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3 Download: 0

실재와 허구의 탐색 : Kurt Vonnegut 소설 연구

Title
실재와 허구의 탐색 : Kurt Vonnegut 소설 연구
Authors
한은구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Kurt Vonnegut의 작품을 포스트모더니즘적 맥락에서 연구함으로써 작가가 일관되게 추구한 실재와 허구에 대한 탐색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 작품활동을 하고 있는 Kurt Vonnegut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몇 작품에만 치우침으로써 전체적인 분석이 미흡하며, 과학소설, 실험기법, 블랙유머 등 편향된 시각에서 수행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작품 전체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적 분석시각을 제시함으로써Vonnegut작품의 의미를 부각하고자 한다. Vonnegut의 작가적 관심사는 현대 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에서 포착된 인간의 삶의 문제와 이를 표현하려는 새로운 기법의 추구이다. 서론은 이 논문의 주제에 연관된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을 도출한다. 1960년대의 시대상황은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변화의 시기였고 새로운 예술형식의 갈망이 표출된 시대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이후 싹트기 시작한 포스트모더니즘은 변화의 시대인 1960년대 이후 새로운 ‘감정의 구조’가 되었다. 경전화 되고 학문화 된 모더니즘을 거부하며 권위주의와 보수주의에 적대적인 포스트모더니즘은 계몽주의 이후의 서구 중심 사조인 이성적 합리주의를 기반으로 한 ‘모던’의 개념을 부정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자연스럽게 생각되어온 문화, 관습, 이데올로기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임을 폭로하는 것과 주관적이며 불확실한 실재의 표현할 수 없음을 표현 자체로 나타내려는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실험기법은 메타픽션의 글쓰기, 유희성, 자기 반영성, 인위성의 강조, 유희성, 패러디 등의 형식에서 나타난다. 포스트 모더니스트인 Vonnegut는 자의식적 글쓰기와 현대의 불확실하고 무의미한 삶의 은유인 전쟁이라는 두개의 축을 중심으로 작품을 구성한다. 이는 포스트모더니즘 기법을 작가의 역사의식과 합치는 것이다. Vonnegut는 자신의 관심사를 과학소설 기법, 메타픽션 기법, 뉴네오리얼리즘 기법 등으로 표현한다. 그는 특히 메타픽션의 특징인 글쓰기의 강조, 자의식적임과 자기반영성의 특징, 인위성의 과시 등을 작품에 포함함으로써 실재의 허구성을 표출한다. Player Piano와 Cat’s Cradle은 사회를 이끄는 권력과 지식이 자의적으로 삶에 투사한 의미 체계인 관습, 체제, 신화 등을 해체한다. Vonnegut는 과학, 종교, 사회의 신화를 사회유지 체계의 도구라는 측면에서 부각시킴으로써 주관적 실재의 표층적 관념을 드러낸다. 종교나 신화가 만들어지는 과정의 인위성을 유희적으로 강조하는 두 작품은 경화된 체계에 갇힌 인간의 모습을 외부 관점, 관학소설 기법의 환타지, 패러디 기법을 통해 보여준다. 의미 없는 세계에서 삶의 양식을 규정하기 위해 자의적 의미를 투사하는 인간의 허구적 체계는 개인적, 사회적 측면에서 보여진다. 실재에 대해 거짓말을 해야 하는 필요성과 거짓말을 할 수 없음은 Vonnegut 예술의 주안점이다. 전쟁을 파괴적인 신화라고 규정하는 Vonnegut는 Mother Night에서 전쟁을 겪는 사람들의 삶을 스파이 소설 기법과 자아 성찰 소설 기법으로 표현한다. 주인공 Campbell이 이중 정체성을 가짐으로써 겪는 고통스러운 삶은 전쟁의 이미지로 형상화된다. 화자의 신빙성을 작가가 침식하는 의심스러운 서술기법은 독자에게 실재와 허구, 진실과 거짓을 구별할 수 없게 한다. 부조리한 삶에서 소외된 인간들이 만드는 이야기는 그의 대표적인 작품인 Slaughterhouse-Five에서도 다루어진다. Vonnegut는 일장에서 표현할 수 없음을 있는 그대로 제시하는 글쓰기를 작품의 주제로 부각하면서 작가 자신을 작품의 등장인물이면서도 화자로 확립한다. 소설 속의 소설기법과 과학소설 기법을 통해 전쟁의 파괴성을 표현하는 이 작품은 표현할 수 없음을 침묵과 Billy Pilgrim의 허구적 대안인 트랄파마도르 이야기로 형상화하는 것이다. 진실의 대면과 이야기 만들기라는 허구적 대안의 긴장은 시간의 공간화 기법과 파편적 구성으로 강화된다. 1970년대의 작가적 침체를 극복한 Vonnegut는 1980년대에 뉴네오리얼리즘 계열의 작품을 발표한다. 그 중 가장 성공적이라는 평을 받는 Bluebeard는 그의 중심 작품인 Slaughterhouse-Five의 전쟁과 글쓰기라는 주제를 다시 형상화한다. 작가 자신의 문학 편력의 회고적인 성격인 이 작품은 Vonnegut가 추구한 바의 결론과 같은 작품이다. 메타픽션의 자의식성을 토대로 하는 이 작품은 실재를 형상화 하는 예술에 대한 언술이다. Vonnegut가 작품에서 부조리한 세계에 사는 인간의 수동성과 역사의 무의미성, 부조리한 삶 등을 그리는 것은, 일부 비평가가 비판하듯이, 허무적이고 부정적인 세계관에서가 아니다.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것은 이러한 형상화를 통해서 독자에게 진실을 대면하여 실재의 허구성을 파악하라는 그의 인간적이고 애정어린 호소이다. ; The twentieth century is the first moment in which intellectuals have considered themselves to be not merely modern but postmodern. A truly new culture can only emerge through the collective struggle. The precondition of postmodernism is to be found in the enormous social and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of the 1960s, which swept so much of tradition away on the level of mentality. Postmodernism, a cultural dominant in the late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emerges as specific reactions against the established forms of high modernism. That the moral crisis of our time is a crisis of Englightment