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김혜경-
dc.creator김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1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5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58-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어린이기(childhood)"라는 주제를 통해서 일제 식민지 시기 한국 가족의 변화상을 추적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여기서 "어린이기"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어린이라는 집단에 대해서 생각하고 정의하는 방식, 어린이를 대하는 태도 및 관행, 그리고 그것을 둘러싼 사회제도 및 실천과 관련된 것으로, 근대사회로의 전환과 함께 발생하고 가족의 근대적 변형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서 근대, 혹은 근대성에 대한 해석은 자유와 자율성의 확대라는 기존의 주류적인 해석을 넘어서고자 하였다. 즉 근대사회가 인간의 신체에 가하는 통제적인 측면인 훈육화(disciplination)를 강조하는 시각과, 지식이 사회지배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강조하는 최근의 연구성과들을 수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어린이의 신체와 정신을 주조해내는 사회적 과정을 크게 (신체관리의) 의료화와 (제도교육을 중심으로 한) 규율화의 차원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주요 수행집단(agent)의 성격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과제로 설정한 점은 세가지로서 첫째, 일제 식민지 시기, 특히 일제 지배가 정교화한 1920-40년 동안 생산된 어린이에 대한 담론의 내용을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 둘째, 그러한 담론의 생산에 개입한 사회집단의 성격을 그들이 전개한 실제적 사업내용을 중심으로 제도수준에서 분석하는 것, 셋째, 그러한 담론과 사회제도에 대해서 가족이 대응한 양식, 혹은 가족 변화를 살피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서는 역사적 문헌연구 방법을 택하였다. 기존의 연구가 없는 탓에 일차적으로는 1920-40년의 일간지(동아일보)의 어린이ㆍ가정관련 기사를 집중분석하여 일제하 어린이에 대한 담론의 주요한 경향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거기서 나타나는 주요 사회집단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어린이정책과 사업내용을 분석하였다. 총독부의 아동관련 정책으로는 사회사업과 교육부분을 살펴보았는데, 朝鮮社會事業協會의 {朝鮮社會事業}과 경성사범부속보통학교에서 발행한 {朝鮮の敎育硏究}를 검토하였다. 교회의 아동정책과 사업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일간지의 분석과 함께 모자보건기구에서 발간한 단행본을 사용하였으며, 교회사관련 2차자료를 참고하였다. 이외에 {朝鮮總督府統計年報}, {朝鮮國稅調査報告} 등의 통계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일제식민지 시기, 특히 1920-30년대를 통해 한국사회는 어린이에 대해 엄청나게 많은 담론들을 생산해내고 있었으며, 거기에는 다양한 사회세력들이 개입하여 자신의 정치적 의도를 관철시켜내고자 노력하였음이 발견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어린이의 육체적 관리를 중심으로 하는 의료화와, 교육을 중심으로 분석한 규율화의 측면으로 나누어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어린이의 육체적 보호 및 관리의 측면을 보면, 식민지 시기 어린이의 "몸"은 위생과 건강론(질병으로부터의 보호), 양육의 표준화. 수량화 담론 및, 유유아 사망률 저하를 위한 사회제도적 노력 등에 힘입어 가정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보호와 관리의 주요 대상으로 부상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근대적" 양육 담론을 확산시키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사회기구는 우선 미국의 의료선교기구의 모자보건사업으로 드러났다. 모자보건기구는 서양의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에 기반한 양육법을 교화하여 전통 양육법을 개량시키고자 하였으며, 어린이들이 보다 규율적인 생활원리를 체화할 수 있도록 추구하였다. 한편 식민지 권력은 사회의 효과적인 통치를 위해 위생이나 방역사업 등 강력한 의료화 기반을 구축하였으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특화한 의료적 관리는 미약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교회의 모자보건사업은 이러한 빈 공간을 성공적으로 침투해 내었다. 한편 어린이 교육에 대한 담론은 크게 세 가지 내용으로 집약될 수 있다. 첫째, 자녀의 권리와 교육권에 대한 강조, 둘째, 서구 유아교육이념의 도입에 따른 새로운 교육론, 셋째, 자녀교육에서의 규율성을 강조하는 담론이다. 권리론에서는 특히 장유유서의 질서가 비판되었고, 어린이의 피교육권이 강조되었다. 서구 유아교육이론의 도입을 통해서는 어린이가 성인과는 매우 다른 지적ㆍ정서적 특징을 지닌 존재임을 강조하면서 어린이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아동중심적 교육방법이 제기되었다. 셋째, 자녀교육에서의 규율성은 서구적 자녀교육법이 소개되면서, 또한 취학률이 증대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공통적으로 규율적인 생활태도와 시간관념의 형성을 강조하였다. 제도수준의 분석에서는 유치원과 초등학교제도를 분석하였는데 초등학교의 규율화 노력이 두드러졌다. 초등학교는 학교생활 전반에서의 규율과 질서, 그리고 노동규율의 훈육화를 위한 잠재적, 공식적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자율적 복종기제 형성을 통한 사회질서의 체화라는 근대 교육의 원리를 가장 직접적인 방식으로 구현하고 있었다. 그러나 서구의 근대 주체 형성과정과는 달리 한국사회의 어린이기는 아동의 인격과 권리에 대한 개념을 자신의 한부분으로 포함하고 있었던 점이 특징인데 한울사상에 기반한 천도교측의 어린이운동에서 그러한 성격이 강했다. 어린이기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과정에 대해 가정이 대응한 양상 내지 변화한 모습은 아래와 같다. 단순화시켜 보면 식민지 시기 가족은 어린이기의 사회적 구축과정과 상호작용하는 속에서 일부 중상층 가정에서는 모성역할의 강화를, 그리고 일반 가정에서는 자녀의 부양대상화라는 가족역할의 변화를 경험하였는데 후자는 부모자녀관계가 (부모에 대한) 효도 중심에서 (자녀에 대한) 부양중심적 관계로 변화하였음을 의미한다. 특히 모성역할의 강화현상은 일부 중상류층 신여성집단에서 나타났는데 이들이 모성역할의 전문화 담론에 대해 적극적인 수용태도를 보인 것은 그것이 "여성의 자리"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의 개화와 개명이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자녀의 취학률이 증가하면서 전통적으로 친족집단이 지배하고 있던 가족은 미약하지만 서서히 국가관리체계 내로 포섭되어가는 변화의 조짐이 노정되고 있었다. 