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김현정-
dc.creator김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8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6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61-
dc.description.abstract우리 나라에서 최근 직장내 성적 괴롭힘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지만,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심리학적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공통적으로 수용되는 성적 괴롭힘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성적 괴롭힘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가 부족하다는 측면에서 심리학적 연구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문제에 대한 외국의 선행 연구에서는 주로 여성을 연구의 대상으로 함으로써, 직장에서 여성에 대해 성적 괴롭힘을 하는 남성의 심리적 기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적절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엇이 성적 괴롭힘인가 와 관련해 남성과 여성이 합의를 이루는 성적 괴롭힘의 구성 요인을 밝히고(연구 I), 성적 괴롭힘의 심리적 기제는 무엇인가 와 관련해 동기와 고정관념의 사회심리학적 틀 내에서 성적 괴롭힘 행위의 주체자인 남성의 심리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연구 II). 본 연구의 자료는 서울 소재의 대기업 일반 사무직에 근무하는 남성 485명과 여성 165명, 총 6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성적 괴롭힘의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I 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응답 자료가 모두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성적 괴롭힘의 심리적 기제를 밝히기 위한 연구 II 에서는 남성의 응답만이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 문제에 대한 분석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뉘어 실시되었는데, 첫 단계에서는 연구 I, II 에서 사용될 각 변인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고, 각 척도의 구성 개념 타당화와 일반화를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과 교차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 이들 척도에 의해 측정되는 변수에 대한 분석 및 변수들 간의 관계성 분석에 들어 갔다. 성적 괴롭힘에 대한 분석에는 이원 변량 분석과 단순 주효과 분석이 실시되었고, 동기와 고정관념, 성적 괴롭힘 간의 관계성 분석을 위해서는 단순 단계적 회귀 분석과 공변량 구조 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연구 문제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I 에서는 성적 괴롭힘의 구성 요인을 밝히고, 이들 요인별 행동이 얼마나 자주 일어나고 있는지와 어떻게 지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먼저 성적 괴롭힘에 대한 측정 문항의 개발을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적 괴롭힘은 언어형 괴롭힘, 관계요구형 괴롭힘, 그리고 신체/환경형 괴롭힘의 3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확인적 요인 분석과 교차 타당화를 퉁해 이 척도의 구성 개념 타당도와 일반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 척도를 사용하여 성적 괴롭힘을 유형별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언어형 괴롭힘은 대다수의 사람들이 적어도 한 번 이상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어 이 유형의 괴롭힘이 일반 사무직 직장 내에서 매우 흔히 일어나는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심각성 지각에서는 성별, 경험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은 자신의 경험 유무와는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남성에 비해 이러한 행동을 매우 심각한 것으로 평정한 반면, 남성의 경우는 언어형 괴롭힘을 한 적이 없는 사람이 그런 행동을 한 적이 있는 사람에 비해 이 유형의 괴롭힘을 더 심각하게 평정하였다. 관계요구형 괴롭힘은 세 유형 중 가장 드물게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이에 대한 심각성 지각에서 성차는 나타나지 않았고, 관계요구형 괴롭힘의 경험이 없는 사람들이 이러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 비해 이 유형의 괴롭힘을 더 심각한 것으로 지각하였다. 신체/환경형 괴롭힘은, 언어형 괴롭힘 만큼 흔히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었지만, 관계요구형보다는 높은 발생 비율이 보고되었다. 이 유형의 괴롭힘에 대한 심각성 지각에서는 성별, 경험별로 다소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런 행동의 경험이 없는 사람들은 남녀를 불문하고 모두 신체/환경형 괴롭힘을 심각한 것으로 평정한 반면, 신체/환경형 괴롭힘을 한 적이 있는 남성들은 이런 유형의 괴롭힘을 받은 적이 있는 여성에 비해 그 행위의 심각성을 훨씬 덜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연구 II에서는 성적 괴롭힘 행동의 원인을 설명하는 심리적인 변인으로 동기와 고정관념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여성에 대한 남성의 동기에 대하여 탐색적, 확인적 요인 분석과 교차 타당화를 실시한 결과, 남성의 동기 요인은 적대적 성차별주의 동기와 우호적 성차별주의 동기의 두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들 양가적 성차별주의 동기가 성적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 분석한 결과, 언어형 괴롭힘은 적대적 동기에 의해, 관계요구형과 신체/환경형 괴롭힘은 우호적 동기와 적대적 동기에 의해 각각 설명되었다. 한편,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에 대하여 탐색적, 확인적 요인 분석과 교차 타당화를 실시한 결과, 여성에 대한 남성의 고정관념은 전통적 여성, 야한 여성, 무능한 여성, 전문직 여성의 4 가지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이들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성적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 분석한 결과, 야한 여성 변인은 언어형 괴롭힘을, 무능한 여성 변인은 관계요구형과 신체/환경형 괴롭힘을 각각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설명력이 매우 낮았다. 