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희선-
dc.creator이희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0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8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8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8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의 교육목표와 내용에 대한 요구를 개인의미 교육과정의 준거인「목표-과정 중심 교육과정 개념틀」(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 PPCF)의 목표개념에 기초하여 사정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여자 중고등학교 및 대학의 체육학과와 무용학과의 학생과 교사(교수)를 모집단으로 하여 유층별 추출법으로 학생 993명, 교사 141명, 대학교 체육학과와 무용학과 학생 277명, 그리고 교수 30명으로 총 1441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조사도구는 Jewett & Mullan(1977) 등이 체계화한 PPCF에서 원용하여, 대상집단에게 알맞게 번안한「무용교육 목표와 내용에 대한 검사 I, II」이다. 검사 I은 무용교육 목표의 중요도에 대한 문항 44개와 실현도에 대한 문항 44개로 구성되었다. 검사 II는 44개의 목표개념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천해야 된다고 요구되고 있는 무용교육 내용에 관한 문항 44개로 구성되었다. 주요개념 목표별 검사 문항 간의 내적일치도(internal consistency)는 Cronbach Alpha(α) .79-.91로 매우 높게 나타나서 각 목표요인마다 높은 신뢰성을 보여 주었다. 배포된 검사지의 회수율은 학생 81.1%였으며, 교사 및 교수는 41.7% 였다. 회수된 자료들은 PPCF의 구성내용에 의거하여 핵심개념목표(개인적 발달, 환경에의 대처, 사회적 상호작용)별로 분석하고, 핵심개념 목표의 하위개념인 주요개념목표(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조작, 의사소통, 집단상호작용, 문화적 참여)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7가지 주유개념목표 내에 포함되어 있는 22개의 개념 요소별로 분석하였다. 각 목표개념 마다 중요도와 실현도를 조사 분석하여 목표의 우선순위를 찾아내고, 학생과 교사(교수)간 인지수준 차이의 유의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하였다. 또한 중고등학생, 대학생, 교사, 교수 간의 목표 인식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s test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목표의 중요도에 대한 인지수준은 교수, 교사, 대학생, 중등학생의 순으로 인지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즉, 무용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목표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 (2) PPCF의 목표 중 무용교육의 구체적 목표개념으로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는 목표는「표현」Expression),「신경근육의 효율성」(Neuro-muscular efficiency), 그리고「명료화」(Clarification) 였다. (3) 경험적 교육과정의 학생과 인지적 교육과정의 교사(혹은 교수)간에는 목표개념에 대한 인식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4) 경험적 교육과정 측면에서 본 학생과 인지적 교육과정 측면에서 본 교사(혹은 교수)가 추구하는 무용교육 목표의 중요도에 대한 순위는 동일하였다. (5) PPCF의 목표 중 무용교육 현장에서 잘 실현되고 있다고 인식되는 목표는 교사(혹은 교수)와 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현도가 높은 목표개념에 대해서, 교사는「신경근육 효율성」과「표현」목표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중고등학생은「참여」와「움직임의 감상」목표로 인식하였다. (6) 모든 조사대상 집단에서 무용교육 목표의 중요도와 실현도에 대한 인식 사이에는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현도 간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난 목표는「의사소통」목표였고, 중요도와 실현도 간의 차이가 가장 작게 나타난 목표는「집단상호작용」목표였다. (7) 예술 고등학교 학생은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 보다 무용교육의「심리적 안정성」목표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일반 고등학생은 예술 고등학생 보다「집단상호작용」목표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8) 무용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가장 크게 요구되는 내용은「창작무용」이었다. 특히, 학생들 보다 교사, 교수들이「창작무용」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았다. (9) 교사와 교수들은「심리적 안정성」,「공간적 정향」,「물체조작」,「의사소통」,「집단상호작용」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창작무용」이 가장 필요하고, 「생리적 효율성」목표 달성을 위해서는「발레」와「에어로빅」이 필요하며,「문하적 참여」목표 달성을 위해서는「민속무용」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10) 위의 결과들을 기초로 하면 개인의미 교육과정의 근거인 움직임 목표개념은 일반학교의 무용교육과정 모형 개발에 준거가 될 수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needs for the purposes and contents of dance education with the use of 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PPCF) on the basis of Personal Meaning Curriculum Model. The subjects included in the study were 1441 (993 students, 141 dance teachers at middle and high schools, 277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or dance education, and 30 professors. The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was the [Dance Education Purposes and Contents Awareness Questionnaire (I & II)] which was a Korean version of the PPCF developed by Jewett, et al (1977). Questionnaire I was composed of 44 questions intended measur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44 questions measuring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the dance education purposes, respectively. Questionnaire II was composed of 44 questions asking to evaluate the contents of dance education recognized as needed to be performed to achieve the 44 purpose concepts of dance education. Eighty six percent of dance education experts(n=15) who participated in the assessment of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evaluated them as ‘very valid’. In addition, internal consistency in Cronbach Alpha(α) among questions by each major concept purpose was very high(.79- .91), which showed high reliability of each purpose concept. The collection ratio of questionnaires was 81.1% for students and 41.7% for teachers in cluding professors. The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components of the PPCF, by 3 key concept purposes (individual development, environmental coping, social interaction) and then