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무당굿놀이 연구 : 제의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민속연희와의 비교고찰

Title
무당굿놀이 연구 : 제의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민속연희와의 비교고찰
Authors
황루시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Shaman ritual drama (Shaman play) is a dramatic performance in which the shaman (mu-dang) or the mu-bu (Shaman’s husband) carries out the kut (exorcism) which is a very theatrical theme. However, Shaman ritual drama is a term designated to a well organized dramatic construction with contents that are more than just simple incantatory imitations, dealing with problems of the human society to some degree. 34 Shaman play materials from all over the nation have been researched o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position of the Shaman ritual drama in the Korean folk drama by comparing it with the folk theater such as the mask dance (tal-chum) after examining the true conditions of the structurally and content wide diverse Shman play. The detail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Chapter II is the classification of the Shaman ritual drama materials according to their dramatic attributes. Shaman play is performed in a Kut driving away the evil spirits or in which calling in good fortune. Dwit Jeon play and Byong Kut play are included in the former which also includes that which drives away the malady of society such as the villainous retainer.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includes motives such as sexual un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cultivation of young rice plants, or welcoming the god. Chapter III abstracts the dramatic elements of the Shaman play. The process by which Byong kut play becomes the source of comedy through the spiritualism possession of Shamanism is shown and sexual un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the replacement of an old god by a young one, punishment of Crime and Stealing god’s things are some of the motives that constitute the thematic conflict in this dram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 mentioned dramatic elements and the folk theater is dealt with in Chapter IV, which draws up a conclusion that sexual union and god’s succession are the main motives of the Halmi play of the mask dance. Moreover, monk play (Joong nori) of the mask dace or Rope walking play (Jool tagi nori) appears to be formed around the motive of the Shaman myth, (Je soek bon poo ri). It has been found out that Blind play (Jangnim nori) where the blind fertility god appears has also been handed down as folk theater. Hence,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The whole contents of the Shaman play which have been only partially discussed in the past have been fully revealed and through dramatic elements comparison, the connection with the folk theater has been traced. ; 무당굿놀이는 무당이나 巫夫가 굿을 하는 중에 행하는 연극으로 짜임새 있는 극적 구성을 갖추고 내용에 있어서도 단순한 주술적 모방을 넘어서 어느정도 사회적 주제를 포함한 놀이들을 가리킨다. 무당굿놀이의 자료는 지금까지 부분적인 조사가 이루어졌을 뿐 전모를 파악할 수는 없었다. 이에 연구자가 직접 조사한 것을 포함하여 전국의 34개 무당굿놀이 자료를 수집, 부족하나마 전반적인 논의를 펼 수 있게 되었다. II장은 무당굿놀이의 분류를 시도하고 분류에 따라 연극학적 관점에서 내용을 서술했다. 성적 결합을 모티프로 한 놀이와 신맞이놀이들이 보였다. 한편 축귀의례에서는 뒷전놀이, 병굿놀이 등이 중심을 이루었고 사회적인 해악을 물리치는 놀이들이 포함되었다. III장에서는 발생론적 관점에서 무당굿놀이의 극적 모티프를 추출했다. 자료의 분석을 통해 무당굿놀이가 연극의 제의기원론의 양대 산맥인 풍요제의와 샤머니즘적 연행의 모티프들을 공유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풍요제의에서는 신의 계승과 성적 결합모티프가 중심을 이루고 있고 샤머니즘의 영향으로는 신들린 현상을 바탕으로 악마추방놀이, 훔치는 모티프들이 추출되었다. IV장은 III장에서 추출된 무당굿놀이의 제의적 요소가 민속연희와 갖는 관련성을 기술했다. 비교의 편이를 위해 무당굿놀이와 민속연희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주요인물들을 중심으로 극적행동을 분석했다. 그 결과 무당굿놀이중 풍요제의에 기원을 둔 할미, 중, 장님놀이의 인물의 성격, 갈등구조가 탈춤을 비롯한 민속연희에 거의 유사하게 반영되어 있음을 찾을 수 있었다. 즉 할미놀이는 生産神祭儀에서 비롯되었고 중놀이 역시 생산성 신화인 당금애기풀이와 관련을 가지면서 훔치는 모티프가 결합되어 형성된 놀이임을 추적할 수 있었다. 장님놀이는 무속의 또 하나 갈래인 독경무의 영험이 부각되면서 성적결합 모티프가 합쳐져 형성되었다. 한편 샤머니즘적 연행으로 볼 수 있는 포수놀이가 탈춤에 남아있고, 탈춤의 양반마당은 무당굿놀이의 병신놀이와 상통하는 놀이로 해석되었다. 이는 무당굿놀이가 탈춤을 비롯한 민속연희들과 제의적기원을 함께 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