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숙임-
dc.creator이숙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2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7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28-
dc.description.abstractThe study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omplex and various residential spatial structure of Seoul city around the year 1980. In order to understand the urban residential structure, the following three aspects of the problems are presented,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First, the aspect in which how the housing site development influenced the urban structure development through land readjustment project which create physical spatial differentiation as its basic unit in the process of residential area development. Second, the aspect of wha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formation of house rents which is a direct cause for a residential area selection and residential differentiation. About the half of household of Seoul city reside in rental houses which resulted in most dynamic factor for the residential area differentiation in residential area selection. Third, the aspect in which the composition of urban residential structure is an integral result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Following those three aspects, the author intented to identify the urban structure of Seoul city.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how the spatial differentiation is created by what sort of process and mechanism.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oretical basis required for residential area allocation and future urban plann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fact that the study is a work effort of constructing the theory for studding urban area in Korea, which went through a similar development process and also the study can provide a bas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urban structure. In solving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several view points of study are established and proper analytical methods are presented. First, the housing policy(land readjustment project,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and housing construction process, form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within an unit area. These type of house supply acted as a powerful factor for inducing selectively homogeneous social classes, and house itself seems to be a mechanism which accelerate and induce a residential area differentiation. The repetition and continuation of these projects will act upon in forming a physical areal unit in structuring urban residential area. Second, specially in Seoul city, where the house rents are comparatively high, the rental cost is an important cause for structuring urban residential structur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firm a series of segregation in rental housing through a study of determinant of rental cost(deposit, or monthly rent) payed by each household. Third, since the residential area is structured with social spaces by centering hous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it is possible to trace a true aspect of residential area differenti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above mentioned views systematically, a technical method of map analysis which is a traditional method in geography study and an improved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that can conform casual relation, are applied in this study. With the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in order to study the rental decision process, applied the path analysis method, and in order to confirm the socio-economic patterns, applied the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analytical result of residential area spatial structure of Seoul city,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residential area are induced through land projects related with, in the most cases, hosing policy and it led to a urban residential area differentiation. Specially, these land readjustment projects and housing site and housing construction process formed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structure, and these characteristics induced similar socio-economic classes and caused a large scale residential mobility. Also, the selective movement of these classes from a existing area led to form rental residential spaces and then induced areal