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문현-
dc.creator조문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1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5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54-
dc.description.abstract이 硏究는 學級에서의 교사 및 아동의 言語的 表現을 통하여 아동의 地位分化 過程을 탐구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硏究는 아동이 속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學級에서의 아동의 地位가 위계적으로 분화되어가는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는 다양한 學校 外的 要因들 뿐만 아니라 학교 속의 實際 敎育의 過程에서도 그 요인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라는 假定 下에 학교교육의 구체적 단위인 ‘學級’에 초점을 두고 탐구하였다. 그리고 학급에서의 아동들의 活動들이 ‘言語的 表現’의 연속이라는 점에서 ‘학급에서의 언어적 표현’을 통하여, 아동이 속한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아동의 학급내 지위가 분화되는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硏究方法으로 學級觀察을 통한 文化技術的인 탐구방식을 택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민학교 6학년 2개학급을 관찰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그 속에서 硏究問題에 적합한 중산층 아동 및 노동계층 아동 20명을 집중 관찰하였는데, 학급관찰은 豫備觀察(1985년 9월 ? 12월), 集中觀察(1986년 3월 ? 7월), 補充觀察(1986년 9월)의 세단계를 거쳤다. 硏究는 學級에서의 言語的 表現과 地位 分化 過程을 다음의 네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1) 학급이라는 사회적 맥락에서 言語는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2) 아동이 보유한 “言語的 資本”이 계층에 따라 차이나고 있는가? (3) 수업장면에서 교사와의 言語的 相互作用을 할 대, 아동들은 어떻게 그들의 “言語的 資本”을 활용하는가? (4) 敎師의 發言들은 地位分化 過程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이러한 論議를 통하여 硏究가 얻은 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學級이라는 사회적 맥락에서 言語는 의사소통의 수단이면서 학문적 정보를 획득하게하는 도구인데, 그 표현의 양식이 公式化, 標準化되는 경향이 있다. 學級에서의 언어적 表現은 構造的 側面과 技能的 側面에서의 능력을 요구하며 이러한 능력을 제대로 습득하지 못하는 경우 學級에서 兒童의 活動과 成就는 성공적이기 어렵다. 둘째, 아동이 습득·내면화하고 있는 言語的 表現의 樣式들이 차이를 보이는가의 문제는 말하기의 경우와 글로 쓰는 경우로 나누어서 논의되었다. 그 결과, 아동들의 發言量에서는 階層差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主題가 주어지는 수업의 장면이나, 분단토의와 같은 公式的 狀況에서의 발언들은 그 내용이나 전개방식에서 階層差를 보이고 있었다. 노동계층 아동들이 구체적인 사실에 집착하여 토의내용을 一般化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데 반하여, 중산층 아동들은 討議를 주도하고 구성원들의 발언들은 요약·추상화하는데 익숙하였다. 글로 쓰기에 있어 주어진 題目으로 글을 쓸 때 노동계층 아동들은 주어진 제목과 관련된 구체적인 일상사에 대하여 記述하는데 익숙한 반면, 중산층 아동의 글은 주어진 제목의 범위를 넓혀 추상화하거나 일반화하여 표현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학교에서의 학습을 하는데 不利하게 또는 유리하게 작용하므로써 아동의 言語的 表現은 “言語的 資本”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셋째, 아동들이 보유하고 있는 “言語的 資本”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의 문제이다. 중산층 아동들은 학교 학습에 유리한 言語的 資本을 活用하여 수업의 과정에서 能動的·自律的으로 참여하고, 수업의 흐름을 파악하고 주제에 적절한 발언을 함으로써 수업에 효율적으로 참여한다. 노동계층 아동들은 일상적 장면에서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지 않으면서도 授業 場面에서 새로운 學習 狀況을 만들거나 자율적으로 참여하는데 익숙치 않고 수업이 이루어지는 맥락이나 주제에 적절한 발언을 효율적으로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言語的 資本을 敎授-學習 場面에서 活用함에 있어서도 중산층 아동들은 노동계층 아동보다 유리한 입장에 있다. 넷째, 敎師들은 아동들에 대해 달리 期待를 형성하고 그 기대에 따라 거의 무의식적으로 아동들을 달리 대한다. 發表機會의 배분에서, 兒童 發言에 대한 評價에서, 그리고 統制方式에서의 교사의 차별적 편견의 효과는 아동들이 안고 있는 不平等 要素를 개선하지 못하며, 오히려 결과적으로 아동의 地位分析을 심화시킨다. 이러한 論議들을 통하여 硏究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즉 學級에서의 兒童의 言語的 表現은 階層의 反映이자 産物이면서, 동시에 아동을 계층적으로 다시 분화시키고, 나아가 그 분화를 더욱 심화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리고 아동이 이미 속하여 있는 사회계층에 따라 學級에서의 地位가 分化되는 현상은 學校 敎育 속에 內在하여 있는 계층 분화의 매카니즘에 의한 것이며, 그것은 言語를 한 변인으로 하여 설명할 수 있다. ; 1. Purposes of the Study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inquire the stratifying phenomenon of children’s status in the classroom through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teachers and children. Many researches in the field of sociology of education has proposed that the social class variable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which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attainment and social achievement. However, it was not clear how this factor operated in the process of schooling. In most of the macro studies, schooling has been regarded as a black box, so the various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and their significance’s were neglected. This study assumed that there might be the inner-mechanism of stratifying the children’s status in the process of schooling. Therefore, it focused especially on the actual educational process in the classroom. The study aimed to answer the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1) What is the meaning of the teacher’s and children’s language in the classroom as a social context? (2) Is there any social class difference in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children’s in the classroom? And can it be interpreted as “language capital”? (3) In the classroom setting, how do the children use their “language capital”, especially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4) What is the role of the teacher’s language in the stratifying process of the children’s status? 2.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s Major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was constitutive ethnomethodology based on classroom observation. Twenty children, ten from middle class and another ten from working class, were selected and were observed continuously. All of them were 12 years old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 observation was composed of three parts: (1) preliminary observation (September to December, 1985), (2) intensive observation (March to July, 1986), (3) supplementary observation (September, 1986). 