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3 Download: 0

한국 국민연금의 양성 불평등구조

Title
한국 국민연금의 양성 불평등구조
Other Titles
Gender inequality in Korea national pension structure
Authors
임미영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이 연구는 전 국민의 노후 보장을 위한 연금 제도에서 제외된 여성들을 주목하면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소득 보장의 양성에게 동등한 제도적 배열을 확립하는 것과 여성 개인의 연금 권리를 통한 충분한 사회적 위험을 보장하는 것에 있다. 이 논문의 목표는 국민연금의 양성 불평등 구조와 그 구조가 안고 있는 성 차별적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금 제도의 포괄성 여부를 결정하는 국가 개입의 원칙(적용 원리)과 제도적 기준(적격성)을 분석 변수로 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여성학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여 기존 연구가 소홀하게 다룬 여성에 관한 부적절한 가정과 남성 편향적 구조의 문제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 방법의 기초인 페미니즘 시각을 통해 양성 불평등 요인을 도출한 후 이를 분석 기준으로 하여 국민연금의 구조 -적용 원리(principle)와 적격성(eligibility)-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연금 구조는 경제 논리에 의한 선별성과 남성 우위의 명제에 기초한 적용 원리, 그리고 이에 영향을 받는 적격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발견된 문제는 연금에 관한 가입과 급여의 성 격차와 사회적 위험에 관한 여성의 차별인데, 현재의 임의 가입으로는 양성간의 가입 격차를 감소시킬 수 없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임의 가입의 기대 효과를 감소시키는 급여적격성(병급조정)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둘째, 남성 중심 가족주의는 전통적인 가족 유형인 남성 가장 중심의 부양 모델로 나타났다. 이 모델이 적용된 가입 적격성에서 1세대 1소득의 단위 설정은 세대주인 남성만이 가입하므로 이 때 지역 가입에서 배제된 여성에 관한 연금 격차가 존재하였다. 또한 급여 적격성은 결혼에 의한 급여 권리를 인정하여 기혼 여성의 경우, 배우자 지위에서 받는 이전적 권리를 인정하게 되었다. 이전적 권리의 대표적 예는 여성 급여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족연금과 새로 신설된 분할연금이다. 이전적 권리는 본인의 사망과 장애에 대한 위험을 보장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가부장적 자본주의를 내재한 남성 위주의 소득 개념 설정은 국가의 무기여 원칙(국가는 재정 중립으로 표명)과 하향적 보편주의를 나타낸다. 이 적용 원리는 소득 위주 적격성 규정을 통해 이에 해당하지 않는 무소득이거나 불안정 소득자인 여성을 제외함에 따라서 성별 연금 격차를 심화시켰다. 넷째, 공ㆍ사 영역 분리주의에 따르면, 노동의 댓가가 수반되는 노동(공적 영역)이 임금을 지불하지 않는 사회 재생산 노동(사적 영역)에 비해 우위로 취급된다. 이러한 국가의 반영은 가입에서의 무소득 배우자의 제외, 급여에서 분할 연금의 병급조정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양성 불평등에 관한 세 가지 분석 기준, 즉 가부장적인 자본주의의 운용, 남성 중심 가족, 그리고 공ㆍ사 영역 분리는 연금에서의 성 불평등과 격차를 발생시키는 구체적 원인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요소와의 관련성은 연금 내에 여성 억압 요인이 내포되어 있음을 말해 준다. 즉 소득 개념 설정이 갖는 여성에 대한 불리함은 마르크스 페미니즘과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비판 근거로, 가부장제 가족은 급진주의와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비판 근거로, 공ㆍ사 영역분리는 복지페미니즘의 비판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국민연금의 양성 불평등 구조는 페미니스트 운동과도 연계될 가능성이 있으나 본 논문의 초점은 한국 여성에게 좀더 적절한 연금 정책 모형의 정립에 관심을 두고 있다. 현재 한국 국민연금은 시장 원리에 기초한 선별적 적용에 따른 성 격차 현상과 남성으로부터의 권리이전이 특징인 자유주의 페미니즘 연금 모형에 속한다. 여성에게 가장 유리한 연금 모형은 개인적 권리로 연금권이 주어지고 연금의 양성 평등이 가능한 사회주의 페미니즘 연금 모델로 볼 수 있다. 본 논문 역시 사회주의 페미니즘에 기초한 연금 모델을 궁극적으로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여성에 관한 연금 모델은 경제 위기와 정책의 안정성을 고려할 때 복지 페미니즘 연금모델을 지나서 사회주의 페미니즘 연금모델로 나아가는 점진적인 연금 정책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 원리와 가부장제적 가족에 친화적인 국민연금의 적용원리와 이에 근거한 가입과 급여의 적격성 조건이 연금의 양성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국민연금제도를 방치할 때 양성 불균형은 좁혀지지 않고 확대될 수 있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둘째, 이전적 권리에 의한 연금권은 본인 사망과 장애 위험을 포괄하지 못하는 등 개인적 권리에 불리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전적 연금 권리에 집중된 여성의 연금 권리가 개인적 연금권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제도의 적용 원리의 변화, 즉 경제적 목적보다는 복지 목적이 강조되는 국가 개입으로의 구조적 변화가 요구된다. 셋째, 형식적으로 성 중립적인 국민연금은 임금노동 중심의 가입 대상화, 소득 위주(보험료 납부 비례)의 급여 구성 원리, 남성 생애 중심적 규정을 통해 여성에게 불리한 결과를 가져왔다. 즉 자격 기준은 소득과 공적 영역만을 인정하므로 무임금 노동과 가사, 육아 등에 밀접한 여성에게 불리하다. 연금의 권리는 시장에 기초하거나 결혼을 통해 주어지므로 미혼 여성 또는 비 취업 여성, 둘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여성을 공적 부조에 의존하게 만들 가능성이 크다. 넷째, 국민 연금에 관한 성 관점의 결여는 제도의 성 편향을 낳고 더욱이 이를 고착시키는 거대한 제도적 체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연금 정책 개발, 평가 및 개혁 과정에 성 인지적 관점을 도입하고 여성을 연금 개혁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연금의 발전 과정에서 발견되는 정책 주체의 영향과 복지의 정치적 수단화 가능성은 국민연금 적용 원리에 관한 정책주체의 정치적 선택과도 상통하므로 여성의 정치적인 선택과 연금의 연계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 This dissertation is devoted to pursue the full economic guarantee of social security by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 of gender equality and the grant of the woman s own pension rights focusing on the female s non-coverage in the Korean national pension program . The direct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gender unequal structure and the female discriminatory factors in Korean national pension program. For this, we set up the nation s involvement principle in determine the entry qualification coverage and institutional eligibility guidelines as analytical variables. Through the feminism based approach, the problem of male bias structure and the inappropriate presumption on women which are neglected in existing studies are intended to improve. This paper is characterized with the feminism view in analyzing the national pension structure. Using this view, we found the general gender inequality factors. Based on these analytical guidelines, we discovered the following points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levance of structure of national pension system and unequal gender factors in