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이영희-
dc.creator이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0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5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5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韓國 古代美術의 根源 을 밝히는 작업의 하나로, 金屬工藝의 裝飾技法인 鏤金細工技法을 중심으로 한 古新羅 金屬工藝와 美術에 관한 硏究이다. 韓國 金屬工藝의 鏤金細工技法은 古新羅 金屬工藝의 裝飾技法으로 등장하여, 金屬工藝의 발달과 함께 全盛期를 맞이하였다. 뿐만 아니라 鏤金細工技法은 韓國 古代美術에 나타난 外來的인 要素의 하나로 지목되어 왔으며, 積石木槨墳에서 출토된 遺物을 논함에 있어 古新羅 美術의 特殊性의 하나로 제시되어 왔다. 緖章에서는 鏤金細工技法의 硏究에 앞서 鏤金法이 古新羅 美術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古新羅와 古新羅 美術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金屬工藝의 硏究現況과 金屬工藝의 技法에 관해서 개략적인 설명을 함으로써 본 硏究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 다음, 4章으로 나누어 鏤金細工技法의 槪念과 起源을 알아본 후, 현존하는 鏤金法의 遺物을 분류하고, 古新羅 金屬工藝의 鏤金細工技法을 고찰하는 順으로 진행하였다. 第1章에서는 鏤金細工技法이란 과연 어떠한 金工技法인지에 대한 定義와 工程 등 鏤金細工技法의 槪念을 고찰하였다. 鏤金細工技法이란 金絲로 대표되는 금속선(絲)을 금속 표면에 붙여서 장식하는 Filigree (金絲法)와 金粒으로 대표되는 금속 알갱이를 이용하여 동일한 목적을 구하는 Granulation (金粒法)을 포함한 金屬工藝의 細工(裝飾)技法이다. 그런데 금속의 표면에 金絲와 金粒을 배열시켜 장식효과를 내는 金屬工藝 技法은 美的 觀點에서는 구별되나 技術的인 面에서는 동일하며, 두 기법이 병행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때문에 歐美에서는 일반적으로 Filigree 의 개념 속에 Granulation 의 개념을 포함시키고, 우리나라에서는 鏤金細工技法(鏤金法)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鏤金細工은 일차적으로 여러가지 방법으로 金絲와 金粒을 제작한 다음, 이를 공예품의 표면에 접착하는 工程이 있으며, 고도의 기술과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는 金屬工藝 技法이다. 鏤金細工의 工程에는 경우에 따라서 金絲로 공간을 구획한 다음, 玉으로 통칭되는 寶石과 有色의 물감(Paste) 등을 감장하기도 하므로 嵌玉細工까지도 포함된다. 第2章 鏤金細工技法의 起源에서는 鏤金法이 언제 어디에서 발생하여, 어떠한 과정을 거쳐 東·西로 전래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鏤金法은 오리엔트에서부터 시작하여 유럽과 스키타이, 알타이와 오르도스에까지 전래되고, 中國과 韓國의 金屬工藝 技法으로 성행한 東·西洋의 중요한 金工技術이다. 鏤金細工技法은 기원전 2600년경 古代 文明의 發祥地인 메소포타미아의 슈메르(Sumer)人에 의해서 최초로 사용된 이래, 기원전 2000년을 전후해서는 東地中海 沿岸의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등지로 전래되고, 기원전 1800년경에는 남쪽의 이집트 대륙까지 전파된다. 이후 페니키아人에 의해서 地中海 西部地域으로 전달되었으며, 그리스와 이탈리아 반도의 에트루리아에서 크게 발달한다. 유럽의 鏤金法은 그리스의 黑海 沿岸의 식민활동과 헬레니즘 文化의 확산을 계기로 하여 스키타이 黃金美術에 영향을 끼침으로서 東으로 전파된다. 東으로 전래된 鏤金法은 스키타이 美術의 東傳으로 시베리아 以東地域으로 파급된다. 또한 漢代以來 匈奴文化의 영향으로 中國 金屬工藝의 技法으로까지 등장하고, 古新羅 古墳出土 副葬品을 비롯하여 三國時代 古墳에서 출토된 金製遺物의 裝飾技法으로도 성행한다. 第3章 鏤金細工技法의 遺物分類에서는 현존하는 韓國 金屬工藝品 중에서 鏤金法의 遺物을 時代別, 種類別, 類形別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鏤金法의 遺物은 三國時代의 金屬工藝, 그 중에서도 古新羅 金屬工藝의 裝飾技法으로 발달하고, 종류별로는 金製裝身具의 表面裝飾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鏤金法의 遺物은 장식기법에 따라 細線細工技法(金絲法)·細粒細工技法(金粒法)·嵌玉細工技法(嵌玉法)으로 분류된다. 또한 3類形의 장식기법 중에는 金絲로만 장식하는 細線細工技法과 金絲나 金粒裝飾과 함께 보석류를 감장한 嵌玉細工技法에 비하여 金粒 또는 金絲와 金粒을 함께 장식하는 細粒細工技法의 예가 가장 많다. 第4章의 古新羅 金屬工藝의 鏤金細工技法은 본 논문의 가장 핵심에 해당한다. 古新羅 鏤金法은 裝身具 중에서도 主環部와 中間飾, 垂下飾으로 구성된 垂下付耳飾의 表面裝飾技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장식기법은 金絲裝飾에서 차츰 金粒裝飾으로 옮겨가는 발전과정이 보인다. 細線細工技法에서는 장식없는 금사(Plain-wire) 보다는 새김눈금사(Beaded-wire)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었고, 새김눈금사의 눈금도 차츰 金粒에 가까운 球形으로 변한다. 이는 細粒細工技法의 효과를 의도한 것이라 여겨진다. 