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혜양-
dc.creator이혜양-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8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9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5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90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근교도시에 거주하며 극히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20대에서 70대 이상의 한국인 123명(남자 60명, 여자 63명)으로 임상적으로 보아서 간, 심장, 신장 기능이 모두 정상으로 판정된 사람들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 증가에 따른 혈청성분, 세포막의 지방산 변화, 혈액내 칼슘함량과 골밀도 등의 대사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조사내용은 신체계측, 설문지를 이용한 식품영양 섭취실태와 하루 활동상황 실태 및 식이 섭취 수준 차이가 혈액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식이가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우리나라와 외국인가의 식이 섭취 수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몸무게는 남자는 40대, 여자는 50대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Body Mass Index와 Triceps Skinfold Thickness는 남녀 모두에서 50대까지 증가하다가 60대 이상시 감소하였으나, 허리/엉덩이둘레 비는 70대 이상 고령까지도 계속 증가하여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 복부에 지방이 점차적으로 축적됨을 알 수 있었다. 2. 영양소 섭취는 연령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3대 열량소의 최고 섭취 연령은 남녀 모두에서 30대로 섭취 열량비는 탄수화물 : 지방 : 단백질 = 65%:18%: 17%이었다. 열량과 Vitamin A를 제외하고는 모든 영양소를 영양권장량 이상 충분히 섭취하고 있었다. 식품의 총섭취량은 30대 이후 연령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는데 고기, 우유, 뼈째먹는 작은 생선, 채소, 과일류의 섭취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복합당의 섭취량은 연령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지만 설탕은 증가 하였으며, 동물성지방, 단백질, 칼슘의 섭취량은 연령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다. 총포화지방산의 1일 섭취 열량비는 7%, 단일 불포화지방산은 7%, 불포화지방산은 8%로 나타났다. 3. 혈청 중성지방 함량은 남자의 경우 50대에, 여자는 60대에 최고치에 이르렀으며 그후에는 약간 감소되었으나,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은 남녀 모두 50대에 최고치에 이른 후 계속 증가하지 않았다. 혈청 총유리지방산 함량은 70대 이상 고령시 상당히 높아 남자의 경우는 20대의 2배 수준이었으며, 혈청 지방산의 P/S ratio는 연령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다. 4. 적혈구막의 P/S ratio는 연령 증가와 함께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혈청에 비해서는 감소의 폭이 적었다. 적혈구 세포내 칼슘 함량은 연령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으로 남자에 비해 여자의 함량 수준이 높았다. 5. 골밀도는 뼈 부위에 따른 차이는 있었지만 폐경을 전후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과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는 40-60대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6. 열량, 탄수화물, 동물성지방 등의 식이 섭취 수준이 높은 군이 혈청 중 성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지방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인자로 설탕은 혈청 중성지방 함량에, 복합당과 지방산의 P/S ratio는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지방의 섭취를 외국의 경우와 비교해 보면 지방 섭취 열량비는 우리나라가 18%로 미국의 37%보다 낮았으며, 식이 지방산의 P/S ratio는 우리나라가 1.1로 미국의 0.4보다 상당히 높았다. 혈청 지방성분 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우리나라 사람이 미국인에 비해 모든 연령군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최근 우리나라는 노인 인구의 증가와 이에 따른 성인병의 발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니 아직 외국에 비해서는 혈청 지방 함량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연령의 증가에 따라 혈청 지방 함량이 서서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노인의 식생활 관리에 주의를 기울임은 물론, 예부터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우리나라의 곡류와 채식 위주의 식습관을 따라 현재의 탄수화물 열량비 65%와 식이 지방산의 P/S ratio를 1-2 수준으로 계속 유지해 주길 제안하는 바이다. ; It has been reported that 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diabetes, hypertension and atherosclerosis are increasing rapidly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s well a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However the Occurrence of these kinds of diseases in Korea is still lower than Western countries, and it is supposed that health status of an individual has been influenced by one’s dietary patter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lipid and calcium metabolism with age, and to determine which dietary factors affect the serum lipid profil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3 normal healthy volunteers (males 60, females 63) grouped according to age from 20 to 80 years residing in Seoul and surrounding suburban areas. They were engaged in a variety of occupations 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was middle class. The blood tests used to determine liver, heart and kidney function, indicating that they were all normal.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ree phases : 1) to analyze blood constituent level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each age group, 2) to analyze the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intakes on blood lipid levels according to age, and 3)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food intakes on blood lipid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ountries. 1) Mean serum values of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were found to be higher with age and reached a peak level at the age of 50-60 years in both men and women, although men has higher levels than women at earlier ages. LDL cholesterol percentage increased sharply after 50 years and continued to 70 years. Serum free fatty acid levels were much higher after 70 years in both men and women, with saturated fatty acid levels increasing and the P/S ratio and W-6/W-3 ratio decreasing. The P/S ratio of RBC membrane fatty acid decreased with age. The calcium content of the RBC increased with age, with women having a higher level than men. Bone mineral density(BMD) decreased sharply near menopause. Correlation of BMD and alkaline phosphates activity was significant in 40-60s. 2) Differences in dietary calorie intake including carbohydrate, total fat and animal fat between high and low intake groups affected serum lipid profiles, such that high intake groups generally showed higher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values than the lower intake groups. Dietary carbohydrate and animal fat somewhat differently affected the serum lipid levels, with carbohydrate rather affecting the serum triglyceride levels and animal fat the serum cholesterol levels. 