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남경-
dc.creator박남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9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7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73-
dc.description.abstractThese days, the physique of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has been improved while their physical strength has not. Nutrition of school children has an effect not only on their physical development but also on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such as the formation of self-consciousness. Furthermore, the nutrition constantly exerts an indirect influence upon the health and growth of adolescents and upon the health for their whole lives over the long run. Thus, it is extremely significant to conduct an education on fostering the knowledge of desirable dietary life, eating habits and eating behavior. Eating behavior is closely related to taking nutrition and for the balanced nutrition, proper eating habits have to be grounded. Since the eating habits already formed in childhood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balanced dietary life even until adulthood, it is tremendously important to have nutrition education during the period when the sense of values is not completely settled. This study aims at re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nutrition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reality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education on public servants of food hygiene(nutritionists) who are in charge of school meals in Kyeongki-do and at presenting the basic data necessary to seek plans for the desirable nutrition education in terms of the introduction of a nutrition teacher system in 2006. As people questioned, the total 683 pubic servants of the regional food hygiene who are working as a nutritionis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Kyeongki-do(596 from elementary schools, 70 from middle schools, 17 from high schools) served as a population. From the group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 drew nearly 30% of them for the census-based stratification. Among them, 274 people of which I was able to obtain their email addresses were questioned via email and the rest of 31 people were surveyed directly. From April 2, 2005 to 15, I sent out 305 copies among which 245 copies were collected.(collection rate: 80.3%) Except the copies with no answers and insincere answers, all 237 copies were used for a study. After analyzing them through SPSS WIN 10.0 program, I reached following results. First, for the current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on people questioned, most of the nutritionists(96.2%) had been conducting nutrition education whose principal method was to employ printed materials. For the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there were good eating habits, balanced meals and nutrition, food culture, right food choice and food hygiene in the order described. The time spent on the education was more than once a week(81.2%), over once or twice a week(12.2%) and everyday(6.6%). As a channel through which people collected educational materials, there were internet data, materials produ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by its own school nutrition society, newspapers, television and radio in order. Also, most of the people questioned(76.2%) said that they held no events related to nutrition education. Second, the people questioned showed high expectation on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correcting an unbalanced diet and recognized the increase in taking processed food, instant food and fast food as problems. For a teaching method, they were perceiving active methods such as cooking practice and individual instruction. As a medium for a class, they understood that actual objects and models would be effective to utilize and the education on correct eating habits would be the proper contents to be seriously carried out in nutrition education. Also, they had cognition of the needs for the cooperative and supporting system of school administrators as an education plan for a successful nutrition education. Third, the survey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ctual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social demographical features indicated that age was a variable having an influence on the collection channel for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operation of events concerning nutrition education. The marital status was also a variable having an influence on holding events related to nutrition education. The job experience was a variable that display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methods and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the operation of events connected with nutrition education. An academic background played as a variable exhibiting the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the type of school meals, in the contents and time of nutrition education. Also, the type of working places was revealed as a variable affecting the enforcement of nutrition education and whether people had a teaching profession course, as a variable affecting the contents and time of nutrition education and a collection channel of educational materials. Forth, the survey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recognition of nutri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social demographical features demonstrated that there existed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n a nutrition problem and a education plan by age. Whether people questioned had children over the age of elementary school was a variable that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n the expectation effect, on a medium for a class, on education contents and on an education plan. The job experience was revealed as a variable that had an influence over the recognition on a nutrition problem and an education plan and the type of a working place, over the recognition on a nutrition problem. Furthermore, the survey showed that the marital status, an academic background, the type of school meals and taking a teaching profession course did not act as a variable affecting the recognition on the nutrition education. In conclusion, the nutrition education conducted in the future should focus on conveying knowledge and establishing the sound eating habits through the induction of the desirable eating behavior based on the knowledge so that children can keep their heathy body and heath.