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2 Download: 0

여성의 성건강 개념 개발 연구

Title
여성의 성건강 개념 개발 연구
Authors
김계숙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성건강이 총체적 건강의 맥락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하에 간호사가 여성의 건강 유지, 증진을 위해 성건강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성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마련하고자 문헌과 현장애 나타난 여성의 성건강의 의미와 구조를 확인함으로서 성 건강 개념을 분명히 밝히고자 한다. 여성건강은 여성건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성과 관련된 건강문제는 각 학문영역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고 적용되고 있으며 문화적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개념이다. 또한 성에 대해 여성 개인이 갖는 개념에 따라 성건강 행위가 달라진다. 여성의 성건강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여성이 갖는 성 개념과 간호사가 갖는 성 개념에 괴리가 없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여성의 성건강과 관련된 문제는 성이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이기 대문에 연구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여성건강은 여성이 스스로 건강을 유지, 증진할 수 잇는 능력을 갖는 것이며 이를 위해 간호사는 힘, 지식,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므로 여성의 성건강을 위해서는 여성이 자율적으로 성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여성을 돕기 위해서는 여성과 간호사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성건강 개념이 도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각 학문영역에 나타난 성건강 개념과 1998년 한국이라는 시공간적 틀과 연관속에서 일반여성이 성건강 개념을 어떻게 형성하고 있는가를 함께 탐구하고 문헌을 통한 연역적이고, 논리적인 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는 Schwartz-Barcott, Kim(1993)이 제사한 Hybrid 모형을 사용하여 이론적 단계, 현장작업단계, 최종분석단계를 거쳐 여성의 성건강 개념을 확인하고 서술하였다. 이론적 단계에서는 간호학, 의학, 생물학, 여성학, 사회학, 성과학, 철학등 다학제적인 문헌을 고찰하여 여성 성건강의 속성 및 작업적 정의를 제시였다.현장작업단계에서는 질적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이론적 단계에서 시작된 분석을 확장, 통합하고 정련하기 위해 2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1998년 3월부터 9월까지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참여자를 직접 만나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자의 동의를 얻은 후에 여성 성 건강에 대해 관심이 잇거나 기꺼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참여자로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여 심층면담과 직접관찰을 하였으며, 면담내용은 녹음을 하였다. 녹음된 자료는 즉시 문서화하였고 이때 Schatzman과 Strauss(1973)의 관찰기록, 이론적 기록, 방법론적 기록의 기록체계에 따라 현장노트를 작성하여 자료를 조직화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trauss&Corbin(1990)이 제시한 자료분석과정으로 녹음 기록된 면담자료는 문서화하여 주의 깊게 읽으면서 여성 성건강 개념의 범주를 찾아냈다. 본 연구의 사례진술은 성건강 개념의 명료화와 분석을 위해 Wilson(1969)이 추천한 개념분석유형 사례, 즉 모델사례, 반대사례, 경계사례, 관련사례에 따라 성건강의 범주와 속성을 제사하였다. 최종분석단게에서는 문헌과 현장에서의 여성의 성건강의 범주와 속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의 성건강은 10개의 개념적 구조로 범주화 되었으며 각 범주에 2-6개의 속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성의 성건강의 범주와 속성은 : ㆍ성적 자아에 대한 인식과 수용으로 성정체성 확립과 수용, 성적 가치관 확립, 긍정적 신체상, 성 관념의 억압부재, 성발달 주기에 따른 적응이다. ㆍ생명창조능력으로 생명출산 능력, 생식조절능력, 생식 관련 신체적 문제 부재이다. ㆍ삶의 활력이나 즐거움으로 몸의 성적 능력 탐색, 상호관계시 성적 일치감이나 만족감, 성관련 신체적 문제 부재이다. ㆍ성적 편안함으로 성적 상호관계시 편안한 심리, 성적으로 불편한 심리적 요소가 없는 것이다. ㆍ성적 친밀성으로 성적 상호관계 강화 요소 존재, 성적동기와 선책이 내재된 친밀한 성적 상호관계, 성적 상호관계 방해요소 부재이다. ㆍ성적 자율성으로 자가돌봄능력, 생식 조절 능력, 성관련 제반 상황에서 몸에 대한 자기 결정, 선택, 책임이다. ㆍ성적 자부심으로 성정 주체성 확립, 건강한 생활양식 보유, 자아실현, 삶의 질 향상이다. ㆍ성건강 문제 부재로 성×생식 기능 방해요소 부재, 성적 상호관계 방해 요소 부재, 성적으로 불편함이 없는 심리 상태, 성관념 억압 부재, 신체기능 변화요인 부재, 타율적 성행위 부재, 파괴적 성경험 부재이다. ㆍ성적 승화로 성적 각성 추구, 영적 각성 추구이다. ㆍ창조적 배려로 자기 헌신적 배려, 상호 배려이다. 여성의 성건강의 개념적 구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여성의 성건강은 성적 존재인 여성이 성적 삶을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역동적 과정으로 부정적 혹은 긍정적 경험을 포함하는 인성중심적인 개념이다. 연성의 성건강은 여성으로서 성적자아를 인식하고 수용하는 과정으로 성정체성 확립과 수용, 가치관 확립,긍적적 신체상, 여성의 생애주기별 성발달에 적응 , 성건강 관념이 억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난다. 여성의 성건강은 성×생식관련 신체적 문제가 없는 상태에서 경험하는 생명청조의 능력이며, 삶의 활력이나 즐거움을 추구하는 성적 능력으로 성적 일치감이나 만족감이 있는 상태이다. 여성의 성건강은 성적 동기와 선택이 내재된 친밀한 성적 상호관계이며 성적 상호관계를 방해하는 요소나 성적으로 불편함이 없는 상태이다. 성적 자율성은 자가돌봄, 생식조절, 성×생식관련 제반상황에서 몸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선택과 책임이 따르며, 신체기능 변화요인 부재, 타율적 성적 관계 부재, 파괴적 성경험 부재 상태를 나타내는 여성의 실천능력이다. 또한 여성의 성건강은 여성의 성역활에 따른 적응능력을 높여 건강한 성적 생활양식을 보유한 상태로 성적 주체로서 자부심을 나타낸다. 한편 성적 각성과 영적 각성을 추구함으로서 성욕구의 승화를 경험하며 창조적 배려가 내재된 자아실현을 도모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과정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간호의 대상자인 여성은 총체적 성적 인성이며 성건강이란, 정신, 신체, 사회 영적 건강에 성건강이 통합되어 조화를 통해 여성의 삶을 질을 풍부하게하는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건강의 개념속에 적응능력, 성적주체로서의 자부심, 성적자율성, 창조적 배려와 같은 여성의 잠재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긍정적 능력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유교사상에 의해 성 규범의 이중성이 존재하여 한국여성은 남성에게 순종적인 태도를 보여야 한다는 고정과념으로 우리의 성문화가 규정하는 여성 성을 가장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것으로 믿고 보편적인 성 규범을 추구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성적 승화와 창조적 배려는 전통적 성규범을 인식하면서 성적 자아에 대한 깨달음으로 나타난 성건강 범주이다. 