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2 Download: 0

고려 전기 서경세력의 연구

Title
고려 전기 서경세력의 연구
Authors
강옥엽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
Abstract
고려전기에 있어 서경세력의 정치적위상은 사실상 왕권의 강화 및 발전과 맥을 같이 한 것이었다. 고려는 현실적으로 신라로부터 정통성을 이어받았지만 왕조개창의 본질은 역시 高句麗繼承이었고 정신적인 면에서의 고구려계승적인 인식이 강하게 남아있었다. 이것은 특히 太祖 王建의 遺訓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고려사회가 발전하여 유교체제를 정비하게 됨으로써 나타나는 新羅繼承的인 성향과 맞물려 서로간에 자극적이고 발전적인 문화의식으로 기능하였다. 그러므로 구체적으로 서경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호족적 기반을 오래도록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토착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역시 서경세력권의 정치적인 결집에서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려왕조에 들어와서도 이념적으로는 고구려계승의식이 남아있고 또 지역적으로는 고구려토착적인 성향을 유지한 서경세력이 고려왕권에 대한 지지성향을 강하게 지니면서 정치적 결집세력으로 기능해온 과정을 검토하고자 한다. 때문에 초기 浿西豪族集團으로부터 西京勢力으로의 轉移 및 중기 서경세력으로써의 활동과 유대관계를 통해 궁극적으로 仁宗代 西京派로서의 역할과 그 3분화 과정을 서경천도론의 실체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러므로 이들 서경세력의 분열이 고려전기 정치사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먼저 서경세력의 시기별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고려전기사회를 초기 중기로 나누고, 중기는 다시 3시기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초기는 태조왕건으로부터 목종대까지로, 아직은 호족적인 색채가 많이 남아있는 가운데 중앙정치체제의 정비속에서 서경세력이 정치세력으로서 결집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우선 나말에 浿江鎭을 중심으로 성장한 패서지역의 호족들은 후삼국의 정립이라는 혼란기를 거치면서 고려왕조의 지지기반으로 편입되어 王朝開創에 일익을 담당했다. 그러므로 고려초 이들에 대한 배려가 국방상(북방정책)의 목적과 아울러 平壤의 재정비를 통해 西京으로의 승격에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초기 왕건의 徙民政策은 일반적인 사민과는 달리 평양주변지역의 귀족및 양가자제들로 서경을 채우는 구도에서 이미 지역적으로 광범위한 범위가 서경세력권으로 설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왕건의 서경경영은 平山을 중심으로 활동한 기존 패서호족집단에 대한 견제도 병행되었던 것이며, 이것은 평산으로부터 서경으로의 중심축 이동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고려중기를 서경세력의 동향에 따라 다시 3시기로 나누되, 제1시기를 현종대부터 숙종의 즉위 전까지로 설정했다. 이 시기에 서경세력은 주로 왕실과 연결된 王后族으로서 활동하고 중앙에서 유대의 맥을 가지고 있던 것으로 파악된다. 제2시기인 숙종대는 즉위시에 일련의 갈등이 표출되면서 귀족관인들간에 상충된 이해관계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숙종대 南京의 復置는 다분히 정치상황과 결부된 것으로 왕권과 서경세력의 합작에서 진행되었던 것이며, 서경세력의 왕권 지지기반으로서의 활동상을 이 시기에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서경세력은 초기의 호족적이고 군사적인 기반 혹은 외척으로서의 활동을 바탕으로 시대추세에 따라 관인체제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관인체제에서는 중앙에서의 지위확보라는 공통과제를 갖고 관직을 통해 지역적인 유대를 형성해 갔던 것으로 이해된다. 무엇보다 그들 대부분이 가졌던 직이 왕권을 보좌하는 中樞院의 職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초기와 달리 서경세력이 왕권을 도우는 역할을 스스로 수행한 것으로 파악된다. 중기의 마지막 제3시기인 仁宗代는 당시에 대두한 西京遷都論의 성격과 소위 묘청 난 을 기점으로 서경세력의 변화상에 주목하였다. 특히 서경천도론이 제기되는 인종대의 정치상황과 인종의 정치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인종을 당시 정치의 적극적인 주체자로 설정하고 인종대의 정치를 태조 왕건대의 것을 표본으로 하되 그 실행차원에 의미를 두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서경세력은 인종대에 와서 3분화 양상을 노출시키고 있다. 즉, 서경천도문제를 두고 鄭知常, 白壽翰 등 서경출신의 온건한 반관인파와 서경의 分司機構下에서 활동하던 趙匡 등 강경한 토착재지파 및 金正純 등 관인파가 각각 이해를 달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서경세력권의 분화는 서경지역민의 항쟁에 일정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이에 따라 처음 시작은 천도실행을 촉구하는 다분히 시위적인 것으로 중앙과의 타협적인 연계가능성도 가졌던 것이었지만 핵심인물인 鄭知常, 白壽翰, 金安의 죽음과 관군의 지나친 제압은 점차 서경민의 2차 항쟁을 촉발시켰다. 이 과정에서 묘청 등이 천도문제의 실패에 따른 책임전가차원으로 지역민에 의해 죽음을 당하고 말았다. 더구나 2차 항쟁의 주도자들은 개경귀족에 대한 불신을 표출시키면서 결국 경제적인 문제 같은 서경민의 지역적인 이해관계를 자극하여 대대적인 결집을 촉구하였던 듯 이후 근 1년간이나 지속되었다. 그러므로 2차거사에서는 북벌론과 같은 대외적이고 국가 이상적인 차원의 항쟁이 아니고 지역적인 이해관계를 노출시킴으로써 중앙관인들에게는 반란적인 것으로 비쳐졌을 것이며 『高麗史』편찬에도 적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그들의 입장이 왕조의 타도나 왕권의 부정은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이 점에서 반란이라기 보다는 항쟁적 성격으로 이해된다. 한편 서경으로의 천도논의가 좌절되고 그 주도세력이 제거되고 난 후 활동한 서경파는 분명 관인화에 깊이 동조되어간 세력임에는 틀림없지만 그들이 태조 왕건이래로 가지고 있던 왕권 지지성향은 계속적으로 지니고 있었다는 점은 일관된 성격이었다. 여기서 이 사건 이후, 적어도 고려전기에 건국이래 최대의 이념적 기반으로 작용했던 고구려계승의식이 체계화된 유교문화에 융합됨으로써 양자간에 나타난 팽팽한 긴장감의 한 개념이 사라진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므로 이제 그 긴장감에서 오던 진취적인 문화의식은 없어지고 고려사회는 유교문화의 성숙성이라는 풍요로움 속에 이념의 빈곤화를 초래하고 오히려 좌표를 잃고 표류하는 상황을 맞이한 것이다. 이것이 곧 武臣의 亂으로 표출되고 말았다. 아울러 서경이 갖는 풍수적 구도를 통해 서경천도론에서 제기되었던 풍수사상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먼저 道詵은 일찍부터 3京制度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었으며, 이것은 왕건에 의해 적극 응용되었다. 그 근본적인 의도는 南京이나 西京의 풍수적인 장점을 취해 首都인 開京의 풍수상 결점인 순조롭지 못한 水德을 裨補하려는 것에서였다. 그리하여 북쪽에 背山격으로 西京을 두어 開京의 순조롭지 못한 水勢를 서경의 水德에서 裨補케 하여 명실상부한 지지기반이 되게 하고 군사적으로도 북방을 관할하는 역할을 하게 하였다. 