differenti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ownership of houses. Thus, since the formation of rental hosing spaces and distribution of house rents bring a housing area segregation phenomena, it is considered as a main dynamic factor for characterizing the urban residential structure. In this process, it is confirmed that the determinant factor of rents, ie, spatial condition, historical development of residential areas are the main causes which compose a residential area differentiation. The homogeneous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 includ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and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 itself and environmental factors depending on social structures.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s influenc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duce a difference i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who move into this area, and bring a differentiation of residential area. Speci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ecological analysis, the differentiation of residential area relates highly with socio-economic factors, the household structure and age structure link to economic activities within urban area and form a specific pattern in spatial distribution of rents. The overcrowding of urban area has a relation to environmental state of residential area. And the extraction of house pattern factors clearly indicate that the influence of house dimension is significant in residential area differentiation of Seoul city. As it is described, the complex and various residential areal structure of Seoul city around 1980 interrelates with housing spaces defined by quality and pattern which can be selected at rental house unit in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s and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s and also inter relates with social spaces defined b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each household. The areal structure is composed of the frame as it’s basis, similar to PLATE STRUCTURE in which various scale residential area is interrelated irregularly as a mosaic pattern. Therefore, the analysis and study of residential areal structure of Seoul city should consider the spatial surface of rents which is differentiated and based on physical spaces of residential area expanded by centering at the urban center. Further more, it must be recognized that the residential area is structured by integrally interconnected relationships based 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s it’s base. ; 서울은 13세기 계획된 역사도시에서 인구 1000만의 대도시로 성장하여 오면서 많은 구조적변화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최근 30여년간의 구조적 변화과정은 도시성장과 함께 급속하게 복합적인 요인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거주지를 중심으로 이러한 공간분화가 어떤 과정과 메커니즘에 의하여 형성되었는지 지리적 분석을 통하여 규명하려 한다. 도시 거주지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거주지역구조 형성에 가장 중요한 동인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주택을 고려하였다. 특히 서울시의 총가구의 약 반이 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어 주택난이 심각하다. 따라서 임대주택(임대료)의 공간적 분화 분석을 통하여, 또한 도시 거주지분화와 관련하여 토지구획정리사업이 주택단지 내지 거주지분화를 촉진한다는 가정하에, 이를 통하여 거주지공간구조 형성에 인과관계 및 그 기능적인 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분석자료는 1980년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다음 세가지 측면에서 문제를 제기하여 도시거주지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거주지 형성과정에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한 주택단지화가 어떻게 도시구조화에 영향을 주었는가? 둘째, 서울시 가구의 약 반이 임대주택에 거주함으로써 이들의 거주지 선택이 거주지역분화에 가장 동인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이들의 거주지 선택의 직접적인 요인으로서 주택임대료의 형성과 이에 의한 거주지분화는 어떤 것인가? 셋째, 도시의 거주직조형성이 주민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의해 종합적인 결과를 이루고 있다고 본다면 서울의 서울의 구조 패턴은 어떻게 분화되어 있는가 하는 문제점을 규명하였다. 위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몇가지 연구의 주요관점을 설정하여 이에 적절한 분석방법을 제기하였다. 첫째, 토지구획정리사업, 택지조성사업과 같은 주택정책과 주택건설과정이 단위 지역내에서 주택의 구조적 특성을 형성하고 이러한 주택공급이 선별적으로 동질적인 사회계층을 유인하는 강력한 요인으로서 주택 자체가 거주지분화를 촉진하고 유도하는 메커니즘이라고 보고 이 사업의 반복현상 내지 지속적 수행에 따라 형성되는 물리적인 지역단위를 시계열 분석하였다. 그리고 주택임대율이 도시거주지구조를 구체화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여 개별가구가 지불하는 임대료의 결정과정연구를 통하여 일련의 임대주택분리현상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거주지역은 주택특성이나 주민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공간을 구조화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하여 거주지역의 구조를 추적하였다. 이상과 같은 관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리학의 전통적 방법인 지도상의 분포분석에 의한 기술적 방법과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계량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지도화 분석에서는 거주지공간구조와 관련되는 변수를 추려내어 Isopleth지도와 Choropleth지도를 작성하여 이를 바탕으로 분석 기술하였다. 