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임신후반기 임신성 고혈압임부 및 태아제대혈청 6-Keto Prostaglandin F1 α, Thromboxane B2 및 Prostaglandin E 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임신후반기 임신성 고혈압임부 및 태아제대혈청 6-Keto Prostaglandin F1 α, Thromboxane B2 및 Prostaglandin E 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Authors
전선희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임신 28~42주의 임신성고혈압임부 43례(산후자간증 환자 4례 포함)와 37~42주의 정상임부 14례를 대상으로 임신후반기 및 산후초기(분만후 7일 이내)에 있어서 모체혈청과 분만시 태아제대혈청의 6-keto prostaglandin F_1α, thromboxane B_2, 및 prostaglandin E의 농도를 측정하여 그 변화를 관찰 분석하므로써 prostaglandin과 임신성고혈압의 병태생리적 원인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6-keto PGF_1α, TxB_2 및 PGE의 혈청농도는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신 후반기 임신성고혈압 임부의 혈청 6-keto PGF_1α의 평균 농도는 293.0±29.2pg/ml로 정상임신시의 농도인 103.8±15.3pg/ml보다 현저히 높았다. 그러나 임신성고혈압을 확장기혈압 정도별로 세분하여 관찰한 바 확장기혈압이 90-100mmHg 110-120mmHg 및 130mmHg 이상으로 높아질수록 그 혈청농도는 각각 371.2±38.8pg/ml 208.0±37.1pg/ml 및 136.1±50.4pg/ml로써 유의하게 더 낮아졌다. 또한 임신성고혈압을 그 평균동맥혈압 정도별로 분석한 결과 6-keto PGF_1α농도는 평균동맥혈압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유의한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2. 임신 후반기 임신성고혈압 임부의 혈청 TxB_2의 평균농도는 327.9±40.0pg/ml로 정상임신시의 303.9±77.7pg/ml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임신성고혈압을 확장기혈압 정도별로 분석한 결과 확장기혈압이 높을수록 TxB_2의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동시에 TxB_2/6-keto PGF_1α의 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임신성고혈압 환자의 임신후반기 혈청 PGE평균농도는 56.39±1.67ng/ml로써 정상임신시의 농도인 21.78±5.75ng/m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 각 prostanoids의 임신후반기, 분만시 및 산후에 걸쳐 연속으로 모체 및 제대혈청 농도변화를 분석한 결과 6-keto PGF_1α의 평균농도는 임신성 고혈압군과 정상임신군에서 다 같이 태아측 제대혈청치가 가장 높고(413.7±65.6 : 260.0±44.5pg/ml) 다음이 임신 후반기 모체 혈청치(225.6±40.2 : 97.8±18.4pg/ml)이었으며, 산후 모체 혈청치(148.9±33.4 : 45.3±3.48pg/ml)가 가장 낮았다. 이는 임신중 prostacyclin의 생성이 제대혈관에서 가장 활발하다는 설과 일치하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TxB_2의 평균농도는 임신성고혈압군과 정상임신군에서 다 같이 임신 후반기 모체혈청농도(339.7±75.4 : 326.8±82.1pg/ml)에 비하여 산후 모체 혈청치(71.2±14.0 : 12.1±2.1pg/ml)는 현저히 떨어졌으며 이는 임신중 TxB_2의 생성원천이 생식조직 즉 태반이라는 학설과 일치된 결과라고 추정된다. 이와 같이 모체측 6-keto PGF_1α의 농도변화는 prostacyclin과 임신성고혈압 병태생리와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 Pathogenesis of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is still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pathophysiologic correlation between the maternal prostanoid concentrations and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The data to be presented were based on 43 pregnant patient (28-42 weeks) including 4 postpartum women associated with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and 14 normal pregnant (37-42 weeks) women seen in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In this study, normal and cord serum concentration of 6-keto PGF_1α, Tx B_2 and PGE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method provided by Amersham, UK, and Clinical Assay, USA.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mean maternal serum concentration of 6-keto PGF_1α in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during late pregnancy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comparison with normotensive pregnant women (293.0±29.2 : 103.8±15.3pg/ml). Among the elevated serum concentrations, the mean serum concentration of 6-keto PGF_1α in hypertensive pregnancy was markedly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increased diastolic pressure. It was also evident that the mean concentration of 6-keto PGF_1α in the pregnancy induced hypertensive patien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increased mean arterial pressure. 2. The overall maternal serum concentration of Tx B_2 in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during late pregnancy was 327.9±40.0pg/ml which was not different with the concentration of normotensive women (303.9±77.7pg/ml), but in accordance with the elevated diastolic pressure, the concentration of Tx B_2 showed elevated tendency. 3. Both mean concentration of 6-keto PGF_1α in fetal umbilical cord born to the mother with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and normotensive mother were elevated significantly compared to maternal concentrations during late pregnancy respectively (413.7±65.6 : 225.6±40.2pg/ml, 260.0±44.5 : 97.8±18.4ng/ml). In conclusion, it is probable that the change in serum concentration of 6-keto PGF_1α is to be a pathogenic factor in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