3. Findings of the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classroom as a social context, language was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instrument to acquire academic information. It was found that the classroom language tended to be formalized and standardized. For the effective communication in the classroom, children need to have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knowledge on language: that is, children must know not only about grammatically correct expression but also about social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2) Social class difference in the children’s linguistic expression was discussed in the aspects of speaking and writing. In spoken language, there’s very little quantitative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from different social classes, but there’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s and logical explanation. Middle class children were competent enough to lead the group discussion and summarize or generalize other member’s utterances. In written language, there could be found clearer social class differences in the length of free composition, usage of sentence form and level of abstraction and generalization. (3)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middle class children could make use of their “language capital” effectively. They could answer properly to the theme and be familiar with recognizing the stream of instruction and participate actively in the classroom activities. (4) Teachers usually have the different expectations about the children based on the different social background. In the classroom interaction, teacher’s prejudice has meaningful affection on stratification of the status by treating the children inequally in the aspect of allocation of the report opportunity, response to the children’s answer, and the strategies of control and evaluation. Therefore, teachers could not minimize the degree of inequality, rather, reinforce the stratification of the children’s status in the classroom. 4.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research concluded as follows.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children in the classroom is the reflection and result of the social class. At the same time, it is a mediating variable of stratifying the children’s status in the classroom according to their social background. Therefore the effects of the social class on the children’s performance and status attainment can be explained partially by the linguistic expression in the classroom; inner mechanism of the school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ⅶ I 序論 --------------------------------------------------------------- 1 A. 問題의 提起 ------------------------------------------------------ 1 B. 硏究의 目的 ------------------------------------------------------ 7 C. 硏究의 限界 ------------------------------------------------------ 8 II. 關聯 文獻의 考察 ------------------------------------------------- 11 A. 兒童 言語의 社會·文化的 解釋 ------------------------------------- 11 1. 言語 表現 樣式의 形成 ------------------------------------------- 11 2. 言語 相互作用 類型의 不一致 ------------------------------------- 22 3. 文化的 資本으로서의 兒童 言語 ----------------------------------- 26 B. 學級 場面에서의 言語와 地位 分化 現象 ---------------------------- 36 1. 學級 言語의 社會的 性格 ----------------------------------------- 36 2. 學級 言語 관련 연구 --------------------------------------------- 45 3. 學級內 地位 分化 現象 : 교사 변인 ------------------------------- 58 III. 硏究의 方法 ----------------------------------------------------- 67 A. 硏究의 假定 ------------------------------------------------------ 67 B. 硏究 對象의 選定 ------------------------------------------------- 69 C. 硏究 方法 및 進行 ------------------------------------------------ 73 1. 硏究 方法의 特性 및 限界 ---------------------------------------- 73 2. 硏究의 進行 ----------------------------------------------------- 83 IV. 硏究의 結果 ------------------------------------------------------ 87 A. 言語 表現의 場 : 연구대상 학급의 일반적 특성 --------------------- 87 B. 아동이 보유하고 있는 "言語的 資本" : 언어 표현에서의 階層差 ------ 97 1. 말하기 ---------------------------------------------------------- 98 2. 쓰기 ------------------------------------------------------------108 C. "言語的 資本"의 活用 : 수업에서의 교사 - 아동의 상호작용 과정 ----114 1. 교사 - 아동간의 問答 --------------------------------------------114 2. 수업에서의 自律的 參與度 ----------------------------------------119 3. 主題와의 適切性 -------------------------------------------------122 D. 敎師의 差別的 偏見의 效果 ----------------------------------------126 1. 발표 기회의 배분 ------------------------------------------------130 2. 評價의 말들 -----------------------------------------------------135 3. 統制의 말들 -----------------------------------------------------140 V. 結論 --------------------------------------------------------------149 A. 要約 -------------------------------------------------------------149 B. 結論 -------------------------------------------------------------153 參考文獻 -------------------------------------------------------------163 英文抄錄 -------------------------------------------------------------1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482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급에서의 언어적 표현과 아동지위의 분화-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