thought is found in postmodernism. One of the salient features of postmodernism is to de-naturalize some of the dominant features of our way of life. The postmodern would be not to supply reality bet to put forward the unpresentable in presentation itself. Postmodernism erodes the older distinction between high culture and popular culture by using popular forms such as the science fiction, the romance, the thriller, or the western. As a postmodernist, Kurt Vonnegut tries to put forward the absurd condition in the age of uncertainty as the conceivable which cannot be presented. Vonnegut’s artistic concerns are to confront the unpresentable or the ineffable in the contemporary world. Vonnegut criticizes and de-naturalizes all human constructs such as conventions, myth, religion, science, and art. He flaunts the artifice of the writing to question the conventions of traditional narrative. His concerns with self-consciousness make his novels metafictional. Vonnegut’s novels have been categorized falsely as the science fiction, black humor, naive sentimentalism, nihilism or fatalis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Vonnegut’s novels as a whole in the view of postmodernism. Vonnegut uses devices of the science fiction and fantasy to present the unreal reality. In Player Piano, the future society is the analysis of our society whose reality is socially constructed. Player Piano and Cat’s Cradle consist of the paradigm of reality as a construct. Vonnegut uses the devices of defamiliarization and “laying-bare” to exploit myth, science, and religion as the conceptual machineries of universe-maintenance. The fiction-making concept is the axis for Vonnegut’s writing. In Mother Night, the technique of the suspect narration shows the double identity of characters that survive the war. The suspect narration is a device that requires suspension of belief as well as of disbelief. In this novel Vonnegut undercuts the all-absolute, preconceived notions. He refuses to pit truth against falsehood. Slaughterhouse-Five is a novel about writing novels. It is a self-referential fiction structured around the inclusion of one work inside another. As a sufficiently self-conscious narrator, Vonnegut explores and exposes the enabling codes of fiction. He presents the unpresentable through the devices of the novel-within-the novel and the science fiction. Vonnegut sympathizes with and criticizes Billy who attempts to rationalize chaos and forget the terrible war. This novel shows the silent challenge at the center of Vonnegut’s work. Bluebeard is the self-conscious novel, which dramatizes author, reader, literary history, and real world as characters or features inside the novel itself. This novel is about art in a new kind of way. It involves the necessary failure of art and the aesthetic. Through its protagonist Rabo Karabekian, the ex-abstract expressionist painter, Vonnegut looks back on his own career and finds he can keep in writing novels. Karavekian’s huge painting, “Now It’s the Women’s Turn” is a fantastic synthesis of realistic detail and symbolic, fabulistic design. The painting would be interpreted as Vonnegut’s solution to find a new method in his literary career. Vonnegut, a metafictionist, flaunts his artifice to point to the reality of the writing situation in his work. Reading Vonnegut’s novels, a reader is forced to recognize the reality of the reading situation. Vonnegut’s novels keep returning the reader to reality, instead of allowing him to escape the truth of his own reality. Vonnegut is a compassionate and humane writer who asks the reader to confront the re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