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4 Download: 0

사회주의, 변형된 사회주의 혹은 자본주의화 : 중국농촌의 소유제ㆍ소득분배와 중국사회주의 성격의 변모

Title
사회주의, 변형된 사회주의 혹은 자본주의화 : 중국농촌의 소유제ㆍ소득분배와 중국사회주의 성격의 변모
Authors
신은영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thesis aims at critically reviewing the argument that inequality is growing in the Chinese reform era because the era began by criticizing Mao s egalitarianism and encouraging material incentives. It also reviews the argument that the growing inequality in China would threaten the maintenance of the socialist system which pursues a communist society guaranting equality. This thesis analyses Chinese socialism in the reform era in relation to equality by examining the assumption, " The Mao era of China was so equal as to be a socialist state while the reform era is the reverse." That there is growing inequality in the reform era itself is not denied in this thesis. The thesis focuses on how the Mao era was equal and how the reform era is not, and whether the growing inequality really threatens the socialist regime. During the reform era, rural China was the main stage for the change of property ownership and the growing gap in income distribution, while property ownership did not change much in urban areas. Decollectivization allowed peasants to dispose of some of their products freely, and this created the possibility of enlarging the income gap between households. Issues like the growing income gap between peasants who engage in agriculture and peasants who get a job in the factory, and the possible appearance of income from property and exploited wageworker after private enterprises were allowed at the end of the 1980s, made it possible for it to be said tha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ould have difficulty in preserving a socialist country. The CCP(Chinese Communist Party) insists that the Chinese reform era is the socialism of the primary stage and urges that China can enter into the communist stage if productivity level develops to the level of matching the public ownership already achieved in 1956. They insist that primary stage socialism is closer to Scientific Marxism than the Mao era which pursued radical transformation to the communist stage with a poor material foundation, assuming that infrastructure influences superstructure. Then how could the CCP justify the inequality growing in the process of promoting productivity in the framework of socialism? The CCP argues that the rule of income distribution according to labor should be allowed in the primary stage socialism, and that the growing inequality, to some extent, could not be a big problem so long as the means of production belongs to the whole people in the primary stage. The CCP thinks that private enterprises in the primary stage are also accepted inside socialism. They insist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exploitation because private entrepreneurs themselves must work and all of workers in the private enterprises own their means of production. The private sector is to exist only as a supplement to the public sector with the CCP being in control. However, the CCP s insistence contains a theoretical inconsistency. They claim, on the one hand, that if only productivity, an infrastructure, is developed, the communist stage will naturally come. On the other hand, the CCP wants to incorporate private enterprises into a communist framework. That is, they want to direct the private sector into the public sector, and this involves the interference of superstructure. The Mao era is well-known for emphasizing ideological spirit more than material incentives, and for the egalitarian income distribution achieved through rural collectivization. However, egalitarianism could not guarantee equality or the transformation to the communist stage, given the chronic lack of material foundations in the Mao era. During the Mao era, the income distribution system of urban workers was divided into 8 levels according