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42 Download: 0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itle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uthors
염현경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대한 척도를 제작하고 그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국내에 유아용 스트레스 척도가 아직 전무한 상태에 있어 국내 실정에 맞는 유아 스트레스와 관련된 정확한 연구 결과가 나오기 어려운 상황에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한국형 유아용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Ⅰ에서는 기초조사 및 예비 연구를 통해 문항을 추출하였고, 연구 Ⅱ에서는 척도 제작을 위한 본 연구로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Ⅲ에서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순위를 분석함으로써 실제적 시사점에 관해 살펴보았다. 연구 Ⅰ에서는 서울 시내 유치원 5곳과 어린이집 4곳에 재원 중인 만 3-6세 유아 600명과 학부모 732명, 그리고 유치원 원장과 교사 47명을 대상으로 유아가 스트레스를 겪는 상황에 대하여 자유응답 형식으로 응답하게 하여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는데, 자료를 회수한 결과 총 2,345개의 응답이 나왔다. 이 자료에 대해 내용적으로 유사한 항목을 묶어 분류작업을 함으로써 102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구성된 102개 문항에 대해 전문가 29인의 평정(7점 척도)을 거쳐 내용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문항을 65개로 재구성하였다. 재구성된 문항 65개에 대해 각 문항 내용에 맞는 그림 자료를 아동그림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제작하였다. 그림 자료에 대해서도 그림표현의 타당성과 검사 도구로서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전문가 6인과 학부모 2인의 자문을 받았고 유치원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1·2차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6인과 학부모 2인, 유치원 교사 6인의 의견과 1·2차 예비검사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을 고려하여 3차에 걸쳐 그림 자료를 수정하였고 문항수도 61개로 재조정하였다. 61개 문항에 대한 그림 자료가 완성된 후 검사용 카드로 인쇄·제작하여 만 3-6세 유아 300명을 대상으로 3차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요인분석한 결과 비난-공격적 상황에 접함 , 불안·좌절감 경험함 , 자존감 상함 의 3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31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연구 Ⅱ에서는 31개 문항에 대해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3차 예비검사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3-6세 유아 550명에게 실시하였고, 유아의 담임 교사로 하여금 아동 행동을 관찰 평가하도록 하였다. 또한, 550명의 학부모에게 인적 사항,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부모 양육 스트레스 척도가 포함된 설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척도의 신뢰도는 문항 내적일치도 지수인 Cronbach s α로 산출하였는데 전체 α= .80이었으며, 각 요인별로는 .62, .68, .66을 나타내었다. 척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내용 타당도, 구성개념 타당도, 준거관련(공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내용 타당도는 수차례에 걸쳐 전문가에 의해 검증되었다. 구성개념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는 요인분석, t-검증, 그리고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3차 예비 연구 결과와 동일하게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요인으로 3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문항수는 31개에서 23개로 축소되었고 전체 설명분산 값은 79.73%를 나타내었다. 요인 간 상관계수는 .45, .52, .26을 나타내었다. 척도의 구성개념 타당도 검증의 일환으로 집단 간 차이검증을 t-검증으로 실시한 결과, 정상 가정 유아 집단과 결손 가정 유아 집단, 그리고 정상 집단 유아와 행동상 문제가 있는 임상 집단 유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작한 척도가 정상 가정 유아 집단과 결손 가정 유아 집단, 그리고 정상아 집단과 임상 유아 집단을 잘 판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척도가 이들 집단을 구분짓는 판별 척도임이 검증되었다. 준거관련(공준)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는 본 척도와 타 척도와의 상관을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로 구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와 유아의 행동 관찰 척도(KPBQ)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r=.13, p<.05). 또한,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하위 요인들과 타 척도의 하위 요인들 간의 종합적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한 결과에서도 본 척도의 준거관련(공준) 타당도가 지지되었다. 그리고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와 타 변수 간의 상관을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알아본 결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와 가정의 월평균 수입 간 상관 및 과외·학원의 수 간 상관은 모두 유의한 부적상관(r=-.12, p<.05)을 나타냄으로써 본 척도의 준거관련(공준) 타당도가 지지되었다. 연구 Ⅲ에서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내용의 순위를 산출하기 위하여 유아 지각과 어머니 지각에 대한 순위를 각각 분석하였고, 유아 지각과 어머니 지각 간 순위를 비교하기 위하여 순위 간 상관계수를 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로 산출하였는데 유의한 순위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ho=.75 p<.001). 따라서 그 결과에 대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척도 제작 과정과 척도의 신뢰도·타당도, 그리고 본 연구 결과가 제공하는 실제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제작되지 않은 학령 전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였다는 점, 그리고 유아가 직접 응답하는 체계로 척도를 제작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자, 유아교육 관련기관 종사자, 학부모나 교사 및 일반 성인들이 유아를 이해하고 교육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작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재검증하기 위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보다 많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echool children s daily stress scale and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Since a prechool children s stress scale appropriate for Korean preschool children is non-existent, an accurate test result of Korean preschool children s stress can not be mad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preschool children s daily stress scale which is appropriat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In order to develop such a scale, primary research and pilot study were done as mentioned in STUDY I.