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1 Download: 0

조선초기 군신도덕에 관한 연구 : 조선왕조실록의 관련기록을 중심으로

Title
조선초기 군신도덕에 관한 연구 : 조선왕조실록의 관련기록을 중심으로
Authors
이희주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 of king-statesmen morals during the formation of Confucian political system according to political conceptualization in Sungri-philosophy in early Chosun dynasty. Chosun has chosen Confucianism as ruling ideology but the kingdom has accepted the diverse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based on political efficiency till the completion of Kungkukdaejun. This diverse interpretation reveals various moral patterns according to the specific political situation. Morals between kings-statesmen has changed based on the acceptabl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a given time. The morals between king-statesmen shows an important thinking process that leads the trend of the political actions. Research that studies the relations between ruling classes and their actions in early Chosun dynasty reveals that ruling actions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academic belief or their inclanation as a class.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School (Kwanhakpa: 官學派) focuses on ruling people and their literature, while the Moral Philosophy School (Dohakpa: 道學派) on controling one s mind and scripture on Confucianism. Few studies have been found that examine theories behind the morals which explain the thinking patterns between kings and statesmen.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ruling actions depends on the patterns of the morals of ruling class and these patterns indicate the thinking norms between kings and statesmen.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patterns of kings-statesmen morals during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Confucius political system. To inspect the moral patterns between kings and statesmen, the kings-statesmen relation patter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cripture on Confucianism. The patterns of king-statesmen morals are also examined through the History of the Kings in Chosun dynasty (Chosunwangjosillok: 朝鮮王朝實錄) from the establishment of Chosun to King-Sung(Sungjong: 成宗) to compare moral theories between kings and statesmen in Confucianism. In this research the patterns of alliance-division between the kings and the statesmen are examin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m in Confucian Scripture: in order of The Book of Odes, The Book of History, The Annals of the Chinese State of Lu,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Works of Mencius, The Book of Rites. Various concepts are examined in Sillok to look at the patterns of the king-statesmen morals in early of Chosun dynasty. Inspected concepts are as follows: concepts of the duty to their parents, to their kings, discipline of the government officials, official justice and favors, taking official positions in the government during the morning period of losing one s parent, shame in one s fami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s and the statesmen in Confucianism can be summed up following two patterns; king-statesmen union based on justice (Kunshinuhhab: 君臣義合) that has emphasized the morals based on changable concept (Yi: 義)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vine (Chun: 天) and king-statesmen union based on unchangeable one (Chin: 親) that has stressed the fatal endorsement. Kunshinuhhab shows the king-statesmen alliance or separation as a result whether their actions are acceptable or not in terms of the morals. This pattern has been commonly used in the study of the king-statesmen relationship. A king and his statesmen work together or break up according to their morals. Meanwhile, Kunshinchinhab explains the king-statesmen union by fatalism, just like the relations between fathers and their suns. Father-sun relations are fatal and the God endows the relations, so it is called the Given relation (Chunlyun: 天倫) that characterizes its destined bond. This study defines the king-statesmen relation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father-son relations as Kunshinchinhab and suggests as a new model that explains another king-statesmen relations. In Kunshinchinhab, since the division between the king and his statesmen has not occur unless by the king s will, the king-statesmen relationship has continued even in the case that the statesmen had supported the king based on the morals and the king will not accept such morals. The statesmen would leave the king if they are united based on Kunshinuhhab and this is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Kunshinuhhab and Kunshinchinhab. This dissertation tries to inspect the under-estimated aspect of the king-statesmen relationship by Kunshinchinhab. However, not all the king-statesmen relations can be explained by these two models. For example, in the case that a king focuses on the morals of obligation to their kings while the statesmen emphasizes the ones to their parents, the relations between them are in trouble although both parties emphasize the duties of children and statesmen which are the parts of the main themes of Confucianism. Kunshinuhhab cannot explain such relations.