한편 남으로는 역시 得水의 으뜸이라고 불리는 한강유역에 臨水격인 南京을 설치하여 남방을 포괄하게 함으로써 국가의 地脈을 유지하려고 하였다. 더구나 이러한 3경체제는 국초에 왕건이 호족들을 통합시키는 것은 물론 그들을 경계하기 위한 의도로 채택한 한 방편이었다고 보인다. 여기에 신라의 도읍이었던 慶州에 東京을 설치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그러므로 西京에 대한 관심은 국초부터 잦은 巡行이나 궁궐 창건 또는 심지어 遷都論議로까지 표출되었지만, 어디까지나 개경이 수도로서 중심지였고, 서경은 개경에서의 정치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일시적인 대상지였다는 점에 주목해야 될 것이다. 결국 풍수상의 吉地라는 것도 사실상 정치적인 문제와 결부되었던 것이며, 삼경제도도 실제는 행정적인 구도만이 아니라 풍수사상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정치 행정적 구도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구나 고려가 고구려계승의식을 정신적인 지표로 설정하고 서경을 중시한 것은 사실이지만 고려가 곧 고구려는 아니었다. 즉, 高句麗的인 意識과 新羅的인 文化의 結合과 受容속에서 고려전기 문화가 발전해 갔지만 결코 고려조의 근원지인 개경을 잃지 않았던 사실에서 變容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풍수사상도 서경천도론뿐 아니라, 왕권강화를 지향하는 입장에서는 가장 적절한 구실로서 기능한 것이다. 아울러 여기에 고려시대 풍수사상운용의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며, 이것은 고려가 갖는 하나의 특징일 것이다. ; This study explores aspects of activities by a political group named the Sokyung Group(西京勢力) which assumed ideologically a successive consciousness of Koguryo(高句麗) and geographically embraced Koguryo s natives at large, and at the same time strongly supported a newly established Koryo Dynasty. This study examines, in particular, the transformation from local powerful families in the area of Pae-suh(浿西) in earlier years to the Sokyung Group and their activities in the middle period of Koryo Dynasty. Also it surveys the role that the Group played in the reign of King Injong(仁宗) and the process of spliting into three parties through the debates over transferring the capital (Kaekyung) to Sokyung(西京). Also,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 dissolution in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early Koryo Dynasty. In the first place, in order to examine the trend of activities conducted by the Sokyung Group, it is necessary to outline the relevant historical divisions. That is, the first half of Koryo dynasty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 early and middle periods, and the middle period was again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early period covers from King T aejo(太祖), Wang-gun(王建), to the reign of King Mok-jong(穆宗). In this period, we can notice the forming of the Sokyung Group as a political group while the central political system of Koryo had not yet lost the traits of provincial grand families. Those families in the area of Pae-suh(浿西) had grown centering on Paekang-jin(浿江鎭) during the end of Silla(新羅) and had positively participated in supporting the newly-born Koryo Dynasty which had emerged in the disorder of Post-Three Kingdoms Period(後三國期). The families partly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the new dynasty. This served for rearrangement of P yongyang(平壤) and subsequently its elevation to Sokyung(西京), which was a measure to comply with the purpose of national defense (and the policy toward the north) of Koryo. Therefore the migration policy taken during the early reign of King T aejo was not a simple migration of people, but it was conducted centering on sons and brothers of powerful families living in neighboring areas of P yongyang who had to move to Sokyung. This means that broader areas were already recognized as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Group. The primary purpose of the contemporary policy on Sokyung by Wang-gun was to establish a supporting ground there. Secondly, he aimed to set up a firm base for the national defense and/or the policy to advance into the north by advocating succession of Koguryo s spirit. Thereafter the Group maintained maternal relations with Koryo kings in that it bureaucratized attitutes of dependency on powerful families in the earlier period. Accordingly, the leadership of the Sokyung Group was in the hands of the Hwangju-line(黃州系) and served as a natal families of queens. The middle period may be divided into three parts by the activities of the Sokyung Group. The first part covers from King Hyonjong(顯宗) to the period just before the enthronement of King Sukjong(肅宗). In this period Sokyung Group coninued to enjoy the privilege as maternal relatives of the royal family. The second part of the period, in the rule of King Sukjong, the conflicts