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verified in STUDY II. And the rank of the preschool children s daily stress items was analyzed to provide discussions for more practical issues in STUDY Ⅲ. In STUDY I, 600 preschoolers(ages 3-6), 732 parents, 47 teachers including directors at five kindergartens and four day care centers in Seoul were interviewed through a open question method which asked them to provide a written explanation of the situation which generates stress. A total of 2,345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they were initially divided into 102 different items. After consulting 29 professional evaluators who evaluat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using the 7-point scale, the number of items was readjusted to 65 items. A professionally done drawing was added for each of the 65 items. To test the validity of drawing and as a test tool, six professional psychologists and 2 parents were consulted, and also tested twice by 20 preschoolers as a pilot study. As a result of pilot study and consulting, 65 items were further adjusted to 61 items. The drawings were modified three times to reflect the results of the pilot study. After ready for the drawings of the 61 items, printed as a test card and tested third pilot study by 300 preschool childrens and after factor analysis, "experience anxiety-distress", "hurt pride", and "encounter criticized-violent situation" were found as three factors and 31 items were finally selected. In STUDY II, the 31 items were further tested. Using the same method as the third pilot test, final 31 items were tested by 550 preschool children. The teachers of those children s were asked to observe their students behavior and provide their professional evaluation. Also, the parents of the 550 preschool children were asked using a questionnaire to provide their personal information, their children s daily stress scale, and their own parental stres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calculated by Cronbach s α coefficient and the total α=.80 and the calculation for each factor was .62, .68, and .66, respectively.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ale,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riteria-related(concurrent) validity were teste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several times by professional. Factor analysis, t-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and factor analysis was proved to be similar to that of the third pilot test which resulted in the same three factors and the number of items was further adjusted to 23, and the total explained-variable value was 79.73%. Inter-factor correlation for the three factors was measured at .45, .52, and .26, respectively.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the t-test was conducted between a group of children from normal-family preschool children group and a group of children from single-parent preschool children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a group of children who showed normal-children group and a group of children who showed clinical-children group, and the result was significant. Also the result of the discriminant analysis conducted to verify the discriminant nature of the scale developed by this study in discriminating between normal-family preschool children group and single-parent preschool children group, and between normal-children group and clinical-children group was proved as a discriminant scale which specifies those groups. For the verification of criteria-related(concurrent) validity, a correlation between the scale and other scale was measured by Pearson 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13, p<.05) between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KPDSS) and Korean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KPBQ).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supported by this study was also verified through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hich analyzed al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factor of the preschool children s daily stress scale and other scale s subfactors. After a correlation between the KPDSS and other variables was measured by Pearson 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criteria-related(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supported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KPDSS and the family s monthly income, and between KPDSS and number of extracurricular lesson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r=-.12, p<.05). In STUDY III, the rank of the preschool children s perception and their mothers perception were arranged and analyzed to calculate the rank of the preschool children s daily stress factors. And to compare the rank between mothers perception and the children s perception, Spearman 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he result shows significant rank correlation coefficient(rho=.75, p<.001). Therefore, the practical issues regarding the result were discussed. Also, the scale development procedure and its reliability, validity discussed and practical issues were discussed.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this was the first preschool children s daily stress scale developed yet in Korea with the direct response and input from Korean preschool 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most helpful for preschool teachers, parents, and any other people who may have interest in child education to better understand and better educate children. Further study and research to re-verify the scale developed by this study may be necessary. Also, more field testing of the scale developed by this study through a greater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is needed to achieve the standardization of the newly developed sca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