細粒細工技法에서도 소수의 金粒을 장식하는 단계에서 다수의 金粒을 장식하는 단계로 발전하고, 後者의 장식방법도 金絲와 함께 장식하되 金絲를 경계선으로 삼아 金粒을 장식하는 단계에서 金粒만으로도 장식이 가능한 단계로 발전한다. 여기서 古新羅 鏤金法의 기술적 발전과 조형성이 발견된다. 즉, 鷄林路 14號墳出土 金製細環耳飾으로 대표되는 細環耳飾의 타원형 中間飾 표면과 慶州 普門洞 夫婦塚 婦墓出土 金製太環耳飾으로 대표되는 太環耳飾의 둥근 태환의 표면에 金絲와 함께 金粒을 나열하여 문양화에 성공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慶州 普門洞 夫婦塚 婦墓出土 金製太環耳飾에 사용된 0.7∼0.8mm 두께의 金絲와 평균 0.67mm의 굵기의 金粒, 金絲와 金粒을 이용한 龜甲紋과 花紋의 정교한 장식 등은 古新羅 鏤金法의 기술적 발달을 암시한다. 이같은 古新羅 鏤金細工技法은 積石木槨墳의 初期墳에 속하는 月城路 가-13號墳에서부터 시작하여 皇南大塚 南墳·北墳 → 金鈴塚 → 鷄林路 14號墳 → 慶州 普門洞 夫婦塚 등으로 대표되는 古新羅 古墳을 중심으로 발전한다. 이러한 鏤金法의 編年은 技法만의 독립된 현상이 아니라 古新羅 古墳과 동일한 궤적이다. 또한 古新羅의 鏤金法은 殉葬禁止와 佛敎公認 이후의 사회의식의 변화에 의한 薄葬風習과 佛敎美術의 발달이라는 배경으로 점차 쇠퇴한다. 즉, 古新羅 古墳이 積石木槨墳과 橫穴式石室墳이 공존하던 시기에 극점에 도달한 鏤金法은 의식개혁에 의한 간단한 구조의 고분의 조영과 이에 수반된 副葬品의 축소, 佛敎工藝品의 발달이라는 요인으로 인하여 金屬工藝 技法으로서의 중요성을 상실하게 된다. 鏤金細工技法의 古新羅로의 傳來는 스키타이-알타이·오르도스系 遊牧文化의 영향이다. 이는 鏤金細工技法의 起源에 대한 고찰과 함께 古新羅 鏤金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積石木槨墳과 耳飾의 起源을 검토한 결과이다. 積石木槨墳은 스키타이 쿠르간(Kurgan)과의 구조적인 일치성으로 볼 때 시베리아에 起源을 두고 있고, 耳飾 또한 형태와 장식기법면에서 그리스와 스키타이 귀걸이로부터 시작된 遊牧民의 裝身具에 起源을 두고 있음이 추정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오리엔트에 起源을 둔 鏤金細工技法은 알타이까지 전래되고, 이후 오르도스 문화전래 경로를 따라 오르도스-한반도 중서부를 지나는 스텝-오르도스 루트로 古新羅에 전래되었으리라 추정된다. 이와 함께 알타이 산록에서 스텝을 따라 東進하여 高句麗 領域圈을 지나 古新羅로 南下하는 경로도 제기된다. 이 경로는 古新羅 지배계층 자체가 강력한 文化를 지니고 南下한 새로운 遺移民 집단이라는 견해와 맥락을 같이 한다. 이처럼 古新羅 鏤金細工技法은 스키타이·알타이-오르도스系 遊牧文化의 영향으로 古新羅로 유입된 결과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古新羅 鏤金法은 古新羅 美術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汎중앙아시아 美術의 한 예이다. 이같은 古新羅 美術과 汎중앙아시아 美術과의 親緣性은 鏤金法의 유물들과 한 세트로 출토하는 金冠, 琉璃와 같은 同伴遺物들로 설득력을 가진다. 그러므로 古新羅 鏤金細工技法은 단순히 金工技術에 국한되지 않고 古新羅 美術의 性格을 규명하는 한 단서가 된다. 이점은 본 논문의 硏究意義이기도 하다. ;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iscover the origin of the ancient Korean art by studying the filigree technique of Silla dynasty. The filigree technique is a decorating method in metal crafts including filigree which attaches metal strands to the metal surface and granulation which uses metal grains. The filigree technique was used for the first time in Mesopotamia around 2600 B.C. It was transmitted to Syria and Palestine in the eastern seaside of Mediterranean Sea around 2000 B.C., and to Egypt around 1800 B.C. After then, it was transmitted to the western part of the Mediterranean Sea and developed especially in Greece and Etruria. European filigree influenced the Scythian gold-work by the Greek Colonialism. The filigree technique in the East was extended to the eastern area of Siberia and appeared as Chinese metal crafts technique since the Han Dynasty. Finally, the technique flourished as a decorating method in the Three Kingdom Period in Korea. The filigree technique had developed in the Three Kingdom period, especially in Silla. The filigree technique of Silla was mostly used for surface decoration of ear ornaments. The decorating technique have developed gradually from the golden strands decoration to the golden grains decoration. In the golden strands technique, beaded-wire was more commonly