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순-
dc.creator이현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1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6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7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3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teacher intervention, such as conversation, redirection, and participation in play activity, and social interaction in Kindergarten children. To these ends, five hypothesis were set up in this study. 1.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trained teacher in intervention mothods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a trained teacher, there will difference in duration of group play activity of high social complexity level. 2. Between the two groups mentioned above, there will be duration differences in dramatic play of high cognitive level. 3. In the two groups mentioned above, there will be duration differences in group dramatic play of high social and cognitive complexity level. 4. Between the two groups mentioned above, there will be duration differences in reciprocal social play. 5. Between the two groups mentioned above, there will be duration differences in non-play activ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teachers and twelve children: six boys and six girls. These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for 40 minutes daily, Monday through Friday for 7 weeks. The experimental procedures were in the order of pre-experiment, pre-test, teacher training for intervention,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Scences of each test were recorded with a video camera, which was reviewed by two trained observers measuring duration of children’s play activities. Instrument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ere used for measures of play activity complexity and of social interaction.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collected data were computered by SPSS Computer Program and analyzed by ANC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dramatic play area, use of suitable teacher intervention increased duration of group play with a high level social complexity. 2. In dramatic play area, use of suitable teacher intervention increased duration of both social an cognitive plays a high complexity. 3. Use of suitable teacher intervention in dramatic play are increased duration of cognitive play of a high complexity. 4. In dramatic play area, use of suitable teacher intervention increased its duration of high social interaction. 5. In dramatic play area, used of suitable teacher intervention reduced duration of non-play activit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us, is that use of teacher’s suitable intervention influenced complexity level of play and level of social interaction in children’s dramatic play. ; 본 연구는 유치원의 극 놀이 영역에서 교사 개입(대화, 방향제시, 참여)이 유아의 놀이 행동의 복잡성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따른 놀이의 지속시간에 미치는 효과의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섯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입훈련을 받은 교사가 지도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에는 사회적 복잡성의 수준이 높은 “집단놀이”의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개입훈련을 받은 교사가 지도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에는 인지적 복잡성의 수준이 높은 “극놀이”의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개입훈련을 받은 교사가 지도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에는 사회적, 인지적 복잡성 수준이 높은 “집단-극놀이”의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개입훈련을 받은 교사가 지도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에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은 상호역활적 사회놀이의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개입훈련을 받은 교사가 지도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에는 방관놀이의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대상은 극 놀이 영역에서 사용하는 개입유형이 비숫한 2명의 교사와 총 12명의 유아들(남녀 각각 6명)이다. 이들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졌으며 유치원에 마련된 극놀이 실험실에서 놀이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7주로서 하루 40분씩 매주 월-금요일까지로 하였다. 그리고 실험절차는 예비실험, 사전검사, 교사지도, 실험처치 단계 및 사후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각 장면은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되었으며, 훈련된 2명의 관찰자가 녹화된 것을 TV로 보면서 각 유아의 놀이행동의 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도구)는 놀이행동 복잡성 척도 및 사회적 상호작용 척도이다. 연구결과 수집된 자료는 각 척도별로 SPSS 컴퓨터 프로그램울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공변량분석법(Analysis of Covariance)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극놀이 영역에서 교사개입(대화, 방향제시, 참여)이 있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에는 사회적 복잡성의 수준이 높은 “집단 놀이”의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다. 돌째, 극놀이 영역에서 교사개입(대화,방향제시, 참여)이 있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에는 인지적 복잡성의 수준이 높은 “극놀이”의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다. 셋째, 극놀이 영역에서 교사개입(대화,방향제시, 참여)이 있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에는 사회-인지적 복잡성이 높은 “집단-극놀이”의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다. 넷째, 극놀이 영역에서 교사개입(대화,방향제시, 참여)이 있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에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은 “상호역활적 사회놀이”의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다. 다섯째, 극놀이 영역에서 교사개입(대화,방향제시,참여)이 있은 집단과 그렇지않은 집단간에는 방관놀이행동의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밝혀진 본 연구의 결론은 교사의 적절한 개입(대화,방향제시, 참여)은 놀이의 복잡성 수준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각 수준에 따른 놀이의 지속시간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밝혀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6 C. 용어의 정의 ------------------------------------------------------ 7 II. 이론적 배경 ------------------------------------------------------ 10 A. 교사의 개입 유형 ------------------------------------------------- 10 B. 관련 연구 -------------------------------------------------------- 27 III. 연구방법 -------------------------------------------------------- 45 A. 가설 ------------------------------------------------------------- 45 B. 대상 ------------------------------------------------------------- 45 C. 측정도구 --------------------------------------------------------- 47 D. 연구기간 및 절차 ------------------------------------------------- 51 E. 분석방법 --------------------------------------------------------- 63 IV. 결과 ------------------------------------------------------------- 64 A. 놀이행동의 복잡성 척도 ------------------------------------------- 64 B. 사회적 상호작용 척도 --------------------------------------------- 74 V. 논의 및 결론 ------------------------------------------------------ 79 A. 논의 ------------------------------------------------------------- 79 B. 결론 ------------------------------------------------------------- 86 참고문헌 ------------------------------------------------------------- 88 영문초록 ------------------------------------------------------------- 94 부록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783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극놀이 영역에서의 교사개입이 유아의 놀이 지속시간에 미치는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