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2 Download: 0

이용악 시의 언술 분석

Title
이용악 시의 언술 분석
Authors
황인교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이용악 시에 나타나는 서정 장르의 서사적 경향의 특성을 해명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텍스트의 정밀한 분석을 통해서 이용악의 시가 실천적 텍스트로서의 독자성을 구축해가는 과정을 해명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Ⅰ장은 기존 연구의 정리와 문제 제기, 텍스트 분석을 위한 방법론을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사물·이미지 중심의 언어적 조직화에 의해서 집중된 순간의 체험을 구축하는 서정적 언술과 인물·행위 중심의 장면을 구성하여 사건 개개의 분산된 체험을 구축하는 서사적 실현의 언술을 구분하여 논의의 토대로 하였다. Ⅱ장에서는〈낡은집〉을 모델로 분석하여 시적 언술의 두 양상을 살펴보았다. ①서정적 언술을 현재 존재하는 낡은 집의 양상을 공간적 층위와 감각적 인상을 통해서 나타낸다. 낡은집은 부재와 죽음의 본질적인 부정성의 공간으로 인식된다. ②서사적 실현을 이로는 언술은 집이 낡은 집이 된 과정을 연대기적 삽화로 재구하므로 장면 구축에 의해서 의미가 실현된다. 발생 양상을 통해서 낡은집의 부정성을 해명하므로 구체적인 사회적 문제의 파악이 가능하며 개체와 집단의 연관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장면으로 구축된 탄생, 성장, 이주의 이야기는 분산된 체험으로 제시되므로 객관성을 확보하여 사실성을 구축한다. 인용된 타자의 말은 진술 내용의 진정성 확보에 기여하므로 객관화의 방법이 된다. 이는 인용의 언술이 시적 화자에 관한 신뢰성을 강화시켜서 진술 내용의 핍진성을 이루는데 기여하는 부가적 언술이기 때문이다. Ⅲ장에서는 서정적 언술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용악 시에는 나를 향한 나의 말인 수수한 독백과 너를 향한 나의 말인 변형된 독백의 양상이 나타난다. 순수한 독백은 내밀, 무한의 상상체계를 이루고 변형된 독백은 내밀성을 거부하고 너와의 합일에 이르는 상상적 변환을 이룬다. 이 독백의 양식에 의해 제시되는 무한공간으로서의 초월과 상상적 합일은 개체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상상적 해결이다. 따라서 구체적 현실과 부딪칠 때 추상화되어 유효성을 잃고, 죽음과 부재로 인식되므로 현실 지향의 시선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시인은 구체적인 문제 파악과 해결의 시도가 가능한 서사적 실현의 언술을 산출하게 된다. Ⅳ장에서는 서사적 실현의 언술이 형성되는 양상과 문제적 현실을 해결하고 있는 지시적 양상의 의미 구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인물과 행위에 의해 나타나는 상황구축의 언술은 개체적 삶의 장면이 서정적 언술에 삽입되는 경우와 개체적 삶의 장면이 중심이 되어 집단적 문제를 환기시키는 두 양상으로 나타난다. 장면으로 제시되는 일상적 삶의 모습은 단편적인 체험의 제시이므로 객관화를 통해서 총체성, 보편성을 획득하게 된다. 인물, 행위의 구체성과 함께 인용의 언술이 객관화를 위한 전략으로 운용된다. 따라서 타자의 말의 인용은 객관적 체험, 즉 타자성이 강한 말일 경우에 효과적인 방법이 된다. 문제적 현실은 서사적 실현을 이루는 텍스트가 개체적 삶의 장면을 구축하는 경우에 나타나는데 그것은 혈연의 차단, 주거공간의 부재로 요약된다. 폐쇄된 현실을 혈연, 주거공간의 상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하여 공동체 집단을 통한 해결을 시도하고 있다. Ⅴ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였다. 본 논문은 이용악 시의 서사적 실현을 언술 분석을 통해서 규명하였다. 서정적 언술의 서사적 성취가 단편적 체험의 객관화, 즉 객관적 장면의 제시와 타자의 말의 운용을 통해서 이루어짐을 밝혔다. 단편적 체험의 객관화는 단편적 사실에 총체성을 부여하여 보편적 문제로 인식하게 하는 방법으로 파악된다. 이용악 시의 서사적 성취가 갖는 시사적 의의는 이러한 객관적 인식으로서의 시적 언술에 도달해 있다는 점이다. ; The aim of this study lies in analysizng epic trend(mimetic discourse)of lyric genre(poetic discourse)in Lee Yongak’s poems. The concrete analysis of the texts shows how his poems can be attained originality as practical objective texts. This study consists of following process. Chapter Ⅰi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established viewpoints and methods of text analysis. The basis of developing this study is the distinction the text of lyric discourse and that of epic realization- the one builds experiences of concentrating such as referents, images, the other constructs the diverse experience of each incident by composing scenes of characters and actions. Chapter Ⅱ demonstrates as text of lyric discourse achieving the epic realization. First, the lyric discourse shows the aspect of the old house by means of spatial level and sensuous impressions. It is recognized as essential negative space implied death and absence. Secondly, the discourse of lyric realization is achieved by the construction of scenes composed of transmutation of the old house chronologically. This process enables the reader to grasp the problem of society. And the story of birth, growth, moving is presented as diverse and separate experiences which help to construct reliability. The quotated speeches are also a way of objectivity. Chapter Ⅲ concentrates on imaginative system which the text of lyric discourse makes up. Concrete- infinite imaginative system contains visionary solution ranging from the construction of closed space to the unlimited space of death. Discontinuity- Unity imaginative system shows aspect of overcoming reality in such a way as to realize the imaginative oneness with the dead and the absence . Such infinitude and unity, however, are individual’s imaginary solutions. When these complacences are faced with reality, they lose their effect and prove themselves death and absence. Recognizing these problems, Lee Yongak demands text of epic realization. Chapter Ⅳ explains how his lyric genre achieves the epic realization which help to reconcile problematic reality. The discourse of situation construction by characters and actions has both aspects; either the scene of individual’s life slides into the lyric discourse, or it has a key role in evoking problems of society. Through endowing objectivity, the fragmentary ordinary life of scene becomes to attain wholeness and universality. With its concreteness of characters and actions, the discourse of quotation is used as strategy for objectivity. In texts accomplishing epic realization, the problematic reality is compressed into alienation with relatives and the absence of living space. The isolated and lacking situation of reality resulted from these two problems can be solves by constructing cooperative community. Chapter Ⅴ is brief conclusion of this study. By accomplishing epic realization in his lyric discourse, Lee Yongak arrives at poetic discourse as objective recogn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