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경숙-
dc.creator박경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4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6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78-
dc.description.abstract자폐아 교육에 관해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자폐아동은 아직도 교육 효과가 더디고 발전이 없는 대상으로 밝혀져 특수학교에서조차 입학을 거부하는 일이 많고 의료적 치료에 있어서도 가장 어려운 대상으로 보고 있어서 자폐아 치료 및 교육의 문제는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자폐아는 감각통합 기능이 불량하기 때문에, 그동안 시도된 많은 치료 교육 전략중 감각통합 기능 증진을 위한 집중적인 훈련을 받는 것이 자폐아 교육에 큰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아 교육을 위해 잠정적으로 감각통합적 치료 교육체제를 고안하고, 이 체제의 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폐아 교육을 위한 감각통합적 치료 교육 전략을 구안한다. 2. 감각통합적 치료 교육 체제의 효과를 검증한다.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서장애 특수학교 일학년 아동(3년 11개월부터 8년 1개월 사이)을 대상으로 입학시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7주 간 감각통합적 교육체제를 적용한 후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아동의 감각통합 기능, 심리교육적 행동 및 수업 적응 행동의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문제인 감각통합적 치료 교육 전략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감각통합적 치료 교육을 실시하기 전에 감각통합 기능에 대한 진단과 정을 거친다. 진단과정에서는 임상적 진단과 감각통합 검사를 통해 촉각장애, 중력불안, 전정양측 통합장애와 운동계획 기능장애 및 시지각 장애 등을 가려낸다. 치료 교육의 전반적 전략은 전신운동을 실시하는 것과 아동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것 두가지로 구성했다. 장애영역별 전략은 촉각장애, 전정기능 장애 및 운동계획 기능장애 영역에서의 치료 교육을 원칙, 치료 교육의 단계 및 활동의 종류를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연구 문제인 감각통합 기능 증진을 위한 수업체제가 자폐아의 교육에 어떤 효과를 가져 왔는가를 검증한 결과,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수업체제가 감각통합 기능에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감각통합 검사를 사전(입학시)과 사후(7주 후)에 실시하여 기능 증진이 되었는가를 분석한 결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감각통합 검사는 1) 형태와 공간지각, 2) 운동수행, 3) 전정계 양측 통합, 4) 촉각 방어, 5) 신체 감각지각의 다섯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사전 검사에서는 3명의 아동만 실시가 가능했고, 7명은 검사 실시가 불가능했다. 사후 검사에서는 6명에게 부분적인 실시가 가능했으며 아동 3명의 사전 사후 검사간의 점수 차를 t검증하였다. 수업체제 효과는 심리교육적 프로파일에서의 변화를 통해서도 검증되었는데, 입학시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7주 후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사전 검사는 자폐아 1명, 전반적 발달 장애아 2명, 전신지체아 2명에 대해서만 실시가 가능했고, 나머지 자폐야 5명에 대해서는 사전 검사가 불가능했다. 그러나 검사 상황과 수업 관찰을 통해 입학시 상황을 주관적으로 기술하여 사후 검사와의 비교에 대비하였다. 사후 검사는 10명 모두 실시가 가능했다. 사후 검사 점수와 사전 검사 점수와의 차이를 t검증한 결과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는 이 수업체제가 아동의 모방 행동, 지각 능력, 작은 근육운동 능력, 큰 근육운동 능력, 눈과 손의 협응능력, 언어 이해력 및 언어 표현력 등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수업행동의 변화가 있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4주간 1주일에 1일 3시간씩 수업 관찰한 결과를 변량 분석한 결과, 이 수업체제가 자폐아 교육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수업행동의 변화는 1) 인사하기, 2) “앉아”, “일어서”라는 언어적 지시 이행하기, 3) 과제수행 수준 등의 적응행동의 증가, 4) 이석회수 및 5) 체벌 회수의 감소 등이 일어났는가를 보는 것이었다. 수업행동의 변화는 자폐아동과 비자폐아동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했으며, 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교육 기간이 길수록 효과가 있었으며, 집단간 비교에서는 자폐아동 집단이 더 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 위의 연구 결과들은 감각통합적 접근이 학교 상황에서 자폐아, 전반적 발달 장애아 및 심한 정신 지체 아동에게 큰 교육 효과를 가져오는 방법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 The present study aims to design an instructional systems utilizing the sensory integrative function development(SIFD) method proposed by Ayres(1979) an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in treating/educating autistic children. On the basis of the review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SIFD, a tentative treatment/educational program was designed. The central idea of the program was to help the children to control sensory input, especially the input from the vestibular system, muscles and joints, and skin in such a way that the child spontaneously forms the adaptive responses that integrate those sensations. It turned out that the SIFD method was composed of three stages: diagnosi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diagnosis was to be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clinical observation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sensory integrative tests. Through these diagnostic process, it was found that tactile defensiveness, gravitational insecurity, vestibular-bilateral disorder, praxis were the major sensory integrative dysfunctions of the autistic children. The treatment/educational program, systematically programmed in term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was put to implementation and the results were assessed. Ten subjects were selected from first-grade children at Dukhee Special School in Taegu, Korea. Behavioral changes of the children in the classroom were examined through systematic observation of the children for one month from the time of entrance into the school. The results of psycho-educational profile and sensory integrative test given at the matricul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results from the test conducted two months later. The pre and post analysis of the results on the sensory integrative test revealed that the program was indeed effective in the area of form and space perception, praxis, vestivular-bilateral integration, tactile defensiveness, and somatosensory perception. In addition, an analysis of psycho-educational profile revealed that the program had considerable influence on children’s imitation ability, perception, fine motor, gross motor, eye-hand integration, cognitive performance, and cognitive verbal ability. Finally, the effects of the program revealed by the observation of children’s behavioral changes were also positive in such areas as greeting, following teachers’ verbal command (such as “sit down”, or “stand up”), adaptability, absenteeism. It was also found that physical punishment by the teacher decreased significantly, indirectly indicating the children’s behaviors have indeed improved. It was also found that autistic children attained more positive results than non-autistic children, i.e., children with either PDD or MR. It was concluded that the sensory integrative function development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not only on children with either pervasive de4velopmental disorder(PDD) or mental retardation(MR) but also on autistic children; the longer the educational period, the more positive changes occurred in children’s behavior. Implica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ogram and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I. 문제의 제기 ------------------------------------------------------- 1 II. 이론적 배경 ------------------------------------------------------ 7 A. 자폐아동의 특징 -------------------------------------------------- 7 B. 자폐증과 감각통합 ------------------------------------------------ 13 C. 교육과 치료에서의 감각통합적 접근 -------------------------------- 25 III. 감각통합적 치료 교육 전략 --------------------------------------- 36 A. 진단 ------------------------------------------------------------- 36 B. 치료 교육 전략 --------------------------------------------------- 41 IV. 감각통합적 치교 교육 체제의 적용연구 ----------------------------- 53 A.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53 B. 감각통합적 치료 교육 체제의 효과 --------------------------------- 63 V. 논의 및 제언 ------------------------------------------------------ 88 A. 논의 ------------------------------------------------------------- 88 B. 제언 ------------------------------------------------------------- 96 참고문헌 -------------------------------------------------------------100 영문초록 -------------------------------------------------------------114 부 록 I. 자폐아동 변별척도 ------------------------------------------------117 II. 감각통합 검사 ---------------------------------------------------119 III. 기선시(입학시) 수업관찰 결과 -----------------------------------151 IV. 감각통합 기능 장애 진단을 위한 임상적 관찰 기준 -----------------1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209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폐아의 감각통합 기능증진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