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희-
dc.creator김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8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4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0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42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놀이 상황에서 아버지와 영아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고, 아버지와 영아의 놀이 상호작용과 관련요인들과의 상관성 정도 및 설명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처음으로 아버지 역할을 경험하게 되는 남성들이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여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돕기 위한 간호중재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며 1997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E여대 종합병원과 서귀포시의 K산부인과 의원에서 첫 번째로 분만된 29명의 정상 영아와 그들의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절차는 생후 6-11주된 영아의 가정을 방문하여 수유 후 젖은 기저귀를 갈아준 다음 영아가 깨어있는 상태에서 아버지에게 소형 마이크를 착용케 하여 녹음과 촬영을 하였다. 아버지와 영아가 연구자를 의식하지 않고 평소와 다름없이 놀이 상황에서 상호작용을 하도록 1시간 정도의 여유를 두어 비디오촬영에 익숙해진 후 아버지가 영아와의 놀이 상호작용을 끝낼 때까지 약 5분간에 걸쳐 시행하였다. 촬영된 비디오 테이프를 근거로 2명의 연구자와 관찰자가 아버지-영아 놀이 상호작용 척도를 적용하여 면밀하게 관찰한 후 분석하여 평점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객관적인 행동측정 도구로 아버지-영아 놀이 상호작용 측정도구와 주관적인 측정도구로 아버지의 영아돌봄에 대한 자신감, 성장기 동안 부모와의 관계, 배우자 지지, 결혼적응도, 그리고 영아 기질 측정도구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요인간 관계와 상관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χ2-test, 상관관계 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버지와 영아의 놀이 상호작용을 관찰한 결과 아버지는 보통 수준으로 영아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총점 55.10, 표준편차 11.98). 즉, 아버지는 영아를 편안하게 안으며 영아가 자발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영아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한 주기로 안는 자세를 바꾸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아에게 애정을 표시하는 목소리의 근접성 유형에서도 적극적으로 영아의 행동에 따라 목소리를 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상호작용의 전반적인 특성에서는 아버지가 동시적으로 영아와 상호작용하지 않았으며, 아버지와 영아 둘다 상대방으로 부터의 반응에 자주 지연을 보였고 따라서 상호작용시 감정적 교류가 제때에 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아버지의 영아돌봄에 대한 자신감은 배우자 지지(β=0.58, P=0.01), 성장기 동안 부모와의 관계(β=0.37, P=0.03), 아버지 연령(β=0.36, P=0.02)이 55%의 설명력을 보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2=0.63, 수정된 R2=0.55, P=0.00). 3. 영아돌봄에 대한 자신감과 배우자 지지가 놀이 상호작용에 상호관련됨을 나타냈으나 그외 요인들은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외에 아버지와 영아는 놀이 상황에서 상호반응이 지연되고 감정적 교류가 적었으며 영아돌봄에 대한 자신감에서도 영아의 상태를 지각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내 상호반응의 지연과 영아상태 파악에 있어서의 어려움이 서로 관련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아버지들이 영아의 행동조직과 관련된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영아돌봄에 대한 자신감에 대해 배우자 지지, 성장기 동안 부모와의 관계, 아버지 연령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돌봄에 대한 자신감과 배우자 지지가 놀이 상호작용과 상호관련성은 있으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아버지와 영아의 상호작용에서 돌봄에 대한 자신감 정도는 아버지의 연령, 성장기 동안 부모와의 관계, 배우자의 지지정도를 사정해 봄으로써 예측할 수 있으나 놀이 상호작용은 충분히 설명 또는 예측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무에서 영아상태와 영아의 행동조직과 관련된 아버지 역할수행에 대한 교육과 영아돌봄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을 세워 영아돌봄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아버지를 지지하고 배우자의 지지적 역할을 격려하므로써 아버지와 영아의 상호작용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아버지와 영아의 상호작용 향상을 통한 긍정적인 부모자녀 관계의 형성으로 아버지와 영아의 건강유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를 위해 제언하고자 한다. 1. 아버지의 영아돌봄에 대한 자신감과 관련되는 요인들의 직접적인 영향이 설명되었고 아버지-영아 놀이 상호작용에의 관계가 확인되었음에도 영향력은 규명되지 않았으므로 처음으로 아버지됨을 경험하는 더 많은 남성들을 대상으로 다요인적인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2. 아버지 역할획득 과정을 파악하기 위한 종적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3. 아버지와 어머니 역할획득 과정에 대한 비교분석이 요구된다. ; The past days fathers had taken responsibilities of representing and the bread earner for their families and mothers had taken care of household affairs and nurturing children, but today according to increasing of working women, divorcing rate, reducing family size, fathers have charged themselves with caring children as well as mothers. That is, fathers have times with their infants and they interact with them by physical caring and playing more than before. That time they give them stimulants of different types from mothers. Many foreign researchers have reported that these different types of parenting stimulate children s growth and development, so fathers also have been recognized important caregivers. All this while most fathers in Korea socially and culturally have learned about traditional parenting, but they are changing their fathering styles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certain patterns of play interaction between first-time fathers and their infants under the playing situations and understand relations and effects on factors, and then contribute to nursing implementation for supporting first-time fathe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ain the correlations of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or 