그리고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 분석한 결과, 전문직 여성은 적대적 성차별주의에 대해, 전통적 여성과 전문직 여성은 우호적 성차별주의에 대해 각각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동기와 고정관념이 성적 괴롭힘에 미치는 전반적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고정관념이 동기를 거쳐 성적 괴롭힘을 설명하는 모델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공변량 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모델에 대한 전반적 모델의 부합도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이 모델에서 설정된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는 남성들이 여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양가적인 동기만이 성적 괴롭힘 행동을 직접적으로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모델에서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은 성적 괴롭힘에 대해 직접 효과나 간접 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에서 재검토가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 일반 사무직의 직장 내 이성 관계에서 성적 괴롭힘은 상당히 흔히 일어나고 있으며, 남성과 여성은 대체로 이러한 행동이 심각하다는 점에 인식을 함께 했으나, 이를 얼마나 더 심각한 것으로 지각하느냐에 있어서는 정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한편, 성적 괴롭힘 행동에는 여성에 대해 친밀감을 유지하고자 하는 우호적인 동기와 여성을 지배하고 성역할의 구분을 뚜렷이 유지하고자 하는 적대적인 동기가 동시에 작용하고 있음이 설명된 반면, 이에 대한 고정관념의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심리측정적으로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를 이용하여, 직장 내 이성관계에서 적절한 행동이 무엇인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성적 괴롭힘 행동의 심리적 기제를 밝힘으로써, 이 현상에 대한 심리학적인 이해의 틀을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 Despite the growing attention devoted to the topic of sexual harassment among lay people, little psychological study has emerged due to the lack of a commonly accepted definition and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ation that could provide comparable results across studies. In addition, most study on sexual harassment has dealt only with women and, as a result, there has been little study which successfully showed the psychology of men who have sexually harassed women.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address the following two major questions: (i) What is sexual harassment? (Study I); and (ii) What is the psychological reasoning behind sexual harassment? (Study II). In order to answer the first question, Study I looks at the variables that constitute sexual harassment which both men and women agree upon. And to answer the second question, Study II explores the psychology of men, the most likely sexual harassers based on men s self-report, within the framework of social psychology of motivation and stereotypes. This research surveyed 485 men and 165 women working in major companies in Seoul, Korea. For Study I, data was obtained from both men and women, whereas the analysis for Study 2 only required data from men.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wo steps. The first step was to develop a reasonable scale to measure the variables that were supposed to be analyzed in the present studies, and to perform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alidate the factor structures and a cross validation to generalize them. The second step was to look at the variables using these scales, and to analyze their relationship. These two steps of analyse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Study I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types of sexual harassment and to measure how often the different types occurred and how these types were being acknowledged. It was found that sexual harassment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verbal harassment, relation-request harassment, and physical/environmental harassment. In analyzing each type of sexual harassment, it was found that verbal harassment occurs most frequently at work and women perceive such harassment as a more serious form of harassment compared to men,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ve experienced it or not. In case of men, the ones who claim they have never verbally harassed women viewed the act more serious than the men who have. Physical/environmental harassment was found to be the second most frequent type of sexual harassment. The responses varied significantly by sex and experience. Men and women alike who have not experienced this type of harassment viewed it serious, while men who have harassed someone physically viewed it less seriously. Among the three types, relation-request harassment is the least occurring type, and the view on its seriousness didn t vary among the sexes. However, people who have not experienced this type of harassment viewed it more seriously compared to the experienced counterparts. In Study 2, two psychological variables of sexual harassment, motivation and stereotypes, were examined based on Fiske and Glick s model(1995) in order to explain the cause of sexual harassment. First, it was found that motivation toward women is composed on two constructs; hostile sexism and benevolent sexism. The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hich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ambivalent motives and sexual harassment, indicated that both types of sexism had an influence on sexual harassment. Hostile sexism could lead to verbal harassment, while benevolent sexism could lead to relation-request or physical/environmental harass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four stereotypes of