로서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인 漢城師範學校, 새로운 국제관계에 대처하기 위히 설립된 官立外國語學校 및 光武政府의 실업진흥정책을 뒷받침할 수 있는 實業敎育機關 等이 있었는 바 이들 관립학교의 설립과 운영실태를 고찰하였다. 本 稿의 硏究對象 時期는 1895년 甲午敎育改革에서부터 日帝 統監府 권력에 의해 교육제도가 개편되는 1906년까지로 하였다. 甲午改革 때의 교육개혁안은 기본적으로 大韓帝國 時期에도 답습되고 있었기 때문에, 1895년에 설립된 官立學校도 함께 다루었다. 대한제국 시기의 교육 근대화 작업은 당시의 역사적 조건과도 관련하여 국가 주도로 추진되었다. 근대 교육을 주도적으로 담당할 만한 사회계층이 미성숙한 당시의 현실로 보아 국가에서 그것을 주도한 것은 오히려 당연한 시대적 추세로 보인다. 그런데 이 교육 근대화 작업은 대한제국 정부가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로 위기적 상황에 직면하고 있었다는 객관적인 조건에 의해 제약을 받는 동시에 지배계층 특히 황실권력의 안보와 이익을 온존시키는 방향에서 추진되었다. 또한 이 시기는 제국주의 열강이 그들의 對韓 식민지화 작업의 일환으로 문화적 침투를 획책하여 대한제국 정부의 교육개혁에 편승, 그것을 이용할 기회를 노리고 있던 시기이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교육 근대화 사업의 중핵을 차지하고 있는 官立學校의 교육도 실제 전개 과정에서 많은 변용을 겪고 있었다고 보인다. 그러므로 本 稿에서는 조선 후기 실학파의 교육 근대화에의 지향을 비롯하여 교육의 내재적인 발전 논리가 근대적인 교육개혁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 그리고 그것이 대한제국 시기에 이르러 어떻게 굴절되어 나갔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本 稿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 시각 아래 다음의 몇 가지를 중요 과제로 삼아서 그것을 밝혔다. 첫째, 大韓帝國 時期 官立學校의 설립 배경을 사상사적인 측면에서 밝혔다. 둘째, 관립학교의 설립 목표를 분석하여 官立學校 교육의 성격을 부각시켰다. 셋째로, 제국주의 열강의 정치, 경제적 침투와 병행하여 외세의 교육적 침탈은 어떻게 나타났으며 그에 대한 주체적인 대응과 교육의 근대화가 외세에 의해 어떻게 굴절되어 나갔는가를 살펴보았다. 넷째로, 官立學校의 교과목과 교과내용을 실증적 및 분석적으로 고찰하였다. 다섯째로, 大韓帝國 時期 산업진흥정책과 연결되어 나타난 實業敎育機關의 운영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산업진흥정책에 필요한 인적 자원을 공급하고자 했던 주관적 지향과 그 현상과의 괴리현상을 밝히고 그 요인을 분석하였다. 여섯째로 관립학교 졸업생의 사회진출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신교육 출신자의 사회 참여도를 밝혔다. 일곱째로 신교육이 사회변동과 사회적 신분 이동에 어떻게 연관되고 있었는가를 밝혔다. 이것을 위해 사회적 신분 이동에서 매우 중요하게 생각되는 官立中學校의 졸업생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하여 大韓帝國 時期 官立學校의 설립을 통해 본 교육개혁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로 대한제국 시기 관립학교의 설립은 조선 후기 이래 실학사상의 교육사상에서 나타난 바 있는 학교 교육을 통한 교육의 체계화, 교육 기회의 개방, 실용교육의 첨가등과 같은 교육개혁론을 내재적으로 발전시키면서, 동시에 일본을 통한 구미의 근대교육을 수용하면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둘째로 대한제국 시기의 관립학교는 甲午改革 때의 신학제를 기본적으로 답습한 것이었다. 그러나 대한제국의 산업진흥 정책과도 관련하여 관립학교 교육에서는 실업교육이 특히 강조되고 있었다. 당시 최고의 교육기관이었던 전국 유일의 중학교 교육에도 실업교육이 부과되고 있었다. 實業敎育機關에는 중등교육 수준의 학교로서 商工學校와 鑛務學校가 있었고, 단기 속성과정의 電務學堂, 郵務學堂, 蠶業養成所等이 있었다. 이러한 실업교육기관은 大韓帝國 政府의 산업의 근대화를 통한 自主富强의 국가 건설과 皇室 權力 强化라는 이중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것이다. 그러나 大韓帝國이 주체적인 산업의 근대화를 통해 문명부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재래의 산업을 근대적으로 재편해야 했으나, 大韓帝國 政府의 실업교육정책에는 전 산업 구조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고 국민의 90%가 종사하는 농업 근대화교육은 구상되고 있지 않았다. 단지 서양의 부강이 근대적인 상업과 공업에 있다고 보고 商工學校 설립에만 주력하였다. 다음으로 大韓帝國 時期의 官立學校의 교육체계에는 舊來의 전통적인 교육기관인 成均館, 書堂 等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이와 같이 대한제국 정부가 전통적인 교육기관인 성균관의 기능을 축소시켜 經學阮으로 개편하고 서당을 사실상 방치한 것은 유생들의 반발을 의식하고 또한 일본을 통한 서구 근대교육의 도입에만 주력한데서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즉 이것은 근대교육은 문명 개화의 근본이고 애국심과 부강은 모두가 학문에서 발생하며, 나라의 흥망은 학교의 성쇠에 있다는 인식 아래 근대화를 위해서는 근대교육을 선행시켜야 한다는 대한제국 정부의 교육근대화 정책에 따라 나타난 것이었다. 그러므로 의욕은 앞섰으나 그것을 실현할 사회적인 기반이 마련되지 못하였으므로 졸속과 시행착오를 면치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大韓帝國 時期 官立學校를 중심으로 한 교육개혁은, 그 담당주체가 집권관료층이었으므로 그들의 지표가 기본적으로 구체제의 변혁이 아니라 舊本新參의 개량에 의한 재편 강화에 있었는 데다가 그 위에 재정 핍박 등 敎育外的 條件이 작용하면서 크게 실효를 거두지 못한 채 乙未條約에 의해 중도 좌절을 겪였다. 그러나 이 시기 교육실천의 성과도 적지 않았다. 우선 재래의 주입식 한문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교육내용이 근본적으로 변화되어 새로운 교과목이 신설되었고, 교과서도 言文一致의 國語敎育의 실시와 함께 ‘本國의 歷史, 地理’등이 편찬되어 자주독립과 민족의식이 고취되었다. 그리고 민족의 위기적 상황을 직시하고 민족문제와 사회문제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배출되었으며 산업진흥의 시대적 추이와도 관련해서 기술을 중시하는 實業敎育이 실시된 사실 등을 들 수 있다. ; During the time of Dae Han Empire, the purpose of founding a governmental school was to build a self-establishing modern nation through modern education system. It was aimed at promoting the wealth and power of a nation and civilization. The task of modernizing education was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in conjunction with historical background at that time. With lack of appropriate organizations or parties to take part in the process, it was only natural that the government took initiative. However, the modernizing efforts were hampered by the threatening imperialistic powers and by the fact that strict intents of the government was on the side of governing classes, especially the royal powers, to help them keep their privileges. During these entanglement, the governmental school, as was the heart of modernizing process, suffered many ups and downs.