한편 한국가족에 대한 근대의 영향력의 다차원성도 드러나는데, 즉 유유아(학령전기 자녀)에 대한 미국적 근대의 영향력과, 학령기 어린이에 대한 일본적 근대의 지배력이 공존하는 체제가 그것이다. 이는 일제는 학교와 같은 제도교육의 영역은 장악하고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제도화의 정도가 약했던 문화적ㆍ사회적 공간에서는 미국 등 다른 식민주의 세력과 경합을 벌였음을 의미하며, 이 논문에서 다룬 가정과 어린이, 특히 아직 학교체제로 편입하기 전인 유유아의 문제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였다고 할 수 있다. ;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history and the change of Korean family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 focusing the social constitution of "childhood" whose formation interacts with the family change. "Childhood" is defined as the way people think about children, the attitude and practices treating them, and something which is structured by the social condition and institutions. In this study the childhood is especially considered as the result of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society, and accordingly as the important momentum of the family change. And the concept of moderniy is identified not as liberty or autonomy the way it has usually been used, but as the disciplinary motives shaping the "modern subject" who subjugate himself to the existing order not by external force but by his own control. Modern society has various fomative systems of the "modern subject" like factory, school, clinics, army, whose characteric mechanisms of governing the population include medicalizaion of human body through the sanitary administration and disciplination of it by the way of education. This thesis is also structured to show the two main mechanisms as such in order to analyze the "childhood" formation and the family change. Investigation of the agents who involve in those processes is another main purpose of this study. The three main task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To find out the tendency and the content of the discourse on the children and chidcare through 1920 to 1940 appearing in the printed matter, especially the daily news paper. 2. To analyze the characterics of the agents producing the discourse and the way they performed the medicalizaion and disciplination of children, mainly on the institutional level. 3. To research how the families respond to the social process of "childhood" constitution. The research method is to use the historical document, which was not easy to find since there has scarecely been the existing studies on this subject. So firstly this study anlayed the articles from the daily newspaper(Dongah-Il-Bo) and ladies home journals mainly in the columns of home and childcare for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the chidhood discourse. The main social agencies appearing in the discourse analysis above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concentratingly on the activity level including their works and institutions. Those are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merican evangelisic organizaions, the nationalist social groups, and expert, especially the doctors and the home economics teachers. For the analysis of the government s work this study reviewed its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systems focusing the journals published by it. The church work was researched through its publications and by the help of the second-hand materials on the church history. The official statistical books were refered also. Findings are as follow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specially from 1920 to 1940, so much discourse were produced on children by the various social agencies who tried to carry through their own political interest, resulting in the constitution of "childhood" and the family change in the mother rol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Findings will be proposed in three aspects: the medicalization of body, disciplination through the education, and the response of the family to the social constitution of the "childhood". 