to working hours and skills. The highest income echelon of the factory was from 2.5 to 7 times the lowest on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urvey research of 12 urban factories from 1963 to 1974. Meanwhile the peasants who could not secure basic staples sometimes were in an unequal situation, compared to urban workers, who benefited from food rationing. Even in the countryside, which was famous for its egalitarian way of living, the incom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brigade was quite big. Moreover, inside the brigade, the household which earned the highest income obtained 4 to 7 times more income than the household with the lowest income. In this case, the income gap was mostly due to the household labor structure. After the revolutionary attempt induce a radical increase in productivity brought about nationwide starvation, Mao Zedong never reconsidered an ideological movement ignoring economic reality or the productivity issue . However, his ongoing policy of restricting material incentives guaranteed neither the transformation to the communist stage nor economic development. Despite his egalitarian policy, Mao s heavy industry- oriented development strategy naturally brought about inequality between the urban and the rural sector and between coastal and inland areas as the strategy siphoned the capital off the countryside. Deng Xiao-ping received the lesson from Mao s revolutionary policy that all the people cannot be rich simultaneously, and that trying to make this happen leads to general poverty. Thus, he began a reform policy of developing the economy by encouraging some people to become rich first and then to enable the rest of the people to become rich. This thesis attempts to show that even though the CCP has allowed significant income gaps, and private enterprises, the income gap between households in the countryside has not been growing much compared to the Mao era. There are various reasons for this, such as collective ownership, including land and TVEs(Town and Village Enterprises), and the contribution of private enterprises to peasants income and village finance. Various survey research of coastal and inland areas, including my own field research, validate this claim. Most of the peasants surveyed answered that their standard of living has markedly improved after the reform era compared to Mao era, and that will it continue to improve for years to come. Even though private entrepreneurs can obtain considerable income from property, there is no class conflict between private entrepreneurs and peasants because peasants regard them positively, seeing them as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creating more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in the partly marketised economy, private enterprises are still under the control of the local government. The Mao era pursued an egalitarian policy which did not lead to equality. In the reform era, the CCP justified the income gaps and allowed the private sector, but kept the relative equality compared to the Mao era. The CCP will keep some policies, such as public ownership of land and enterprises, and restriction of private enterprises by the communist party. If the heightening of productivity does not lead to the communist stage, the CCP has to control every possible change. And the pivotal issue in keeping socialism will then be how far the communist party can exert control over the country. ; 이 논문은 모택동 시기가 평등했던 반면 모시기의 평균주의를 비판하고 물질적 유인을 강조하는 개혁시기에는 필연적으로 불평등이 생겨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중국공산당은 평등한 공산사회를 목표로 하는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기 힘들 것이라는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은 개혁시기에 불평등이 확대되고 있는 것을 부인하는 것이 아니고 "모택동 시기는 평등했기 때문에 사회주의 사회였고 개혁시기는 불평등해질 것이므로 사회주의가 아니다."라는 가정을 검토함으로서 평등의 문제와 관련하여 개혁시기의 사회주의의 성격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정을 검토하기 위해 모택동 시기는 어떻게 얼마만큼 평등했는가, 그리고 개혁시기의 불평등의 내용은 무엇이고 그것이 체제유지에 위협이 될 만큼의 사회갈등을 유발하고 있는가를 검증한다. 