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6 Download: 0

일반계 고등학교 여학생의 교육과정 계열선택에 관한 연구

Title
일반계 고등학교 여학생의 교육과정 계열선택에 관한 연구
Authors
곽윤숙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교육사회학은 교육과 관련한 사회적 불평등 문제를 중심주제로 삼고 있으면서도 성별 불평등 문제만의 주변적 영역으로 간주하여 왔다. 교육사회학을 포함한 학문의 영역에서 남성과 여성의 관계는 사회적 관계로 파악되기 보다는 생물학적 범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사회적 관계의 차원에서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할 경우에도 성별 불평등은 계급적 불평등에 부수되는 문제로 간주하였다. 최근에 이르러서야 교육사회학 영역에서 성별 불평등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연구가 축적되기 시작하고 있다. 성별 불평등에 관한 논의는 여성에 의한 특수한 문제제기의 차원을 넘어서 교육사회학의 설명력을 확대하기 위한 시도들 중 하나로서 주류의 한 영역으로 진입하고 있다. 평등주의를 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남녀간의 양적 교육기회 균등은 어느 정도 실현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외형적으로 볼 때 남학생과 여학생은 동일한 교육을 받고 있다. 그러나 남학생과 동일한 교육년한과 교육과정이 여학생에게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학생은 학교장면에서 남학생과 다른 교육경험을 하게 되고 교육성취의 결과도 성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 학교교육에서 성별 불평등의 문제는 크게 두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왜 여성은 학교교육에서 실패하는가’ 하는 문제이며 다른 하나는 여성이 학교교육에서 성공한다 하더라도 ‘왜 여성의 교육적 성취는 사회적 성취로 전환되지 않는가’ 하는 문제이다. 본 논문은 여성의 교육성취와 사회적 성취에 관심을 갖고 고등학교 여학생의 교육과정상의 계열선택에 초점을 맞추어 성별 불평등의 문제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여성의 교육적 성취가 사회적 성취로 연결되지 않는 일차적인 이유는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과 같은 교육외부의 사회구조적 요인에 있다. 그러나 여성이 노동시장에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사회경제적으로 유리한 직업을 얻는데 실패하는 원인을 교육내부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다수의 여학생들이 고등교육을 받고 있지만 대학에서 직업과 관련하여 시장성이 적은 특정한 영역에 한정하여 전공을 선택한다면 대학교육의 학력이 사회적 성취로 연결될 수 없다. 교육의 성별 불평등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은 성별에 따른 계열 및 전공의 분리에 초점을 맞추어 여성의 교육적 및 사회적 성취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학교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은 서로 다른 교과와 전공을 선택하는데 이러한 성별에 따른 교과와 계열의 분리는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직업분리를 가져오며 결과적으로 여성의 사회적 성취를 저해하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상의 계열선택이 대학진학시 전공선택에 영향을 주고 궁극적으로 직업선택과 관련될 것으로 보고, 일반게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상의 인문계열과 자연계열의 분리를 중심으로 여학생의 진로선택에 관련된 문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의 다섯가지로 구체화된다. 첫째, 고등학교 여학생의 계열선택은 어떠한 양상인가? 둘째, 여학생은 배경변인에 따라 계열선택을 달리하는가? 셋째, 여학생의 교과선호와 계열선택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어떤 변인들이 여학생의 계열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여학생의 계열선택은 직업포부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 서울 시내 일반게 고등학교 10개교(여고6개교, 공학4개교)의 여학생 50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구체적 분석을 위해 연구문제에 따라 x² 검증, 상관관계, t검증,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네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여학생은 인문계열에 편중되게 계열선택을 하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교육수준, 성차인식 수준, 성적, 적성등에 따라 계열선택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아버지의 교육수준, 아버지의 직업, 어머니의 직업, 학교의 성별유형 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여학생은 수학이나 과학과 같은 도구적 교과보다 국어, 영어, 사회와 같은 표현적 교과를 선호하며 성취에 있어서도 자신감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교과선호의 경향은 계열선택과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적 교과를 선호하고 잘하는 여학생은 인문계열을 선택하며, 도구적 교과를 선호하고 잘하는 여학생은 자연계열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여학생의 계열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히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성차의 인식수준, 성적, 선호교과, 기피교과 등의 변인은 계열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교육수준, 아버지의 직업, 어머니의 직업, 학교의 성별유형, 적성, 잘하는 교과, 못하는 교과 등의 변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직업포부를 여성의 비율이 높은 전통적 직업영역과 여성의 비율이 낮은 비전통적 직업영역으로 분류하여 계열선택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계열선택과 직업포부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계열을 선택하는 여학생은 전통적 영역의 직업을, 자연계열을 선택하는 여학생은 비전통적 영역의 직업을 희망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여학생의 편중된 계열선택은 대학에서의 특정영역에 한정된 전공선택을 가져오게 되고 궁극적으로 노동시장에서 성별 직업분리 현상을 심화시키는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여학생의 편중된 계열선택은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여학생의 교과선호의 경향과 계열선택은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중된 계열선택을 지양하고 보다 많은 여학생들이 자연계열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여학생들이 수학이나 과학과 같은 교과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고 성취를 발휘할 수 있게 하는 교육 방안이 필요하다. 여학생의 수학과 과학에서의 성취를 고무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에 하나는 이 교과에 대한 여학생의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교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과제는 학교의 문화적 풍토 속에 존재하는 성별에 따른 교과와 계열의 구분을 극복하는 것이며, 적극적인 방안으로는 여학생이 수학과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여학생 진로교육의 구체적인 방향을 시사하고 있다. 여성의 교육 성취가 사회적 성취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취업기회에서 유리할 뿐 만 아니라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점하는 기술 또는 과학과 관련된 비전통적 영역으로의 진출을 고무해야 하며 여학생을 위한 진로교육에서는 비전통적 영역의 직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고 전망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 The issue of gender inequality has been neglected in the field of sociology of education that has mainly dealt with social inequality. Recently, the concern about gender issue in education is increasing and outcomes of research studies are accumulating. Nowdays,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between sexes is accomplished formally. However, women’s educational expiereince in school is different from men’s and furthermore, their outcome of educational achievem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men. The most important issue of gender inequality in schooling can be summarized these two problems. The one is ‘Why women fail to achieve in schooling?’ and the other is ‘Why women’s educational achievement is not translated into social achievement, even though we have shared a belief that educational achievement results in social achievement?’ The main reason why women’s educational achievement is not translated into social achievement is the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for example, sex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 In other point of view, we can explain the reason of this problem by educational approach. We find sex-typed curriculum in secondary education and sex-segregated majors in higher education. In spite of women’s increasing enrollment in higher education, women have been concentrated on female-dominated majors such as humanities, language, education and arts which do not require mathematical background, whereas men have been concentrated on science, engineering, business which require mathematical background. Moreover, female-dominated majors are less-marketable, less pay and status in work place. In recent years, the concern about girls’ underrepresent and underachievement in math and science had been increased in relation with sex-segregation in higher education and labor market. In this context, presupposing that curriculum choice in highschool influences major in college and eventually job in labor market, this study examined highschool girls’ choice of curriculum which is based on math and science or which is not based math and science. This study investigated 5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ich curriculum highschool girls prefer? Secon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rriculum choice by students’ characteristics such as family background(fa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s educational level, father’s occupation, mather’s occupation), conception of sex differences, type of school(single-sex school, or coeducational school), academic achievement, aptitude?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of subject matter and curriculum choice? Forth, which variables influence female students’ curriculum choice? Fifth,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choice and occupational aspir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ollege-bound highschool girls, 309 girls from single-sex school and 200 girls from coeducational schoo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questions on preference of subject matter, career plan, conception of sex differences and demography factors.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correlation,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ighschool girls concentrated on curriculum which is not based math and scienc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urriculum choice by mother’s education, conception of sex differences, academic achievement, aptitud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father’s education, father’s occupation, mother’s occupation, type of school. Compared to female students who choose non-math and science based curriculum, female students who choose math and science based curriculum have highly educated mother, liberal conception of sex differences,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aptitude. Third, the preference of subject matter correlated with curriculum choice. Female students who preferred mathematics or science tended to choose the curriculum which is based math and science, whereas female students who preferred Korean, English or social studies tended to choose the curriculum which is not based math and science. Forth, conception of sex differences, academic achievement, preferred subject matter and disliked subject matter influenced girls’ curriculum choice. But father’s education, mother’s education, father’s occupation, mather’s occupation, type of school, aptitude, well-achieved subject matter and underachieved subject matter were not significant variables in curriculum choice. Fifth, curriculum choice correlated with occupational aspiration. Female students who choosed math and science based curriculum tended to have occupational aspiration of male-dominated field, whereas female student who choosed non-math and science based curriculum tended to have occupational aspiration of female-dominated field. In the light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we have to encourage girls to enter male-dominated careers, such as natural science,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which are marketable and guarantee high pay and status in labor market. Second, in order for girls to enter male-dominated field, we have to encourage girls to choose the curriculum which is based math and science in highschool. Third, in order for girls to choose the curriculum which is based math and science, it is very important for female students to have interest and achievement in math and science. Forth, the intervention programs which induce girls’ better achievement in math and science and encourage girls pursue careers in math and science ar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