were further analyzed by 7 major concept purposes (physiological efficency, psychic equilibrium, spatial orientation, object manipulation, communication, group interaction, cultural involvement) which are sub-concepts of key concepts and by 22 purpose elements or sub-purposes included in major concept purposes. Statistical techniques to analyze the data were a t-test, a one-way ANOVA, and the Scheffe’s test. On the basis of the analyzed dat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levels of recognition for the importance of purposes differed; professors ranked highest, and school teachers, college students and secondary students in that order. That is, the recognition level of purposes increased with the degree of expertist in dance education. (2) The purpose concept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concrete purpose concepts among purposes presented in the PPCF were expression, neuro-muscular efficiency and clarification. (3) There was a difference on the levels of recognition for dance education purpose concepts between students in the experiential curriculum domain and teachers (and/or professors) in the perceived curriculum domain. (4) The priority of dance education purposes pursued by students from experiential curriculum domain was the same as that pursued by teachers (and/or professors) from the perceived curriculum domain. (5)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or professor’s) view and student’s view concerning the purposes of the PPCF which they recognize as being implemented to a high degree school situations. That is, teachers recognized neuro-muscular efficiency and expression as the most highly achieved, purpose concepts while secondary students recognized participation and joy of movement as the most highly achieved one. (6)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recognition level of importance and recognition level of achivement of the dance education purposes. (7) It was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that the gap betwee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the degree of actualization of the purpose was largest. (8) The most needful content to achive dance education purposes was a creative dance.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the necessity of the creative dance was higher in the teachers group (professors and teachers) than in students group. (9) Professors and teachers recognized that creative dance is most necessary to the attainment of the purposes of psychic eqilibrium, spatial orientation, object manipulation, communication and group interaction, ballet and aerobics to the attainment of the purpose of physiological efficiency, and a folk dance to the attainment of the purpose of cultural involvement, respectively. (10) On the basis of the above conclusions, human movement purpose concepts presented in the PPCF underlying personal meaning curriculum models can be a adequat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models for danc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무용교육의 목표와 내용 ------------------------------------------- 7 B. 교육과정의 개념과 유형 ------------------------------------------- 12 C. 개인의미 교육과정 모형 ------------------------------------------- 19 D. 요구사정 이론 ---------------------------------------------------- 26 Ⅲ. 연구방법 --------------------------------------------------------- 33 A. 대상 ------------------------------------------------------------- 33 B. 도구 ------------------------------------------------------------- 34 C. 자료수집 절차 ---------------------------------------------------- 37 D. 자료분석 방법 ---------------------------------------------------- 37 Ⅳ. 결과 ------------------------------------------------------------- 39 A. 검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 39 B. 무용교육 목표 분석 ----------------------------------------------- 40 1. 목표의 중요도 --------------------------------------------------- 40 2. 목표의 실현도 --------------------------------------------------- 52 3. 목표의 중요도와 실현도간의 차이 분석 ---------------------------- 62 4. 목표의 중요도와 실현도에 대한 집단 특성별 비교 ------------------ 67 C. 무용교육 내용 분석 ----------------------------------------------- 70 1. 내용에 대한 요구도 ---------------------------------------------- 71 2. 내용의 요구도에 대한 집단 특성별 비교 --------------------------- 78 Ⅴ. 논의 ------------------------------------------------------------- 81 Ⅵ. 요약 및 결론 ----------------------------------------------------- 91 1. 요약 ------------------------------------------------------------ 91 2. 결론 ------------------------------------------------------------ 93 참고문헌 ------------------------------------------------------------- 96 부록 Ⅰ. 무용교육 목표에 대한 인지도 검사(학생용) --------------------104 부록 Ⅱ. 무용교육 내용에 대한 인지도 검사(학생용) --------------------111 부록 Ⅲ. 무용교육 목표에 대한 인지도 검사(교사, 교수용) --------------114 부록 Ⅳ. 무용교육 내용에 대한 인지도 검사(교사, 교수용) --------------122 영문초록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009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개인의미 교육과정 모형에 기초한 무용교육 목표와 내용에 대한 요구사정-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