1. The medicalization of the children s body was proceeded by the discourse on assanitation, health(protection from disease), standardization of childcare, and also realized by the efforts of social agencies mentioned above. The important role in expanding the "modern" childcare discourse and practice was took by the baby clinics of American evangelitic medical organizations. The health clinics for the baby and mother tried to doctrinate the western medicine and the behaviorist child psychology which reflected the positivist world view dominant at that time, and so tried to improve the childcare practice in Korean homes. The essential part in their health education work was for discpling children to abandon the the traditional way of living and adjust himself to the social order and need. It implis that they tried to form child body for the future pro-American Christians and "the modern subject" who will well adjust to the society requiring the well-trained and self-controlled subject, and will be factory workers someday in their life time. While the colonial government made the infra-structure for the prevention of epidemics so as to protect its Japanese people in Korea, it didn t specialize the medical care for the children. So the American church could take advantage of that empty space of power. 2. Meanwhile the theme of the children s education and disciplination was not so simple compared to the medicalization on which the above two great social agencies had the exclusive powers. There appeared several kinds of discourses: 1) the children s human right and the right of their education, 2) the importance of introducing the western educative theory for the preschoolers, 3) disciplinary urgency of the odrerlyness in the family education on child. The three kinds of discourses are produced each by the nationalist child movemt activists, the child education expert, and lastly teachers or enlightening thinkers. At the institional level of child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kindergarten system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t found the stronger disciplinary charateristics of the latter. The public primary schools exercised the disciplination through the various hidden curruculum in detail as well as the official curriculum in the direct and oppressive way. It intended the production of the "childhood" which can control himself and subjugate his body to the social order and norms not by the compulsion but by autonomy. But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childhood" was characterized by the very colonialist way. In that point the concept of colonialism and modernity can be said to be complimentary to each other rather than the contradicting one. What is noteworthy is the fact that the "childhood" in Korea during twenties includes the concept of the child s right. It is conspicuous amongst the child movemt of Chun-do Kyo(天道敎). 3. The way families respond to, and interact with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childhood"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Amonst a few middle and upper class the mother role was strengthened and some kind of domesticity appeared though not in the very conspicuous way. That kind of change was led especially by the edcated women who positively accepted the new mother role norms. It seems those women wanted to get social recognition by attaining "modern" mothering knowledge and to get higher status in family. At that time modern is identified as the "scientific" and "good". And the family of common people also changed. It became the support group for children s attending school. Child became to be regarded as the pupil who should go to school and didn t have to work for supporting their parents. It means the filial duty of the chid to the parents was weake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was changed. In addition, the family which had been under the control of the kinship system was gradually moving to be subsumed under the state controlling social system as its its children went to school increasingly. So that kind of process could be rephrased as the "policing families". Meanwhile the multi dimensions of modernity were shown in the area of children and family. That means American way of modernity and the Japanese way of it coexisted. The former had the influence on preschoolers and the latter exercised its power on school age children. But they had the common effect in their works. The children were to be under the way of being the "modern" child who could subjugate himself to the existing social order based on the disciplined body. Moreover the Korean family was yielding its power on the children to the state and the American culture, taking the responsibility for the support of children s education by themsel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ⅶ I. 