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0 Download: 0

표암 강세황의 회화 연구

Title
표암 강세황의 회화 연구
Authors
변영섭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豹菴 姜世晃(1713~1791)은 18세기에 활약했던 詩·書·畵 三絶의 대표적인 문인화가이다. 그는 또한 높은 식견과 뛰어난 감식안을 갖춘 평론가였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예원의 총수”로 알려진 그에 대하여 작품과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검토를 시도하였다. 어느시기 누구보다도 풍부한 이론을 갖추었던 화가로서, 그가 추구했던 회화의 가치는 “俗氣없는 文人畵”였다. 그 자신 董源을 비록하여 元末四大家, 明代 吳派, 董其昌 및 米法등 南宗文人畵風에 전념하여, 독자적인 문인화풍을 이룩함으로써, 조선후기의 진정한 문인화 발달에 공헌하였다. 이에 못지않게 독보적이고 개척자적인 鑑識眼으로서 당대의 다양한 화풍 전개에 기여하였다. 그가 남긴 수많은 書畵評은 그의 견해, 화풍, 교유, 영향관계, 화단에서의 위치 등을 밝히는데 가장 확실하고 직접적인 자료로서 중요하다. 이를 통해보면 그는 실로 폭넓은 교유 관계를 가졌으며, 문인화가는 물론 직업화가 까지도 포용하여 風俗畵, 人物畵, 眞景山水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그들의 작품 활동을 고무하였던 것이다. 더욱이 眞景의 경우는 山水畵의 현실적인 소재로서 그 특성을 인식하고, 그 스스로도 독특한 眞景山水를 그려낸 점이 주목된다. 특히 자화상을 그릴 때나, 아름다운 山水에서 받은 감동을 표현하기 위하여, 자신이 이해한 서양화의 잇점을 채택 수용한 사실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렇듯 그의 회화 활동은 대단히 개성적이고 선구적인 성향을 보였던 점이 특기할만하다. 그런데 그것은 근본적으로 그가 믿었던 書畵의 정통성과 올바른 방법에 관한 관심에서 출발한 것이다. 문제는 구태의연한 답습이 아니라 독자적으로 이해한 書畵觀에 의해 전에 없던 여러 가지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몸소 시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진취적인 회화세계를 펼쳤다고 하겠다. 그의 화풍은 그 특징에 따라 初期(45세까지), 中期(45~51세), 後期(51~79세)로 구분되며, 완숙한 수준에 이르기까지 발전적으로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련과 탐구의 시기였던 초기에는 畵譜類를 중심으로 남종문인화풍에 몰두하여 자신의 개성을 확립코자 노력하였으며, 이미 山水·眞景에 대해서도 뚜렷한 견해를 지니게 되었다. 중기는 훨씬 다양하고 혁신적이며 회화적인 감성을 마음껏 발휘했던 시기이다. 用墨 이나 색채 감각의 세련이 돋보이며, 특히 서양화법을 이해하고 山水畵에 적용한 창의성은 높이 평가된다. 그리고 이때부터 그는 蘭·竹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 후기에는 墨竹이 그의 회화를 대표하기에 이르렀다. 후기 작품의 전체적인 특징은 현저하게 채색이 배제되고, 水墨의 격조높은 문인화의 경지를 이룩한 점이다. 이처럼 그는 확고한 견해를 가지고 조선후기 화단의 제 경향에 깊이 관여함으로써, 명실공히 지도적이며 진보적인 인물로서의 면모를 충실히 보여주었다. 실로 그는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문인화가로서 한국적인 남종문인화풍의 정착과 다양한 화풍 발달 및 새로운 서양화풍 수용에 커다란 업적을 남겼던 것이다. ; Kang Se-hwnag(1713-1719)was an archetypical literati of 18th century who excelled in the three arts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Kang also achieved great acclaim as a painting theorist and connoisseur through his extensive study of the old masters. He attracted many admirers and was at the center of the leading artistic circles of his day. This dissertation seeks to illuminate the life and art of Kang Se-hwang through an analysis of his extant paintings and writings. Other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pertinent to Kang’s life and art were also examined. A look at Kang Se-hwang’s writings reveals and outgoing gentleman of keen intellect who cultivated a wide circle of friends and acquaintances, actively promoted, and practiced the arts, and boldly formulated art theory and criticism. He descended from a yangban family in Seoul whose members had distinguished themselves for three generation as a noble family(三世耆英之家). His early and middle years were devoted to gentlemanly self-cultivation in the Confucian mode and he didn’t assume a government position until he was 61 years old. He served Kings Yongjo(英祖)and Chungjo(正祖)and traveled do China as an official envoy at the age of 72. A look at the extant painting of Kang Se-hwang reveals a versatile artist who pursued the Confucian gentleman’s ideal literati or Southern School painting style based on Chinese prototypes developed by Tung Yuan(董源), the Four Masters of the Yuan(元末四大家), the Wu School of the Ming(明代吳派), Tung Ch’I-ch’ang(董其昌), and the Mi School(米法). Although Kang embraced the tenets of the more orthodox literati school, he was not a slave to them. He was able to appreciate the achievements of professional or non-literati painters and he did not shun from painting such non-literati subject matter as figures and portraits, genre scenes, and depictions of actual views from nature. He even experimented with landscapes and portraits painted smoewhat in a Western style. Since Kang Se-hwang had a long and productive painting career, it is possible to classify his oeuvre into three chronological periods: an early period(up to the age of 45), a middle period(ages 45-51), and a late period(ages 51-79). The early period was one of basic training and research. During these years, Kang mastered the various styles of the Southern School by studying Chinese painting manuals. He synthesized what he learned into a personal style and begun to formulated his theories on painting landscapes and views from nature. The middle period witnessed the full flowering of Kang’s art. He experimented with Western painting, pioneered some innovative brush techniques, and achieved complete mastery of brush, color, and ink. In the late period, Kang turned more inward. The range of subject matter in his late works narrowed as he focused more and more on painting actual landscapes and solo subjects such as orchids, rocks, and especially bamboo(墨竹). The tendency toward reduction and simplication is also evident in the elimination of color from his late paintings. Toward the end, Kang had reached that lofty stage of the scholar-painter where the colors of the world could be evoked solely through the sonorous manipulation of ink tones. As a representative scholar-painter of the late Choson period, Kang Se-hwang played a major role in the complete Koreanization of the Southern School of Chinese painting. His synthesis of the Chinese models and his development of a distinct Korean style based on those models as well as his pioneering efforts to incorporate Western elements into Korean painting made him one of the great masters of Korean pain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