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union and division of king-statesmen by following aspects. First, in what form it takes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king-statesmen morals in Confucianism. Second, how the discussion on Confucianism is reflected in the union or the division of king-statesmen. Third, what kind of king-statesmen moral patterns are derived from Chosun s political system and from its cultural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studies the king-statesmen moral patterns based on these three aspects. This study tries to show how the king-statesmen morals and their ruling ideology are established in early Chosun dynasty. The patterns of king-statesmen morals also explain the political reform of Chosun dynasty that could not affect the dynasty itself and only remained as the reform within the system and resulted in the preservation of the country until the colonization by the external forces. ; 본 논문은 朝鮮初期의 性理學의 政治理念化에 따른 儒敎政治體制의 구축과정에서 君臣道德이 어떠한 형태로 구축되었는가를 검토해 보려는 것이다. 朝鮮은 儒敎思想을 통치이데올로기로서 채택하였지만 {經國大典}이 완성된 시기, 즉 成宗代까지는 統治層의 政治的 效用性의 차원에서 儒敎理論이 다양한 수용양식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수용의 양식은 당시 政治狀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 과정에서 君臣關係가 어떤 성향을 보이느냐에 따라 君臣間의 道德規範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君臣間의 道德規範의 형태는 당시 統治行爲의 성향을 나타내는 중요한 사고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朝鮮初期의 統治層과 統治行爲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면 統治層의 학문적 성향에 따라, 혹은 집단적 성향에 따라 당시 統治行爲의 특성을 파악하여, 官學派는 治人과 詞章을 爲主로 하고 있으며, 道學派는 修己와 經書를 爲主로 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統治層의 다양한 思考的 特性에 대한 연구, 같은 시기라 하더라도 사항에 따라 君臣間에 사고가 다양하게 적용되는 행태, 즉, 君臣間 사고체계인 道德規範의 형태에 대한 이론적 검토는 빈곤하다. 그러나 統治行爲의 特性은 당시 君臣間에 어떤 사고체계를 가지고 있었는가하는 統治層의 道德規範의 형태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의문에서 출발하여 儒敎의 政治化 理念에 따른 儒敎政治體制의 구축과정에서 君主를 축으로 하는 君臣道德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고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명하기 위하여 儒敎經典을 통하여 儒敎理論의 측면에서 君臣關係의 유형을 검토하고, 朝鮮建國에서 成宗代에 걸쳐 君主를 축으로 하는 君臣道德의 구축형태를 儒敎의 君臣道德論과의 비교관점에서 그 특이성에 착안하여 {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儒敎經典上의 規範觀念의 論議에 따라 {詩經}.{書經}.{春秋}.{論語}.{孟子}.{禮記} 등의 순서로 君臣關係의 結合.分離樣式을 살펴보고, 朝鮮初期의 君臣道德의 형태를 고찰하기 위한 {實錄}의 검토는 孝.忠.官吏紀綱, 大義와 恩惠, 諫言, 起復出仕, 家累 등의 요소를 분석요인으로 설정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儒敎思想에서의 君臣關係는 階序的 측면을 바탕으로 하면서 天의 속성가운데 易 의 개념이 적용되어 君臣間의 행위가 道德規範을 강조된 君臣義合 과 운명적인 속성이 강조된 君臣親合 의 두 類型으로 大別되고 있다. 前者는 君臣間의 행위가 도리에 합당하느냐에 따라 君臣의 결합.분리의 형태가 나타나는 君臣義合의 類型이다. 이 類型은 기존의 연구에서 君臣關係에 보편적으로 적용이 되어온 형태이다. 君과 신하는 도리에 입각하여 결합되고 또한 도리에 합당하지 않으면 그 관계는 단절이 된다. 後者는 君臣間의 행위가 운명적인 성향이 강조되어 나타남으로서, 그 관계가 父子關係에 擬制化되어 나타난 君臣關係의 類型이다. 부모와 자식의 관계는 운명적이고 天이 부여한 所與的 관계로, 다른 인간관계와 달리 天倫 이라고 하여, 어느 관계보다도 강한 결속력을 지닌 속성을 띠는 것이 특징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父子關係의 속성을 띤 君臣關係의 類型을 君臣親合 으로 규정하여 새로운 君臣關係의 모델로 제시하였다. 君臣親合의 형태는 君의 意思만 아니면 君臣間의 분리형태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특징적이기 때문에, 신하가 君의 행위를 도리에 맞도록 君을 섬겨도 君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君臣義合의 경우처럼 신하가 君을 떠나지 못하고 君臣結合이 계속 유지되는 것이 君臣義合과 큰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본 논문은 기존연구에서 君臣義合 의 측면을 중심으로 고찰되었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君臣關係의 성향에서 간과되었던 측면을 君臣親合 의 類型의 틀로써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實錄}을 고찰한 바에 의하면, 君臣關係의 성향을 이 두 類型으로 모두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신하는 孝의 도리를 강조하고 君은 忠의 도리를 강조하고 있는 起復出仕의 경우, 君臣 모두가 儒敎理念인 孝.忠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것이 도리에 입각한 君臣間에 합의의 형태를 보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갈등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君臣關係의 성향은 君臣義合 의 형태로 설명되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實錄}에 나타난 君臣關係의 結合.分離樣式을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朝鮮初期의 君臣道德이 儒敎原理의 연장선상에서 그대로 적용되는 형태는 무엇인가, 둘째 儒敎原理에서의 論議가 朝鮮初期 君臣關係의 結合.分離樣式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나는가, 셋째 政治體制의 구축과정에서 발생된 君臣道德의 패턴과 文化的 特性에 따라 발생된 朝鮮에서의 독자적인 君臣道德의 패턴이 어떤 것인가 하는 3가지 관점에 착안하여 君臣道德의 類型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검토작업을 통하여 朝鮮時代의 君臣間의 道德이 어떤 형태로 구축되며 또한 통치이데올로기인 儒敎理念이 어떻게 정착해 가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朝鮮時代의 政治改革이 王朝에까지 미치지 못하는 體制內的인 改革性向으로 머물러, 외부세력에게 國權을 빼앗기기 전까지는 王朝의 교체가 없었던 상황에 대하여 해명할 수 있는 한 요인으로 君臣道德의 性向이 제시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