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작문 수행평가의 실태와 개선방안

Title
작문 수행평가의 실태와 개선방안
Other Titles
Composition Performance Assessment and its Improvements in High School
Authors
염혜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composition performance of assessment of the high school and find its problems in order to suggest the improvements. To examine performance assessment in composition, Chapter II discuss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It was examined change of the assessment,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ssessment, along with the nature, goals, and contents of composition in the Korean language.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e general principles of composition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was adapted from the general principles of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the theories of performance assessment, chapter III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Korean language composition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high school. For the study, it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high school. Next,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with teachers who take charge of the subject, composition. With analysis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we can classify into three groups, formal operation, practical examination, teaching-learning combination. And with analysis o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problem of the Korean language composition performance assessment. The last chapter IV suggests the improvements of composition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field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described in chapter III. Also, it was proposed an integrated model of teaching-learning-evaluation that is applicable to the class. And it was proposed an ideal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in the Composition.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will be helpful in operating an effective and desired composition performance assessment that combines with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 composition.;정보화 시대로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흘러넘치는 정보를 잘 활용하여 당면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사회 변화와 함께 학습관도 변화하게 되는데, 구성주의적 학습관에 따르면 지식은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는 새로운 정보나 기존의 경험, 지식을 활용하여 세계를 능동적으로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구성가이다. 이런 입장에서 교육 평가도 학습된 결과물로서의 지식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과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고차적인 사고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변화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선택형 지필 평가로는 이러한 고차적인 사고 능력을 측정할 수 없게 되면서 학습자의 실제적인 수행 활동을 평가하는 수행평가가 강조되게 되었다. 국어과에서 실제적인 언어 활동을 직접 평가한다는 점에서 수행평가는 유용한 도구일 수 있다. 특히 작문과목에서 선택형 지필형 평가로는 쓰기에 대한 학습자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고에서는 학습자의 쓰기에 대한 직접적 평가로써, 수행평가가 강조되는데 학교 현장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되어 실현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설문 조사를 통해 작문과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설문 조사의 한계를 각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행평가 기준안을 수집, 분석하여 보완하고자 했다. 수도권 지역의 인문계 교사들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행평가 계획 수립,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행평가 방법, 수행평가의 채점, 수행평가 결과 송환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대다수 학교에서 수행평가 기준안을 학기초에 계획, 수립하고, 미리 공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행평가 자료는 교과 협의를 통해 개발하고 있었으나, 전문 서적이나 연수 자료를 평가 도구 개발에 활용하지 않는 편이었다. 수행평가 실시에 있어 교사들은 무엇보다 평가 진행 자체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수행평가가 학습자의 수행을 관찰하는 것이므로 수행 과정에서 학습자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수행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제시했는데, 이는 교사들이 수행평가에 있어서 평가의 중점 사항을 잘 알고 있는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평가 도구가 서술형 및 논술형 등의 결과물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실용문 쓰기를 주로 하고 있고, 객관적인 평가가 가장 어렵다고 한 점은 수행평가가 교수 학습의 개선보다는 평가 관리, 성적 관리에 치중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쓰기의 전 과정을 평가에 반영하고 있고, 채점 기준을 작성하고 있다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모범답안은 작성하지 않고 있으며, 평가 결과를 송환하는 데에도 완전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설문 조사에서 전반적으로 작문 과목에서 수행평가의 필요성과 그 효과성에 대해서 교사들은 인정하고 있었으나, 그 실제 적용 모습은 완성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수행평가에 관련된 기준안을 연초에 대부분의 학교에서 계획하고, 그대로 실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각 학교 기준안을 분석해 봄으로써, 좀더 면밀한 현장 적용의 실태를 알아 볼 수 있을 것이다. 수도권 지역의 6개 인문계 고등학교의 작문 수행평가 기준안을 수집 분석한 결과 그 유형을 크게 의례적 실시형, 실기 평가형, 교수ㆍ학습통합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가장 문제가 되었던 의례적 실시형은 일회적인 쓰기 평가를 통해 학습자 전체의 쓰기 능력을 진단하고 있었다. 이는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대한 올바른 정보보다는 교육 방침에 따라 기본적인 점수를 학습자에게 부여하기 위한 의례적인 실시 형태였다. 다음으로는 종래의 실기 평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기 평가형이다. 제한된 횟수에서 과정 중심의 평가가 아니라 결과 위주의 평가가 중점이 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교수 학습 상황과의 연계성이 없이 제한된 상황에서의 쓰기 평가가 이루어 지는 형태였다. 6개 학교 가운데 3개의 학교가 이러한 형태였다. 교수ㆍ학습 통합형은 교수 학습 과정안 속에 평가 기준안이 포함되어 있고, 교수 학습 과정과의 연계가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는 사례였다. 수행평가의 ‘지금 여기’라는 교수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가 경험한 것을 수행하는 것을 평가한다는 본래의 취지를 잘 살리고 있었다. 설문 조사에서 교사들의 응답처럼 이러한 기준안 그대로 평가를 실시한다고 전제했을 때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작문 수행평가가 교수 학습 상황과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있지 않았다. 둘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학습자의 수행 능력에 있어서 점진적인 발달을 유도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포트폴리오는 잘못 사용하거나, 거의 활용하지 않고 있었다. 넷째, 쓰기의 과정을 평가하고 있지 않았다. 이는 설문 조사에서는 쓰기의 과정을 평가한다고 응답했으나 실제 기준안에서의 채점 기준이나 평가 도구들을 확인한 결과, 과정을 평가하지 않고 있었다. 다섯째, 태도 항목에서는 쓰기와 관련된 태도라기보다는 일반적인 수업과 관련된 태도를 평가하고 있었다. 여섯째, 평가 결과를 어떻게 송환하고 있는지 그 구체적인 계획은 전혀 드러나 있지 않았다. 수행평가를 통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대한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평가 결과의 송환이 반드시 이루어 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쓰기 수행평가의 활동 모형과 작문 수행평가 기준안 모형들을 대안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쓰기 수행평가의 활동 모형에서는 직접교수법과 평가가 결합된 형태이며, 무엇보다 직접교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수업 상황 속에서 평가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것을 보여준다. 작문 수행평가 기준안 모형에서는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근거로 하여 쓰기의 실제를 통한 수행 과제, 학습 목표를 토대로 한 평가 목표, 학습 활동을 통한 평가 내용, 평가 도구, 쓰기에 실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원리, 쓰기에 대한 태도를 평가 요소로 포함해야 한다. 또한 평가 요소에서 채점 기준과 모범답안, 그리고 평가 결과 송환에 대한 계획도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작문 수행평가가 평가의 본래적 취지에 부합하여 학습자의 쓰기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수행평가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실제에서도 그대로 구현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준안 그대로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기준안 계획 수립시 이와 같은 내용들이 구체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