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governmental schools during that era. Concerning governmental schools, the author tried to emphasize and concentrate on the following subject: 1. the ideologic background of the school, 2. the purpose of its establishment, 3. the manner in which educational despoliation of imperialism exerted upon the nation, its impact on the modernizing process, and the way the nation coped with the situation. 4. the nature of education concerning its curriculums and contents, 5. the actual conditions of vocational school administration in connection with the nation’s policy on industrialization, 6. whereabouts of gradates and their contributions to the society, 7. the impact of new education on one’s change of social position in the society. The characteristics of reformation process of education, as see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al school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governmental schools were founded on the basis of fostering the idea of educational reformation through the school education, of which have been mentioned in he Sil Hak Thoughts(實學思想) since late Cho Sun(朝鮮) time, such as systematization of education, open equal opportunity to all, and addition of practical subjects in the curriculum. Also, from outside world, accepting modern ideas(education) of Europe and America by way of Japan. The governmental schools of Dae Han Empire were basically a replication of a new educational system derived from Gap Ou Reformation (甲午改革) period. But, due to the nation’s policy on industrial development, vocational training was included in the curriculums of the governmental schools and also in the middle school(官立中學校), which was the highest institution of learning at that time. The institutions that gave vocational training include Sang Gong School(商工學校), Kwang Moo School(鑛務學校) for moderate schooling and Chun Moo Hak Dang(電務學堂), Woo Moo Hak Dang(郵務學堂), and Jam Eup Training School(蠶業養成所) for short course education. These institutions were founded to serve the purpose of building a self-reliant, powerful, wealthy nation and to strengthen the royal power. Even though the nation needed to reorganize conventional industrial structure in modern terms to progress into a civilized, wealthy nations, the farmers, comprising about 90% of working group, disregarding their needed education to improve farming skills, were excluded from the modernizing plan. The government considered wealth and power of Western nations only as a products of modern industry and trade, thus only concentrated on setting up institutions related to such a field. During that time, Dae Han Empire was on the brink of being invaded by foreign imperial forces and the industrial structures were progressing to maintaining subordinate relationships with foreign countries. The royal families turned over their interests to the foreign forces indiscreetly at the price of their security. Series of such events hindered the progression of capitalism and as a result the need of a nation for highly skilled personnels were obsolete. The circumstances were such that the plans for founding Sang Gong School and Kwang Moo School never became a reality. After 1906, Japan as one of their colonial policy, gave vocational training with an intention of degrading the policy of Dae Han Empire on vocational education and to foster a cheap manpower. Old, traditional schooling institutions such as Sung Kyun Kwan(成均館) or Village School House(書堂) were excluded from the educational system. As a result of modern education imported unconditionally from the western world through Japan, the government reduced the scale of Sung Kyun Kwan, reorganizing it into Kyung Hak Won(經學院), but left the Village School House alone to avoid oppositions from students of Confucianism(儒生). It was the products of government’s realization and educational policy that modern education is the key to civilization, that patriotism and wealth could only be achieved through learning, rise and fall of a nation depends on ups and downs of a school, and that only through modern education could ends be met. It seemed that the intentions were strong, but lack of a solid social foundation on which to execute the plans resulted in a series of trial and error. After Eul Sa Treaty(乙巳條約), in the year 1905, the governmental schools were destined to undergo a change under the influence of invading Japanese interferences in educational policy. On the contrary, the private schools governed by the people, were on the rise and took initiative in executing a national movement for independence. But,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the governmental schools were the main bodies that took a leading part in the education program during Dae Han Empi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