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9 Download: 0

14-16세기 이태리,프랑스와 조선전기 궁정무용 양식 비교연구 : 왕비의코믹발레(Le ballet comique de la reine)와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작품을 중심으로

Title
14-16세기 이태리,프랑스와 조선전기 궁정무용 양식 비교연구 : 왕비의코믹발레(Le ballet comique de la reine)와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작품을 중심으로
Authors
이미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similarities between Renaissance dances that had flourished mainly in Italy and France from the 14th to 16th century and Korean court dances of the Chosun dynasty ( the early period of Chosun dynasty chronically coincides with the Renaissance) and what significan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f any, can contribute to the historical studies of each respective dance through comparison and examination. Reference to literature and interviews were utilized as research methods. On theoretical background, discussions has been centered on such following topics by obtaining corroborative data and evidences as extensively as possible, historical and artistic background of the Renaissance and early Chosun dynasty period, modes of court entertainment and the role of dances in the court entertainment, ideological aspects, characteristic structures and movements of court dances, and elements of dance that could have influenced the political and artistic aspects. Modes of each court dance have been compared and examined mainly around two representative works of the two cultures, i.e., "Comic ballet of a Queen" and "Hak-yeonhwadae- cheyongmu- hapseol" The objective of which was to clarify the dance elements mentioned- above and to extend and supplement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dance. The 14th- 16th century court dance of Italy and France started as a method of entertainment and leisure and developed into a composite form of art such as the " Comic ballet of a Queen" The early origins of classical ballet can be traced to the 14th century court dance and development of the Renaissance dances. Though it did not develop into an independent form, it represents well the spiritual, political, and entertainment aspects of that era. As it is common in most forms of art, dance was developed by the ruling class as a method of expressing the political power of sovereign state. A notable trait of the Renaissance dance is that the nobility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court dances and together with poetry, song, music, stage designs and costumes developed into a composite form of art. The early Chosun dynasty court dances also developed from state events and banquets. The main subject and contents of "Hak- yeonhwadae Cheyongmu- Hapseol" and other early Chosun dynasty court dance were, establishment of the dynasty, commendation of the King s achievements and display of the King s authority. The court dances of this era were based on memorials commending the King s achievements on which music would be composed. The court dances were performed in ceremonies in which such memorials were presented . As such, court dances focused on justifying the King s rule and reflected the social, political demands of the times rather than the artistic choreography and structure. The court dances of the two cultural spheres both had tendencies to reflect the periodical esthetics and political interests. Nor only did the court dances provide entertainment for the King and the ruling class, but also served as a political function to solidify sovereign authority, as a central power system. Also, from a positive perspective court dances, together with poetry, music, song, stage designs and costumes developed as a comprehensive form of art and provided the basis of future evolution of art. Negatively, this prevented dance from developing into a independent form of art. This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ompares and analyzes the historical traits and modes of each respective era and horizontally compare it s culturally and socially different structures. Second, in studying court dance s functions and significance in it s earliest stages, it provides the basis to further analyze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influence on modern society. Third, together with our experience and tradition, it provides the basis to establish a theory in the art of court dance. ; 이 논문은 서양의 경우 르네상스 시대를, 우리나라 경우 조선 전기를 역사적 시기로 잡아, 14-16세기라는 동일한 시기에 이태리와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르네상스 무용과 우리나라 궁중무용을 연희무용의 측면에서 양식적으로 비교연구함으로써 이들이 어떤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들 유사성과 상이성이 각각의 무용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의미를 던져줄 수 있는지 살펴봄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방법론과 인터뷰기법을 채택하였다. 연구의 방향으로는 실증적인 자료를 가능한 한 널리 확보하여 구체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두 문화권의 시대적. 예술양식적 배경을 밝히며, 각각의 궁정연희양식 및 두 문화권의 대표적인 작품「왕비의코믹발레」.「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분석을 통해 구성 및 움직임, 정치사상, 종합예술의 측면에서 각 양식의 특성을 발견함으로써 지금까지의 무용사 연구에 관한 논의를 확충하고 보완한다는 데에 논의 전개의 중심을 두었다. 14 - 16세기 이태리. 프랑스 궁정무용은 연희 여흥에서 시작하여 「왕비의 코믹발레」와 같은 예술의 복합체 형태를 갖추며 발전하여, 14세기 궁중 여흥무용이 이후 고전발레로 발전하게 되는 계기를 르네상스 궁중무용의 발달 과정과 함께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비록 독자적인 형태를 갖추지는 못했지만 그 시대의 정신과 정치적 특성, 오락적 측면도 포함된 시대상을 갖고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보편적으로 모든 예술이 그러하듯이 무용활동 역시 통치계층이 중심이 되어 무용이 통치자의 권력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데, 특히 르네상스시대 귀족들이 직접 참여했던 궁정무용은 귀족을 위한 귀족들이 추는 춤으로서 시. 노래. 음악. 무대장치. 의상 등과 함께 복합적인 형태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조선 전기 궁중무용 또한 국가가 주관하는 각종 경사나 행사, 궁중향연, 외국의 사신을 위한 연희에서 발달된 무용으로 「학연화대처용무합설」과 조선 전기에 창작된 궁중 정재의 내용은 주로 창업과 왕이나 국가의 업적, 번영을 찬양하거나 왕의 권위를 과시하기 위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 시기의 궁중무용은 왕의 업적을 찬양하는 상소의 글이 올려지고 이에 맞는 악장이 먼저 만들어진 다음 그 악장을 진상하기 위한 의식적인 절차로서 만들어져서, 당시 궁중 정재가 예술적 안무와 구성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왕권의 정당성을 합리화하는 내용과 그 시대의 사회적, 정치적인 요구에 부응한 목적성이 더 강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두 문화권의 궁중무용은 모두 시대적인 미학 혹은 정치적인 관심사를 직접적이고 뚜렷하게 반영하는 경향을 지닌 것으로서, 왕이나 권력계층을 위한 여흥이나 오락. 또는 감상의 대상으로서 뿐만 아니라 왕권의 강화를 위한 중앙집권적 체제확립과도 무관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무용의 정치적인 기능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시대보다도 시. 무용. 음악. 노래. 무대장치. 의상 등 각 분야가 총체적으로 조화를 이룬 종합예술양식인 만큼 미래예술방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무용이 독자적인 방식으로 발전하여 예술적인 측면에서 독립. 승화될 수 있는 점은 부족하였던 부정적인 면도 발견할 수 있다. 이 논의는 첫째, 각 시대의 역사적 특성 및 양식을 비교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문화적으로나 사회적으로 판이한 구조 속의 두 무용양식을 횡적으로 비교 연구했다는 점, 둘째, 무용의 발생기에 춤이 가지고 있던 기능과 의미를 연희 양식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무용이 가진 당대적 의미는 물론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의미까지도 새롭게 조명해볼 수 있었다는 점, 셋째, 이를 기반으로 하여 우리의 경험과 전통에 입각한 무용예술 이론을 설립할 수 있는 길을 터놓았다는 점 등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