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1 Download: 0

온순한 유아와 까다로운 유아의 울음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과 반응에 관한 연구

Title
온순한 유아와 까다로운 유아의 울음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과 반응에 관한 연구
Authors
유명희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자녀의 상호작용론적 관점에서, 유아의 기질에 따른 울음과 어머니의 반응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기질이 ‘온순한’군과 ‘까다로운’군, 두집단 유아의 울음에 대한 어머니의 원인지각, 개입적 행동 그리고 정서적 지각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와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는 예비연구와 본연구로 구성되었고, 예비연구는 본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예비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군 선정과 어머니와 유아의 기질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4개월에서 8개월된 유아의 어머니 21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기질조사 내용은 유아의 기질 9 영역: 활동성, 규칙성, 접근-회피성, 적응성, 반응세기, 정서성, 지구성, 주의분산성, 예민성과 어머니의 기질 4영역: 정서성, 활동성, 사회성, 충동성이었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의 결과에 근거한 유아의 기질군중 ‘온순한’유아 10명과, ‘까다로운’유아 10명의 배고플 때 울음을 녹음하였고, 이 울음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반응(원인지각, 개입적 행동, 정서적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울음 녹음에 참석하지 않은 어머니중 ‘온순한’유아의 어머니 19명과, ‘까다로운’유아의 어머니 17명이 다시 표집되었고, 최종적으로, 36명의 어머니가 응답한 지각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와같은 연구의 자료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에 의해 지각된 유아의 기질은 온순한 편인 유아, 48.6%, 온순한 유아, 26.9%, 까다로운 편인 유아, 12.7%, 느린 유아, 6.1%, 그리고 까다로운 유아, 5.7%의 비율을 보였으며, 어머니가 정서적으로 불안하고 충동적일수록 유아의 기질도 까다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울음원인에 있어서, ‘온순한’유아의 어머니가 지각한 울음원인은 두 기질군 울음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까다로운’유아의 어머니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까다로운’유아의 울음이 ‘온순한’유아의 울음보다 신체적 불편이 더 심한 울음으로 지각되었다. 또한 ‘온순한’군의 어머니와 ‘까다로운’군의 어머니는 ‘온순한’유아의 울음원인 지각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까다로운’유아의 울음에서는 차이를 보여 ‘온순한’군의 어머니는 “배가 고파서”라고 가장 많이 지각하였고, ‘까다로운’군의 어머니는 “신체의 어디가 아프거나 불편해서”라고 가장 많이 지각하였다. 셋째, ‘까다로운’유아와 ‘온순한’유아의 어머니 모두는 ‘까다로운’유아의 울음과, ‘온순한’유아의 울음에 대한 개입적 행동반응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며 ‘까다로운’유아의 울음은, ‘온순한’유아의 울음보다 “달래거나 안아주겠다”는 반응이 더 높았고, ‘온순한’유아의 울음은 ‘까다로운’유아의 울음보다 “장난감을 갖고 놀아주겠다”와 “가능하면 혼자 내버려 두겠다”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까다로운’유아의 울음과 ‘온순한’유아의 울음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적 지각반응에 있어, ‘온순한’유아의 어머니는 두 기질군의 울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까다로운’유아의 어머니는 두 기질군의 울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까다로운’유아의 어머니는 ‘까다로운’유아의 울음이 ‘온순한’유아의 울음보다 더 버릇이 없다고 지각하였고, 더 짜증나게 하고, 더 화나게 만들고, 더 빨리 반응해야 하고, 더 보살핌을 원한다고 지각하였고, 그리고 기질도 더 까다롭다고 지각하였다. ; The primary purpose of the dissertation is to analyze in terms of a parent-child interaction a relationship between infant cries associated with their temperament and mothers’ subjective responses to their cries. Essentially, the theoretical concern of this thesis is whether the cries of difficult infants are distinguishable by maternal subjective responses, such as intended behavioral intervention, emotional reactions and perceived cause of crying. The thesis is divided into two segments: preliminary and main studies. The preliminary study was planned to provide basic data for main study. Not only to select infant temperament group, but also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infant’s temperament, the preliminary study utilized a sample of two hundred and twelve mothers with 4-8 month-old infant living in Seoul, Korea. The methodology of the preliminary study adopted Carey’s RITQ for infant’s temperament and Buss and Plomin’s EASI for mother’s temperament. All data was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 In the main study, the 10 infant’s hunger cries were recorded from easy and difficult temperament groups, respectively, among infant temperament groups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In addition, to analyze mothers’ perception of and responses to such cries, 19 mothers with easy temperament infant and 17 mother with difficult temperament infant made the other sample. All of 36 mothers in latter sample were not participated in cry recording and their questionnaire on perception and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20 infants’ hunger cry recording.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empirical tests. First, It was found that infant’s temperament by maternal perception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easy infant group, intermediate-low infant group, intermediate-high infant group, difficult infant group, and slow-up-to-infant group. Each group formed 27%, 49%, 13%, 6%, and 6% of total infant, respectively. And the more negatively emotional and impulsive were the mother’s temperament, the more difficult were the infant’s temperament. Second, as to mother’s perceptive response to cause of infant crying, the cause of crying perceived by mothers with easy temperament infant display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temperament groups. However, perceptive response of the mothers with difficult infa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us, cries of the difficult temperament infant were perceived more as an indication of major physical discomfort than those of the easy temperament infant. In addition, neigher mothers of easy temperament group, nor mothers of difficult temperament group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rying cause of easy infant. On the contrary, the two mothers’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rying cause of difficult infant. Most mothers of an easy infant group perceived a cause of difficult infant crying as for “hunger”. On the other hand, most mothers of a difficult infant group perceived it as for “physical discomfort”. Third, both mothers of difficult and easy infants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ernal intervention on either cries of difficult infant or those of easy infant, Cries of difficult infant received more maternal intervention of “soothing” or “picking up” than those of easy infant. On the other hand, cries of easy infant received more maternal intervention in “playing with toy” and “leaving him alone, if possible” than those of difficult infant. Fourth, as to maternal emotional reactions to cries of difficult and easy infants, it was found that mothers of easy infa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es of two temperament groups. However, mothers of difficult infa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m. Essentially, mothers of difficult infant perceived the cries of difficult infant as more spoiled, irritative, angry and difficult, and demanding more mothering and faster response compared with the cries of easy inf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