used than plain-wire. The beaded-wire had gradually changed into a globular form like golden grains. This seems to aim at the effects of the golden grains technique. The golden grains technique had developed from the stage of decorating a few golden grains to the stage of decorating many golden grains. The latter also had developed from the stage of decorating golden grains outlined with golden strands to the stage of decorating golden grains without golden strands.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surface decoration of ear ornaments such as golden small-ball earrings from the tomb No.14 of Kyerim-Ro and golden large-ball earrings from Pubuch ong (Husband and Wife Tomb) Pomun-dong in Kyoungju. Especially, golden strands 0.7∼0.8mm thick and golden grains 0.67mm thick of golden large-ball earrings from Pubuch ong show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he filigree. The filigree technique of Silla had developed from the Hwangnam-daech ong (the Great Tomb of Hwangnam) to Kumnyongch ong(the Golden Bell Tomb), in turn, to the tomb at No.14 of Kyerim-Ro, Pubuch ong(Husband and Wife Tomb) Pomun-dong in Kyoungju. This chronicle of the filigree technique shows the same locus of the tombs of Silla. This technique had gradually declined as the frugal funerary customs and Buddhist crafts had been popularized. That is, the filigree technique lost its importance as a metal crafts technique due to the simple structured tomb followed by reducing burial goods. The introduction of the filigree technique into Silla was the result of the nomadic culture of Scytho-Altai and Ordos. This is the conclusion after the examination of the origin of the wood-lined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and ear ornaments closely related with Silla filigree technique. It is inferred from the structural consistence with Scythian Kurgans that the wood-lined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as originated from Siberia and ear ornaments were also based on the ornaments of nomadic tribes. Thus, the filigree technique based on the Orient seems to have transmitted to Altai in the Central Asia. After then, it was introduced into Silla passing over the Korean peninsula via Ordos in the region southwest of Mongolia.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route towards Silla via Koguryo territory after the movement towards the east from the foot of Altai mountain. In conclusion, the filigree technique is an example which shows the art of Central Asia influenced the art of Silla. The affinity in art between Silla and the Central Asia has been proved by golden crowns and glassware excavated as one set of the remains of the filigree technique. The filigree technique of Silla is important from the technical viewpoint of the gold-work. The technique also provides a clue for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art of Sill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序 論 -------------------------------------------------------------- 1 緖 章 古新羅 美術과 金屬工藝 ---------------------------------------- 7 1. 