3) Compared with western countries, the serum cholesterol level of Korean was much lower than westerns. Koreans generally consume carbohydrates at 65% of their caloric intake. At this carbohydrate level dietary fatty acid P/S ratio and W-6/W-3 ratio were 1.1 and 6, this could make Korean serum lipid levels lower than western’s. Dietary fat intake of calorie intake for Americans was over 35%, saturated fatty acid was 14%(twice Korean’s)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was 8%(equivalent to Korean’s), and the P/S ratio for American was 0.4(for Korean the ratio was 1.1). As mentioned above, it was found that differences of dietary intake levels and dietary patterns between Korea and western countries could affect serum lipid level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Koreans continue this dietary pattern composed of carbohydrate at 65% of total calorie intake, and P/S ratio of fatty acid at 1 to 2.-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i I. 서론 -------------------------------------------------------------- 1 II. 연구방법 --------------------------------------------------------- 4 1. 조사대상 및 조사기간 --------------------------------------------- 4 2. 조사내용 및 방법 ------------------------------------------------- 5 1) 신체 계측 ------------------------------------------------------- 5 2) 설문지 ---------------------------------------------------------- 6 3) 혈액성분의 분석 ------------------------------------------------- 6 (1) 혈액 채취와 혈청과 적혈구막의 분리 ---------------------------- 6 (2) 혈액화학 검사 ------------------------------------------------- 7 (3) 적혈구 칼슘의 측정 -------------------------------------------- 9 (4) 지방산 조성의 분석 -------------------------------------------- 10 4) 골밀도의 측정 --------------------------------------------------- 10 3.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 12 III. 결과 ------------------------------------------------------------ 14 A. 조사대상자의 실태조사 결과 --------------------------------------- 14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 14 1) 조사대상자의 일반 사회경제 지표 -------------------------------- 14 2) 조사대상자의 일반 견강상태 ------------------------------------- 17 2. 조사대상자의 신체계측 ------------------------------------------- 18 3. 조사대상자의 영양소와 식품 섭취실태 ----------------------------- 22 1)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실태 ----------------------------------- 22 2) 조사대상자의 식품 섭취실태 ------------------------------------- 28 3) 조사대상자의 식이 지방산 섭취실태 ------------------------------ 36 4. 조사대상자의 운동과 하루 활동상황 ------------------------------- 40 B. 연령 증가에 따르는 혈액성분과 골밀도의 변화 ---------------------- 42 1. 연령 증가에 따르는 혈청성분의 함량 변화 ------------------------- 42 1) 혈당의 함량 ---------------------------------------------------- 42 2) 혈청 지방 함량 및 지방산의 조성비율 ---------------------------- 42 (1) 혈청 중성지방의 함량 ----------------------------------------- 42 (2) 혈청 콜레스테롤의 함량 --------------------------------------- 43 (3) 혈청 총지질과 총유리지방산의 함량 ---------------------------- 47 (4) 혈청 유리지방산의 조성 비율 ---------------------------------- 48 3) 혈청 단백질의 함량 --------------------------------------------- 51 4) 혈청 칼슘, 인의 함량과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 ------------- 51 2. 연령 증가에 따르는 적혈구막 지방산 조성 비율과 적혈구 세포내 칼슘의 함량 변화 ----------------------------------------------- 55 1) 적혈구막 지방산의 조성 비율 ------------------------------------ 55 2) 적혈구 세포내 칼슘의 함량 -------------------------------------- 58 3. 연령 증가에 따르는 골밀도의 변화 -------------------------------- 61 1) 폐경 전후의 골밀도의 변화 -------------------------------------- 61 2) 골밀도와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과의 상관관계 -------------- 62 C. 연령 증가에 따라서 섭취한 식이가 혈액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 64 1. 식이 섭취 수준이 혈청 지방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 64 1) 열량 섭취 수준이 혈청 지방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 65 2) 탄수화물 섭취 수준이 혈청 지방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 66 3) 총지방 섭취 수준이 혈철 지방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 67 4) 동물성지방 섭취 수준이 혈청 지방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 67 2. 지방산 섭취 수준이 혈청 및 적혈구막 지방산 조성 비율에 미치는 영향 ---------------------------------------------------- 69 1) 지방산 섭취 수준이 혈청 지방산 조성 비율에 미치는 영향 --------- 69 2) 지방산 섭취 수준이 적혈구막 지방산 조성 비율에 미치는 영향 ----- 70 IV. 고찰 ------------------------------------------------------------- 73 A. 혈액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 73 1. 혈당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 73 2. 혈청 지방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 74 1) 혈청 중성지방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 74 2)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 76 3) 혈청 총유리지방산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 76 3. 혈청 총칼슘과 적혈구 세포내 칼슘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 78 1) 혈청 총칼슘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 78 2) 적혈구 칼슘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 79 B. 외국인과의 식이 섭취 차이가 혈청 지방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 82 1. 외국인의 식이 섭취실태와 비교분석 ------------------------------- 82 2. 외국인과의 식이 섭취 차이가 혈청 중성지방 함량에 미치는 영향 ---- 85 3. 외국인과의 식이 섭취 차이가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 86 V. 요약 및 결론 ------------------------------------------------------ 89 참고문헌 ------------------------------------------------------------- 93 부록 -----------------------------------------------------------------103 영문초록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950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성인의 영양 섭취실태와 노화현상에 관한 조사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