여기에 포함된 속성은 성적승화에는 성적자각과 영적 자각, 창조적 배려에는 자기헌신적 배려와 상호적 배려이다. 또한 성건강이 총체적 건강으로 통합되도록 하기위해서는, 여성의 성건강은 간호현장에서 간호실무자들의 필요한 역할이고, 중요한 간호임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여성 성건강 개념을 간호실무자들이 간호현장에 적용하고자할 때 성건강 개념 구성요소의 각각의 내용을 간호에 포함시켜야하며, 여성 성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상담을 위한 면담체제와 건강교육을 위한 정보전달체제를 구축하여 이를 토대로 예방과 안녕을 강조하는 여성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ㆍ핵심어 : 여성의 성건강, Hybrid 모형, 개념 개발. ; There is a need to define the concept of women s sexual health to clarify and to redefine it in nurs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develop the concept of women s sexual health in Korea.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 is a Hybrid Model developed by Schwartz-Barcott and Kim for concept development and analysis. The processes and procedures consist of the Theoretical Phase, the Fieldwork Phase and the Final Analytical Phase in accordance with the Hybrid Model. In the Theoretical Phase, women s sexual health is reviewed including human sexuality, women s sexual health, women s sexual health promotion, women s sexual health nursing and reproductive health nursing for the analysis of a women s sexual health concept. Through this analysis a working definition is prepared for the Fieldwork phase. In the Fieldwork Phase, 20 subjects are included in the study under the various sexual health conditions.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phase is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subject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are record on tape. The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is progressed by the method recommended by Strauss and Corbin. Interview Data is categorized by the inductive progress. The result of this phase is described in the order of the category, the property and the empirical definition of women s sexual health. In the Final Analytical Phase, the redefinition of women s sexual health is establish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results of documents and fieldwork. The application of women s sexual health concept to nursing is reviewed. This research reveals the category and character of Korean women s sexual health, according to the case studies of concept analysis by Wilson to clarify and analyze the concept of women s sexual heal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new definition of women s sexual health is suggested: Women s sexual health is a human-centered concept that includes the negative or positive experiences in a dynamic progress in which women, as sexual beings live and experience sexual lives. It can be maintained by the establishment and acceptance of gender identity as a progress in which women perceive and accept sexual self concepts, by the establishment of a sexual value system and by the adaptation of sexual development across women s life span positively and without oppressing the concept of sexual health. It is the ability to create life under this condition without problems related to sex and reproduction, and the sexual agreement and satisfaction with sex to pursue pleasure and vitality. Sexual autonomy is care of one s self, controlling reproduction and making decisions about the body with all the conditions related to sex and reproduction. Pride as a sexual being under the conditions that maintain healthy sexual lives by raising the adaptability of the sexual role. The pursuit of sexual and spiritual awareness makes quality of life better through self-realization with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ce of sexual desire and the creative caring. In conclusion, we confirm that women, as nursing subjects are complete sexual beings and sexual health enriches the quality of women s life by integrating and harmonizing the spiritual, physical, social and sexual aspects of character. There is a duality of sexual morals created by traditional Confucianism in Korea. The fixed idea that Korean women have to be obedient to men has defined our sexual culture. Korean women have believed that sexuality, defined by our sexual culture is the natural, normal and universal sexual standard. The sexual sublimation & the creative caring revealed in Korean women s sexual health are the awareness of the sexual self. Therefore, when the nurses apply the concepts of women s sexual health to the nursing field, they have to apply all the components of sexual health. To improve women s sexual health, they have to establish an interview system for a consult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sexual health education. Key word: sexuality, women s sexual health, Hybrid Model, concept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