women; traditional, sexy, professional, and incompetent. The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tereotypes of women and sexual harassment indicated that verbal harassment was affected by sexy women while relation-request harassment and physical/environmental harassment were affected by incompetent women. However these direct effects of stereotypes of women on sexual harassment were very weak. Third,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ambivalent motives and stereotypes of women. The results showed that hostile sexism was affected by professional women and that benevolent sexism was affected by traditional women and professional women. Finally, the model which explains that stereotypes through ambivalent motives have an effect on sexual harassment was developed based on the theory a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es.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model,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performed. This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veloped model was well-fitted to the data overall, but the specific examinations of the relationship showed that motivation was the only variable in this model that had a direct effect on sexual harassment and that stereotypes of women did not have any effect, directly or indirectly, on sexual harassmen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and a couple of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ention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 목 차 ------------------------------------------------------------ ⅴ 그림목차 ------------------------------------------------------------ ⅶ 논문개요 ------------------------------------------------------------ ⅷ Ⅰ. 서 론 ----------------------------------------------------------- 1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문제 ---------------------------------------- 6 A. 연구 I : 성적 괴롭힘의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 6 1. 성적 괴롭힘의 개념 --------------------------------------------- 6 2. 성적 괴롭힘의 구성 요인 ---------------------------------------- 8 3. 성적 괴롭힘 구성 차원을 밝히기 위한 심리측정적인 고려 ---------- 11 4. 성적 괴롭힘 행동의 심각성 지각 --------------------------------- 13 5. 연구 I의 연구 문제 --------------------------------------------- 14 B. 연구II : 성적 괴롭힘의 심리적 기제에 관한 연구 ------------------ 14 1. 양가적 동기 ---------------------------------------------------- 15 2. 여성에 대한 문화적 고정관념 ------------------------------------ 18 3. 연구 II의 연구 문제 -------------------------------------------- 20 Ⅲ. 연구 방법 ------------------------------------------------------- 21 A. 조사대상 -------------------------------------------------------- 21 B. 절차 ------------------------------------------------------------ 22 C. 측정도구 -------------------------------------------------------- 23 1. 성적 괴롭힘의 측정 --------------------------------------------- 23 2. 양가적 동기의 측정 --------------------------------------------- 25 3.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의 측정 ------------------------------------ 26 4. 성적 괴롭힘 행동의 심각성에 관한 지각 측정 --------------------- 26 5. 사회적 바람직성의 측정 ----------------------------------------- 27 D. 분 석 ----------------------------------------------------------- 27 Ⅳ. 결과 및 해석 ---------------------------------------------------- 30 A. 연구 I : 성적 괴롭힘의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 30 1. 성적 괴롭힘의 구성 요인에 관한 분석 ---------------------------- 30 2. 성적 괴롭힘의 하위 요인별 발생 정도에 관한 분석 ---------------- 36 3. 성적 괴롭힘의 보고에 있어서 성차에 관한 분석 ------------------- 38 4. 성적 괴롭힘의 심각성 지각에 관한 분석 -------------------------- 39 5. 성적 괴롭힘의 심각성 평정에 있어서 성차에 관한 분석 ------------ 40 6. 성적 괴롭힘 경험과 심각성 지각 간의 관계 ----------------------- 41 B. 연구 II : 성적 괴롭힘의 심리적 기제에 관한 연구 ----------------- 47 1. 양가적 동기의 구성 요인에 관한 분석 ---------------------------- 47 2. 양가적 동기와 성적 괴롭힘 간의 관계 검증 ----------------------- 52 3.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의 구성 요인에 관한 분석 ------------------- 54 4.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성적 괴롭힘 간의 관계 검증 -------------- 60 5.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양가적 동기 간의 관계 검증 -------------- 61 6. 성적 괴롭힘에 대한 동기·고정관념 모델의 공변량 구조 분석 ------- 62 V. 논의 및 결론 ----------------------------------------------------- 65 A. 연구 I : 성적 괴롭힘의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 65 B. 연구 II : 성적 괴롭힘의 심리적 기제에 관한 연구 ----------------- 71 C. 본 연구의 제한점 ------------------------------------------------ 77 D. 본 연구의 의의 및 결론 ------------------------------------------ 80 참고문헌 ------------------------------------------------------------ 83 부 록 ------------------------------------------------------------ 89 영문초록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462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직장내 성적 괴롭힘에 관한 심리학적 일 연구 : 동기와 고정관념을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