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영-
dc.creator김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6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8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76-
dc.description.abstract장애인이나 일반인이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려면, 활동에 접근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술들 중의 하나가 길 건너기 기술이다. 그러나 수용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지체장애를 중복으로 가진 중도장애 학생들에게는 이러한 지역사회에 필요한 선수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와 활동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 또한 중도장애 학생들은 습득한 기술의 일반화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와 관련된 기술을 지역사회에서 직접 배운다면 일반화에 대한 어려움 없이 바로 기술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다. 일반사례 교수방법은 중도장애 학생들이 기술을 일반화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도장애 학생의 일반화된 기술사용에 효과적인 일반사례 교수방법을 사용하여 지체장애를 중복으로 가지고 있는 수용시설의 중도장애 학생들에게 지역사회에서 길 건너기 기술을 교수하여 기술의 습득 및 일반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들은 수용 시설에서 생활한지 10년 이상이 되며, 보조수단을 이용하여 보행을 하는 3명의 중도장애 학생들로서 지역사회에서 길 건너기와 관련된 기술을 학습한 적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기초선에서부터 지역사회에 나가 교사의 직접 교수 없이 길 건너기 조건에 놓여졌다. 단 대상학생들이 위험한 상황에 놓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중재 시작 전에 3회기씩 10분간의 길 건너기와 관련한 비디오를 보았다. 실험처치는 길 건너기의 모든 사례를 포함하는 10개의 횡단보도를 “○○야, 길 건너편으로 건너갈 테니 혼자서 건너봐. 선생님이 뒤에서 따라갈께.”라고 지시한 후, 분류된 4개의 준거에 따라 길을 건너는가를 확인하고, 준거와 다른 경우 교사가 개입하여 신체적 촉진에서 언어적 촉진까지 다양한 촉진을 사용하였다. 단 촉진을 사용한 경우, 수행에 실패한 것으로 기록하였고 독립적으로 길 건너기를 수행한 것만을 성취한 것으로 하였다. 각 대상에 대한 실험 처치는 10 - 18회기를 실시하였다. 길 건너기 행동에 대한 일반화 조사는 실험 처치에서 사용하지 않은 같은 조건의 10개의 횡단보도를 선택하여 4회기 실시하였다. 유지 검사는 비 교수 지역에서의 일반화 조사가 종결 된지 2주 후에 4회기 실시하였다. 또한 길 건너기 기술이 좀 더 자연스러운 지역사회 활동으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기초선 단계에서 유지까지 지속적으로 제과점, 가게, 분식점, 문방구, 서점 등의 지역사회 상점을 선택하여 활동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사례 교수방법을 이용하여 중도장애 학생에게 길 건너기를 교수하였을 때 길 건너기 행동이 습득되었다. 둘째, 일반사례 교수방법을 이용하여 길 건너기를 교수하였을 때 실험처치에 사용하지 않은 길에서는 일반사례 교수 기간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일반화되었다. 셋째, 유지 검사에서는 세 명의 대상자 모두 길 건너기 행동이 실험 처치의 후반 수준으로 지속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지체장애를 중복으로 가지고 있는 중도장애학생에게 지역사회에서 직접 일반사례 교수법을 사용하여 길 건너기 행동을 교수하였을 때 대상자 모두 지역사회에서 길 건너기 행동을 습득, 유지하고, 비 교수 지역에서 일반화하여 사용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실험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신체적인 조건이 선행연구의 대상자보다 좀 더 제한적이었음에도 길 건너기 기술이 향상된 것은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며,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지체장애를 중복으로 한 중도장애 학생의 지역사회에 기초한 길 건너기 행동을 교수한 사례가 없으므로 앞으로의 후속연구를 위한 참고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et-acrossing skills using general-case instruction method to severe disabilities. Subjects of the study are three students: (a) have lived ten years over in institution (b) Have used moving aids (c) Have not learned skill that across the streets in communit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has been used. Subjects were taught to across streets during 12-18 sessions and probed in non-training generalization probe streets. four follow-up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each subject after 2 weeks to examine the maintenance effec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street-acrossing skills training using general-case instruction method, subjects acquired street-acrossing skills and the rate of success increased. Second, through street-acrossing skills training using general-case instruction method, subjects generalized in non-training generalization probe streets and the rate of success increased. Third, in the maintenance test, the rate of the subjects street-acrossing success increased steadly. Therefore, based up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a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treet-acrossing skills training using general-case instruction method as a medium for changi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y community skills, and in this resp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provision of side function effects for enhancing community based instru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6 C. 용어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중도장애아 교육의 배경 = 8 B. 중도장애 학생의 지역사회 중심 교육의 필요성 = 10 C. 일반사례 교수 = 17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3 A. 대상 = 23 B. 장소 선정 = 25 C.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 25 D. 실험 기간 = 34 E. 실험 설계 = 34 F. 실험 조건 = 36 G. 자료 수집 및 측정 = 37 Ⅳ. 연구의 결과 = 43 A. 길 건너기 수행율 = 43 B. 부정적인 예의 유형과 수행율 = 46 Ⅴ. 논의 및 제언 = 48 A. 논의 = 48 B. 제한점 = 56 C. 제언 = 57 참고문헌 = 58 부록 = 69 영문초록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172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일반사례 교수를 이용한 중도장애 학생의 길 건너기 기술의 습득과 일반화-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