계량적 분석방법으로는 임대료 결정과정의 연구를 위하여 통로 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주민의 사회경제적 유형의 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서울의 도시발전과정에서 거주지역의 설정이나 개발의 대부분 일련의 주택정책과 관련된 토지사업에 의하여 유도되었고, 이것이 도시의 거주지분화를 선도하였다. 특히 이러한 토지구획정리사업, 택지조성사업과 주택건설과정이 주택의 구조적 특성을 형성하고, 이러한 특성은 유사한 사회경제적 계층을 유인하여 대규모 거주지이동현상을 야기시켜 동질적 거주지의 형성을 유도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존지역으로부터 이러한 계층의 선별적인 이동은 자연히 하위계층을 위한 임대주택공간을 형성케하여 주택 소유형태에 따른 지역분화를 야기시켰다. 한편, 임대주택공간의 형성과 주택임대료의 분포는 거주지분리현상을 초래하여 거주지구조를 구체화하는 중요한 동인으로 고찰되었다. 특히 임대료의 결정과정연구를 통하여 보면 가구가 지불하는 임대료의 결정변인들, 즉 공간성, 거주지역의 역사적 발달, 주택의 수요공급관계, 그리고 거주지역의 특성등이 거주지분화를 만드는 요인임을 인정할 수 있었다. 또한 생태요인 분석결과에 따르면 거주지역의 분화는 주민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가장 높은 관련을 표시하고, 세대구조와 연령구조는 도시내 경제활동과 관련하여 구조적 패턴형성에 주요 요소로 확인되었다. 도시의 과밀상태는 거주지역의 환경적 상태와 관련이 있고, 주택유형요인의 추출은 서울시 거주지분화에 주택차원의 영향이 큰 것을 잘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복합적인 서울의 거주지역 구조는 토지구획정리사업, 택지조성사업과 같은 일련의 토지사업에 의하여 분화된 물리적 공간을 바탕으로 임대주택단위에서 선택할 수 있는 질과 유형에 의해 정의되는 주택공간과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의해 정의되는 사회공간이 서로 결합분포하고 있었다. 이 지역구조는 형태상으로 다양한 규모의 거주지역들이 모자이크식으로 불규칙하게 연계된 판구조(板構造)와 흡사한 틀을 기반으로 구조화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서울시의 거주지구조는 먼저 도심을 중심으로 확대된 거주지역의 기반이 되는 물리적 공간을 기초로 하여 분하된 임대공간면(surface)을 고려하여야 하며, 더 나아가 이것이 사회경제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거주지역의 기초단위로 통합 연계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v I.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 3 II. 거주지역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 15 A. 거주지와 거주지분화 ---------------------------------------------- 15 B. 이론적 배경 ------------------------------------------------------ 16 III. 서울시의 거주지역의 형성과 토지구획정리사업 --------------------- 51 A. 거주지역의 형성과 확대 ------------------------------------------- 51 1. 1945년 이전의 거주지역의 확대 ----------------------------------- 53 2. 1945~1960년의 거주지역 ------------------------------------------ 59 3. 1960년 이후의 거주지역 ------------------------------------------ 62 B. 토지구획정리사업과 도시구조화 ------------------------------------ 67 IV. 서울시 주택임대료의 공간분포와 거주지역의 분화 ------------------- 70 A. 서울시 임대주택의 분포와 임대료의 일반적인 고찰 ------------------ 70 1. 주택소유의 형태 ------------------------------------------------- 71 2. 주택임대율의 분포 ----------------------------------------------- 75 3. 임대료의 공간 분포 ---------------------------------------------- 77 B. 서울시 주택임대료의 결정요인 ------------------------------------- 84 1. 주택임대료의 성격과 구성요소 ------------------------------------ 84 2. 주택임대료의 기반 ----------------------------------------------- 86 3. 임대료 분석모형의 추출 ------------------------------------------ 95 4. 주택임대료 결정요인 분석의 결과와 해석 --------------------------118 C. 주택임대료의 결정요인과 거주공간의 분화 --------------------------124 1. 임대료의 공간성과 거주공간 --------------------------------------125 2. 도시성장과 거주공간 ---------------------------------------------131 3. 주택의 수요공급과 거주공간 --------------------------------------145 4. 거주지역의 특성과 거주공간 --------------------------------------153 V. 서울시 거주공간의 생태요인구조 ------------------------------------167 A. 관련변수의 추출 --------------------------------------------------167 B. 사회공간구조와 관련된 주요변수의 지도화분석 ----------------------169 1. 인구구조의 분포특성 ---------------------------------------------169 2. 주민의 사회경제적 특성분포 --------------------------------------189 3. 거주지역의 안정도 -----------------------------------------------198 C. 요인의 구조와 패턴 -----------------------------------------------204 1. 제1요인 ---------------------------------------------------------204 2. 제2요인 ---------------------------------------------------------209 3. 제3요인 ---------------------------------------------------------211 4. 제4요인 ---------------------------------------------------------213 5. 제5요인 ---------------------------------------------------------214 6. 제6요인 ---------------------------------------------------------215 7. 제7요인 ---------------------------------------------------------217 D. 생태구조에 의한 거주공간구조화 -----------------------------------218 VI. 결론 -------------------------------------------------------------225 참고문헌 -------------------------------------------------------------228 부 록 -------------------------------------------------------------243 영문초록 -------------------------------------------------------------2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6781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서울시 거주지 공간분화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