2 months by video-taping from 29 first-timed fathers and infants(6-11 weeks old) in their houses. In this study the main concepts were play interaction, role confidence, and related factors were relationship to parents, wife s support, marital adjustment, baby s character, and father s age. For measuring father s and infant s behaviors, Father-Infant Play Interaction Scale that was applied to father instead of mother as a caregiver was used. In pilot study this scale was a good for ascertaining patterns of father-infant play interaction and that time the reliability was 0.95, this time was 0.9231. And the rest were 0.6331∼0.8594. The analysis of data was done with SPSSWIN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chi-square, Correlation Analysis,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fathers play interaction with their infants showed the ordinary reciprocity(sum 55.10, SD 11.98). Fathers(mean 4.03) vocalized well in response to infants behavior or used mimicry and posed rhythmic holding so that allowed self-directed movement to infants(mean 3.76). But over-all dyadic of interaction, they(mean 2.07) showed frequent delay between initiation of interaction and subsequent response from infants. Also in synchrony of affect, fathers(mean 2.79) interfered to seek a pleasurable exchange due to infants distress. Father s role confidence affected by wife s emotional and physical support(β=0.58, t=3.08, P=0.01), so fathers can easily acquire their role attainment if wives encourage her partners fathering behavior. Fathers were influenced by relation to their parents(β=0.37, t=2.34, P=0.03), but they wanted to perform fathers role with different types from their fathers. Father s age also had an effect on his role attainment(β=0.36, t=2.55, P=0.02). Father s role confidence did not affect reciprocity of play interaction, but maintain relationship(r=0.34, P=0.03). Wife s support was also connected with play interaction between first-timed father and infant(r=0.38, P=0.02). As a result the hypothetical model proved explanatory power from father s age, relationship to parents, role confidence to role attainment but didn t show effect from role confidence to play interaction. Besides, fathers and infants showed that delayed interaction and interchange of affect under the playing situations and also fathers represented the difficulties of sensing infants state in a measuring confidence of infant caring. this meant fathers had no knowledge about infants state. In a hospital nurses have to teach first-time fathers about infant s growth and development and afford opportunities to handle their babies before discharge. Moreover nurses have to encourage wives to support their husbands both emotional and physical aspects. And then they will have good relations with their infants. So nurses can contribute to maintain and promote parents and infants health.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1. Due to explain the effect from role confidence to play interaction, repeat study is needed with many first-time fathers and variables. 2. A longitudinal study is required to prove the process of father s role attainment. 3. A comparative study is requested to understand the process for mother s and father s role attain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4 C. 용어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및 개념틀 ------------------------------------------- 7 A. 아버지 역할에서의 아버지-영아 놀이 상호작용 --------------------- 7 B. 아버지-영아 놀이 상호작용과 관련되는 요인들 --------------------- 16 C. 연구의 개념틀 및 가설적 모형 ------------------------------------ 27 Ⅲ. 연구 방법 ------------------------------------------------------- 32 A. 연구 설계 ------------------------------------------------------- 32 B. 연구 대상 ------------------------------------------------------- 32 C. 연구 절차 ------------------------------------------------------- 33 D. 연구 도구 ------------------------------------------------------- 34 E. 자료 분석 ------------------------------------------------------- 38 Ⅳ. 연구 결과 ------------------------------------------------------- 39 A. 아버지-영아 놀이 상호작용 --------------------------------------- 39 B. 아버지의 영아돌봄에 대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3 C. 아버지-영아 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5 D. 아버지의 영아돌봄에 대한 자신감이 아버지-영아 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46 Ⅴ. 논 의 ----------------------------------------------------------- 47 A. 아버지-영아 놀이 상호작용 행동 ---------------------------------- 47 B. 아버지-영아 놀이 상호작용과 관련요인의 관계 및 영향 ------------- 52 Ⅵ. 결론 및 제언 ---------------------------------------------------- 62 참고문헌 ------------------------------------------------------------ 65 부록 ---------------------------------------------------------------- 83 영문초록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652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아버지와 영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