it. First, national pension structure is comprised of the economic selectiveness by economic logic, male bias based principles and eligibility. The female gender gap of the pension entry and benefits and the female discrimination on social security risks appeared. With the voluntarily being insured, the gender gap of pension entry can not be reduced because of the coordination of concurrent benefits which can offset the expectation effect of voluntarily being insured. Second, the male based family system appears as male-bread winner model. This model results in the female pension gap in entry eligibility because the definition of 1 household 1 income unit only acknowledge the male householder in entry eligibility excluding women who is not included in local entry. Regarding the eligibility of the benefits, the derived rights of benefits in married woman is acknowledged as the status of spouse. The survivors pension and installed benefits are the example of this derived rights. But this derived rights still can not cover the death and disability risk of the female. Third, a male based income definition related with patriarchal capitalism appeared as the nation s fiscal-non involvement principle and top-down universalism. This principle widened the pension s gender gap as the low or non earning woman is excluded in the eligibility of entry qualification. Fourth, the separatism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considers the wage related labor in public sector more predominantly than labor in private sector. Consequently, the nation s selective application brought about the exclusion of no-earning spouse and the coordination of concurrent benefits in installed benefits. Fifth, the patriarchal capitalism, the male bias family system and the public-private separatism in national pension program, these three analysis guidelines on gender inequality means the direct cause of gender inequality and gap of pension benefits. Also This shows that the current national pension program involve the women s repressive factors. Because of the patriarchal capitalism can be criticized by the radicalism and social feminism and the inappropriate definition of women s income can be criticized by Marxian feminism and socialism feminism. Public-private separatism can be criticized by welfare feminism and social feminism. These gender inequality structure in Korean National Pension program could be linked with feminist movement, but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per design of pension policy model for the Korean women. The Korean national pension program belongs to liberal feminism pension model which is characterized gender gap by the selective application based on market principle and the transfer pension benefits rights from a man. The desirable pension policy is to transform the pension model via welfare feminism model to a social feminism pension model which the pension s rights are given as personal rights and the gender equality of pension can be achieved. Therefore this study also asserts the social feminism pension model ultimately, but in the consideration of economic crisis and policy instability, the gradual pension policy which under gone the welfare feminism model is desirable for Korean women. The transition of pension structure to the expansion of pension equality and new eligibility standards could be found in the reform plan of German pension program which is friendly to wom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application of market principle, patriarchal family friendly principle and its entry and benefits eligibility of national pension has deepened the unequality of gender in pension. We found this structural matter of gender unequality can be widen continuously if not reflected Second, the derived rights of pension is not enough to guarantee the coverage in case of death of women and disability risk. Hence in order to achieve the transition of women s pension rights from the derived rights to personal pension rights, the structural transition of pension is required from economic purpose to welfare purpose of nations s involvement. Third, gender neutralized national pension program results in disadvantageous to women through the entry eligibility for the wage income worker, benefits composition principle and male oriented regulation. Fourth, the lack of gender perspective in national pension program could produce the gender-bias tendency in its system.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gender perspective in pension policy development, evaluation and transformation process reform is required. Additionally the women s initiative role is needed in the pension reform process. Finally, the possibility of linkage of women s political choice and national pension can be suggestive because it means that the possibility of policy initiative s effect in pension development process and welfare policy can be the means of political choice. Key word : social insurance, Korea National Pension, pension gap, feminist pension model, gender equality, national pension system (structure). femin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