古新羅와 古新羅 美術 -------------------------------------------- 7 2. 古新羅 金屬工藝의 硏究現況 -------------------------------------- 18 3. 古新羅 金屬工藝의 技法分類 -------------------------------------- 24 第1章 鏤金細工技法의 槪念 ------------------------------------------- 33 1. 鏤金細工技法의 定義 --------------------------------------------- 34 2. 鏤金細工의 工程 ------------------------------------------------- 36 (1) 金絲·金粒의 製作 ---------------------------------------------- 36 (2) 接着方法 ------------------------------------------------------ 43 (3) 嵌玉細工 ------------------------------------------------------ 46 第2章 鏤金細工技法의 起源 ------------------------------------------- 52 1. 鏤金細工技法의 發生 --------------------------------------------- 52 (1)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 ------------------------------------- 53 (2) 東地中海 沿岸 地域 -------------------------------------------- 57 2. 鏤金細工技法의 傳來 --------------------------------------------- 61 (1) 그리스(Greece)·에트루리아(Etruria) ---------------------------- 61 (2) 스키타이(Scythia) --------------------------------------------- 69 (3) 中國 ---------------------------------------------------------- 74 第3章 鏤金細工技法의 遺物 分類 -------------------------------------- 79 1. 時代別 分類 ----------------------------------------------------- 79 (1) 三國時代 ------------------------------------------------------ 80 (2) 統一新羅以後 -------------------------------------------------- 88 2. 種類別 分類 ----------------------------------------------------- 89 (1) 裝身具 -------------------------------------------------------- 90 (2) 其他 遺物 -----------------------------------------------------106 3. 類形別 分類 -----------------------------------------------------108 (1) 第1類形 : 細線細工技法(金絲法) --------------------------------110 (2) 第2類形 : 細粒細工技法(金粒法) --------------------------------121 (3) 第3類形 : 嵌玉細工技法(嵌玉法) --------------------------------148 第4章 古新羅 金屬工藝의 鏤金細工技法 --------------------------------164 1. 古新羅 鏤金細工 遺物의 造形과 鏤金法 ----------------------------164 2. 古新羅 鏤金細工技法의 發展過程 ----------------------------------170 (1) 鏤金細工技法의 編年 -------------------------------------------170 (2) 鏤金細工技法의 傳來背景과 經路 --------------------------------180 (3) 鏤金細工技法의 衰退背景 ---------------------------------------193 3. 古新羅 鏤金細工技法과 汎중앙아시아 美術 -------------------------196 結 論 --------------------------------------------------------------202 參考文獻 ------------------------------------------------------------207 目錄 目錄 1. 中國의 鏤金細工技法( 絲· 嵌技法) 遺物目錄 ----------------229 2. 鏤金細工技法 太環耳飾 遺物目錄 -----------------------------230 3. 鏤金細工技法 細環耳飾 遺物目錄 -----------------------------232 4. 博物館所藏 鏤金細工技法 遺物目錄 ---------------------------236 5. 日本의 鏤金細工技法 遺物目錄 -------------------------------239 圖面 및 圖版 --------------------------------------------------------240 英文槪要 ------------------------------------------------------------2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1956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고신라 금속공예의 도금세공기법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