개혁시기에는 주로 중국농촌을 중심으로 소유제의 변화가 일어났고 그로 인해 소득분배의 격차가 확대되었다. 도시의 경우에는 全人民所有制인 國有企業이 큰 변화 없이 지속된 반면 농촌에서는 집체가 해체되면서 농가의 생산물 처분이 자유로워져 집체단위로 생산하고 수입을 배분하던 모택동 시기와는 달리 농가간 소득격차가 확대될 소지가 생겼으며 농촌의 공업활성화 정책에 의해 농업에 종사하는 농민과 공업에 종사하는 농민간의 소득격차가 확대되는 것은 소득격차의 문제를 넘어선 계층간의 갈등을 야기할 가능성을 예측하게 했다. 게다가 1980년대 후반 사영기업의 허용으로 자산소득의 생성과 이것의 사적소유, 그리고 임노동 착취 등이 문제도 대두되었다. 이러한 변화들이 소유제와 관련하여 중국이 사회주의를 유지하기 힘들 것이라고 예측하게 하는 가장 첨예한 것들이다. 개혁시기 중국 공산당은 "중국은 1956년에 이미 생산수단의 공적 소유가 완결되었기 때문에 생산력만 발전하면 공산주의 사회에 도달할 수 있다"는 社會主義初級階段論 으로서 개혁시기 중국사회가 여전히 사회주의의 틀 안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개혁시기는 물질적 토대가 빈약한 상태에서 공산주의 사회로의 조속한 이행을 이루려 했던 모택동 시기보다는 보다 과학적인 마르크스주의를 추구하고 있다고 한다. 생산력의 발전 이라는 하부구조의 변화를 꾀하여 생산수단의 공유화 라는 이미 완성되어 있는 상부구조와 합치되게 하여 자연스럽게 공산주의 사회가 도래하는 것을 추구한다는 측면에서 과학적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개혁시기 공산당은 생산력을 지속적으로 높이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불평등의 문제와 사유제의 부활을 어떻게 정당화하고 있을까? 공산당은 평등 의 문제에 있어 사회주의 초급단계에서는 누구나 노동자일 따름으로 계급차별은 없다고 전제하고 다만 노동량에 따라 분배가 달라지는 것 을 인정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는 불평등이 어느 정도 확대된다 해도 생산수단이 인민에게 속한 이상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고 한다. 사영기업 의 문제에 있어 공산당은 사영기업을 허용하여 생산력이 높아지면 개혁정책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공산당이 지도하고 감독하여 공유제의 보충성분이 되는 한도 내에서 인정하겠다고 한다. 그러나 지도와 감독을 통해 사영기업을 공유제의 범위 내에 포함시키겠다는 공산당의 주장은 상부구조의 개입을 뜻하는 것으로 하부구조만 변화하면 공산주의 사회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라는 초급단계의 사회주의론 과 이론적인 모순을 드러낸다. 이론과는 별개로 실제적인 검증은 개혁시기 공산당이 先富論 을 통해 빈부격차를 용인하고 사영기업도 허용하고 있지만 중국농촌에서는 토지 및 향진기업의 집체소유, 사영기업의 농민소득 기여도 등의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촌락단위의 소득격차가 모택동시기에 비해 크게 확대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소득격차는 확대되었지만 그 원천이 농업외 소득에 기인한 것이므로 첫째, 모든 농가가 고르게 농업외소득의 기회를 가지면 가질수록 더욱 평등한 경제여건에 처하게 되고 둘째, 소득격차가 가족생애주기 즉 시간상 변화하는 농가노동력구조에 의해 달라지기 때문에 소득 불평등에 대한 불만이 적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사례조사결과와 본 연구자가 직접 실시한 江西省, 湖南省, 黑龍江省의 9개 촌락의 사례조사를 통해 농민들의 생각을 전달하려 하였다. 중국의 8억 농민은 개혁정책의 수혜자들이라고 할 수 있으며 조사대상자 중 대부분이 "생활수준이 개혁이전에 비해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앞으로도 더욱 좋아질 것이다"라고 대답하여 공산당 통치의 안정된 지지기반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비록 사영기업주와 개체 공상호가 상당한 자산소득을 얻는다고 하여도 농민들이 이들을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취업기회를 확대해 준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과의 갈등이 심하지 않고 사영기업주들 또한 부분적으로 시장화된 상태에서 지방 정부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1996년 현재 국가공업 총 생산부문의 15%에 가까운 사영기업에 대해 공산당의 조정역량은 아직까지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모택동 시기는 물질적 유인보다는 이념적 요인을 강조하고 농촌집체화를 통한 평균주의적 수입분배를 실시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평균주의가 완벽한 평등을 보장한 것은 아니다. 도시의 노동자들의 수입은 노동시간, 기술 등에 의해 8등급으로 나누어진 보수체계에 따라 결정되었는데 1963년부터 1974년까지 여러 공장들의 최고임금은 최저임금의 2.5배에서 7배에 이르는 것이었다. 한 편, 농민들은 안정되게 식량을 분배받는 도시노동자들에 비해 생존이 보장되지 않을 정도로 빈곤하다는 점에서 불평등했다. 대체로 빈곤했던 농촌내부에서도 빈곤한 생산대와 더욱 빈곤한 생산대간의 차이는 컸다. 또한 가장 평준했다고 여겨지는 생산대 내부에서도 수입이 가장 높은 농가가 가장 낮은 농가의 4배에서 7배에 이르는 소득격차가 나타났는데 이는 주로 가족생애주기(family life cycle) 에 따른 농가노동력구조의 차이에 의해 야기된 것이었다. 1957년부터 1959년까지 낙후한 경제상황에서 급격한 생산력 향상을 이루려 했던 모택동의 혁명적 방식은 대규모 기아상태를 야기하였고 그 이후 모택동은 경제적인 현실을 무시하지 않는 실용적인 자세를 고수하였다. 그렇지만 모택동 시기의 물질적인 유인을 제한하는 정책들은 평등을 가져오지도 못하면서 경제발전도 답보상태에 머무르게 하였다. 모택동이 평균주의적 분배를 실시했다고는 하지만 그가 근대화된 중국을 이루기 위해 실시한 방식은 농촌으로부터의 자본추출을 통한 중공업 위주의 발전전략이었고 이는 필연적으로 도시와 농촌, 연해와 내륙간의 불평등을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 모택동 시기는 평균주의 정책을 고수했지만 평등 하지 않았다. 개혁시기는 선부론 을 통해 빈부격차를 정당화하고 사영기업조차 인정하였지만 아직까지는 상당한 평등 을 유지하고 있다. 등소평의 개혁정책은 모택동 시기와 일견 반대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현실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사회주의 실험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일관성이 있다고 본다. 개혁시기 공산당은 공산당의 통치와 사회주의의 유지를 위해 기본적으로 토지의 공유, 호구제도의 유지, 사영기업의 제한 등의 정책들을 유지해 나갈 것이다. 중요한 것은 개혁시기 중국사회가 공산당이 주장하는대로 생산력만 발전하면 공산주의 사회에 이르는 것이 아닌 이상, 공산당이 향후 발생할 변화를 모두 통제할 수 있어야 사회주의체제가 유지되기 때문에 공산당의 역량이 언제까지 갈 것인가가 문제가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