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has to be performed by seeking an educational method that can lead to an active education rather than a passive education and ultimately it should be able to improve the nutrition matters in hand not through the one-time education but through a regular nutrition education. Furthermore, the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so that the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can be held with the appointment of nutrition teachers, which is planned to start from 2006. Besides this, more important element to make sure is that nutritionists have to constantly study and develop the programs and plans of nutrition education with a sense of duty and responsibility for nutrition education. In addition, to boost the nutrition education of schools, education administrators, heads of schools, teachers,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have to realize the significan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the atmosphere supporting the efficient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founded.;최근 학동기 및 청소년기 체격은 향상되었으나 체력의 향상은 그렇지가 못한 형편이다. 따라서 학동기 아동의 영양은 그 시기의 신체적인 발달뿐만 아니라 자아의식이 형성되는 등 정신적 발달도 아울러 이루어지며 연속되는 청년기의 건강과 성장 및 일생의 건강에 장기적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이 시기에는 바람직한 식생활 지식과 식습관, 식행동을 기르기 위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식행동은 영양섭취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균형 있는 영양섭취를 위해서는 좋은 식습관이 형성되어야 하고, 아동기에 이미 형성된 식습관은 성인이 되어서까지 균형 있는 식생활을 위한 바탕이 되므로 가치관이 완전히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시기의 영양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에서 학교급식을 담당하는 식품위생직 공무원(영양사)들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영양교육의 중요성을 재고하고 2006년도부터 영양교사제 도입에 따른 바람직한 영양교육의 방안 모색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자는 경기도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 영양사로 근무하고 있는 지방 식품위생직 공무원(초등학교 596명, 중학교 70명, 고등학교 17명) 총 683여명을 모집단으로 하였다. 초ㆍ중ㆍ고 집단별로 약 30%를 계층표집으로 추출하여 그 중 전자우편주소 획득이 가능한 274명은 전자우편으로 발송 후 조사하였으며 31명은 직접조사를 실시하였다. 2005년 4월 2일부터 4월 15일까지 305부를 송부하여 245부를 회수하였고(회수율 80.3%), 이 중 무응답이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237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영양교육에 대한 실태는 대부분의 영양사들(96.2%)이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었고, 영양교육 방법으로는 유인물이 가장 많았다. 영양교육 내용은 올바른 식습관, 균형 잡힌 식사와 영양, 식문화, 바른 식품선택과 식품위생 순이었다. 교육시간은 월 1회 이상(81.2%), 주 1-2회 이상(12.2%), 매일(6.6%)의 순이었다. 교육자료 수집경로는 인터넷 자료, 교육청 제작자료 및 학교영양사회 자체 제작자료, 신문ㆍTVㆍ라디오 순이었고, 영양교육과 관련된 행사실시 여부는 미실시율(76.2%)이 높았다. 둘째,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은 영양교육 후 편식교정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가공식품ㆍ인스턴트식품ㆍ패스트푸드의 섭취의 증가를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수업방법으로는 조리실습, 개인면담지도 등 적극적인 방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수업매체는 실물이나 모형이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인식하였고, 영양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으로는 올바른 식습관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위한 교육방안은 학교관리자들의 협동 및 지원체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영양교육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면 연령은 교육자료 수집경로, 영양교육과 관련된 행사실시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결혼 상태는 영양교육과 관련된 행사실시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경력은 영양교육 방법, 영양교육 내용, 영양교육과 관련된 행사실시 여부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이었다. 학력은 영양교육 내용에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이었고, 급식유형은 영양교육 내용, 영양교육 시간에, 근무처 유형은 영양교육 실시 여부에, 교직이수 여부는 영양교육 내용, 영양교육 시간, 교육자료 수집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영양교육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면 연령에 따라서 영양문제에 대한 인식, 교육방안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고, 초등학교 이상 재학 자녀의 유무는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 수업매체에 대한 인식,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 교육방안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이었다. 경력은 영양문제에 대한 인식, 교육방안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근무처 유형은 영양문제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결혼상태와 학력, 급식유형, 교직이수 여부는 영양교육 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실시되어야 할 영양교육은 지식을 전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식행동을 유발하게 하여 건전한 식습관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며 건전한 신체와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영양교육은 소극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교육방법을 모색하여야 하고 정기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일회성에 그치지 않아야 하며 현재 당면한 영양문제를 개선할 수 있어야 하겠다. 또한 2006년부터 실시될 영양교사의 배치와 동시에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영양교육 내용을 체계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영양사들은 영양교육에 대한 사명감과 책임감을 갖고 영양교육 프로그램과 실시방안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개발을 해 나가야 하겠다. 그리고 학교 영양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영양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 교육행정가, 학교장, 교사, 학교 행정 담당자, 학부모 등의 영양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효율적인 영양교육이 되도록 지원하는 분위기 형성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영양교육 = 5 1. 영양교육의 필요성 = 5 2. 영양교육의 목적 = 6 B. 학동기 아동의 식생활 습관과 영양 실태 = 8 C. 선행 연구 고찰 = 11 Ⅲ. 연구방법 = 14 A. 조사대상 = 14 B. 조사도구 = 16 C. 자료 분석방법 = 1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0 A. 영양교육 실태 및 영양교육 인식 = 20 1. 영양교육 실태 = 20 2. 영양교육 인식 = 22 B.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영양교육 실태 = 25 1. 영양교육 실시 여부 = 25 2. 영양교육 방법 = 27 3. 영양교육 내용 = 29 4. 영양교육 시간 = 31 5. 교육자료 수집 경로 = 33 6. 영양교육 관련 행사실시 여부 = 35 C.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영양교육 인식 = 37 1.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 = 37 2. 영양문제에 대한 인식 = 39 3. 수업형태에 대한 인식 = 41 4. 수업매체에 대한 인식 = 43 5.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 = 45 6. 교육방안에 대한 인식 = 47 Ⅴ. 결론 및 제언 = 49 A. 결 론 = 49 B. 제 언 = 51 참고문헌 = 52 부록 = 56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83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경기도 지역 학교 영양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ality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education of nutritionists who are in charge of school meals in Kyeongki-do-
dc.creator.othernamePark Nam kyoung-
dc.format.pageix,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