서 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과제와 의의 ---------------------------------------------- 6 1. 연구의 과제 ---------------------------------------------------- 6 2. 연구의 의의 ---------------------------------------------------- 8 C. 연구방법과 자료의 성격 ------------------------------------------ 8 II. 서구연구사의 검토와 논문의 구성 --------------------------------- 13 A. 근대사회와 어린이 ----------------------------------------------- 14 B. 자녀양육과 근대지식 --------------------------------------------- 18 C. 근대 가족담론과 여성의 권력 ------------------------------------- 21 D. 논의의 정리 및 논문의 구성 -------------------------------------- 23 1. 논의의 정리 ---------------------------------------------------- 23 2. 논문의 구성 ---------------------------------------------------- 25 III. "어린이기" 형성의 시대적 배경 ---------------------------------- 27 A. 산업화와 도시화의 양상 ------------------------------------------ 27 1. 산업화와 도시화 ------------------------------------------------ 27 2. 도시가구의 경제생활의 변화 ------------------------------------- 30 B. 가족의 인구학적 특성 -------------------------------------------- 33 C. 교육정책과 초등학교 --------------------------------------------- 37 D. 기독교회의 역할 ------------------------------------------------- 40 E. 근대학문의 도입 ------------------------------------------------- 43 1. 서양의학 ------------------------------------------------------- 43 2. 유아교육학 ----------------------------------------------------- 46 3. 가정과학 ------------------------------------------------------- 47 F. 가정개량론의 형성 ----------------------------------------------- 50 1. 문화운동적 가정개량론 ------------------------------------------ 52 2. 전문가 중심의 가정개량론 --------------------------------------- 55 3. 일제의 생활개선론 ---------------------------------------------- 57 IV. 자녀양육과 의료화: 어린이의 육체적 관리 ------------------------- 62 A. 전통사회의 양육규범 --------------------------------------------- 62 B. 자녀양육에 대한 담론의 변화 ------------------------------------- 64 1. 위생과 건강 ---------------------------------------------------- 65 2. 수량화와 표준화 ------------------------------------------------ 70 3. 우생학주의 ----------------------------------------------------- 75 C. 어린이의 육체건강에 대한 사회제도적 개입 ------------------------ 77 1. 식민지 권력의 아동의료사업 ------------------------------------- 77 2. 기독교회의 모자보건사업 ---------------------------------------- 86 D. 소 결 ----------------------------------------------------------- 96 V. 어린이 교육의 제도화와 규율화 ------------------------------------ 99 A. 전통사회의 아동교육과 역할관 ------------------------------------100 B. 어린이교육에 대한 담론의 변화 -----------------------------------103 1. 어린이 권리 개념의 등장 ----------------------------------------103 2. 유아교육론의 도입 및 아동문화 ----------------------------------112 3. 자녀교육과 규율화: 가정/학교의 연관 ----------------------------121 C. 제도교육의 성립과 "어린이기" ------------------------------------129 1. 유치원: "아동중심주의"와 규율 ----------------------------------130 2. 초등학교: 노동규율과 식민지민의 양성 ---------------------------137 D. 소 결 ----------------------------------------------------------144 VI. "어린이기"의 사회적 구성과 가족 변화 ----------------------------147 A. 가정의 의료화와 모성역할의 강화 ---------------------------------147 1. 전통사회의 여성역할과 모성규범 ---------------------------------148 2. 모성역할의 전문화: 중상류 가정 ---------------------------------150 3. 양육담론과 현실의 괴리 -----------------------------------------157 B. 교육의 제도화와 가정의 역할변화 ---------------------------------164 1. 학교제도를 통한 가정의 관리 ------------------------------------164 2. 교육기대의 형성과 자녀의 부양대상화 ----------------------------171 VII. 결 론 ----------------------------------------------------------179 A. 논의의 요약 -----------------------------------------------------179 B. 이론적 함의 -----------------------------------------------------187 참고문헌 ------------------------------------------------------------192 영문초록 ------------------------------------------------------------2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818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제하 어린이기의 형성과 가족변화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