and contradictory interests among aristocrat-bureaucrats seemed to be revealed when Sukjong was crowned. Especially, the establishment of Namkyung(南京) at Kyongju(慶州) in the reign of Sukjong was closely related to contemporary political situations and enabled by joint endeavors of royal and Sokyung powers. Therefore the Sokyung group is confirmed to have been still active as a supporting group of royal power during the period. Sokyung group took advantage of the bureaucratic system in the course of time based on its local seigniorial and military backgrounds and it s position as maternal relatives of royal family. In the bureaucratic system the Group made endeavors to obtain official positions in central politics and had formed territorial affiliations. Largely the Group members occupied positions in Chung ch u-won(中樞院), the secretarial office assisting the Crown. This showed the Group played supporting roles by themselves, which differed from their earlier attitudes. And members of Sokyung Group were recruited from broader areas to be represented more than in earlier times. Core members of Sokyung group were from P yongsan (平山), Hwangju(黃州), and Haeju(海州). In the third part of the middle period, in the reign of King Injong(仁宗), characeristics of the debate over transferring the capital to Sokyung(西京遷都論) emerged and changes in the Sokyung Group can be seen. Especially the political situation under the rule of King Injong and his political views were dealt with. Injong can be understood as an actual subject of contemporary politics and his rule i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in a practical demension, though he tried to adopt King T aejo s policy as a model. During this period, Sokyung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parties. Such splits were already revealed in actions of Ch ok Chun-kyung(拓俊京) through "Rebellion of Lee Cha-kyom". At the time of "Rebellion of Myoch ung(妙淸)", the bureaucratic power of Sokyung Group including Kim Chung-soon(金正純) centered on Hwangju, Haeju, and Changyon(長淵) under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Group. Their participation in the debate over the capital move to Sokyung(西京) and affiliation with Kim Pu-sik(金富軾) against protests of Sokyung people can be understood to maintain stability of their secured power. They succeeded in repelling a moderate semi-bureaucratic party including Chung Chi-sang(鄭知常), Paek Su-han(白壽翰) who came from Sokyung and a firm aboriginal party including Cho Kwang(趙匡) who engaged in Punsa(分司) organization, thus they continued to serve as bureaucrats. In a certain respect, this was also a result of restraining efforts by bureaucrats of Kyungju-line(慶州系) like Kim Pu-sik against the Sokyung group which stood for Koguryo s disposition. This study argues that representatives of the debate over removing the capital to Sokyung were not only Myoch ung, but also three persons of the semi-bureaucrats party who were from Sokyung. In other words, it is thought to be a cooperative work by Chung Chi-sang who planned and devised the idea as well as Myoch ung and Paek Su-han who were influential as mental leaders by their status. However, the intention of King Injong in the background, who attempted to implement a reformed policy to a certain degre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erefore the purpose of transferring the capital to Sokyung was a part of the endeavor to strengthen the king s power and the movement can be understood as a demonstration of practical loyalty and excessive expression of mental self-independence. The self-esteem of the people in the Sokyung area also promoted the movement. In connection with external matters, it was not a just delusion of grandeur and/or mis-interpretation on the present reality, rather a decisive and active measure to establish, at least, mental self-reliance by using the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Sung(宋) and Kum(金) Chinas. On the other hand, the failure of the movement meant the disappearance of the consciousness of succeeding Koguryo s spirit which had been causing constant ideological tensions since the creation of the Koryo Dynasty by being absorbed into the systematic Confucian culture. Accordingly an aggressive spirit of Koguryo style was alleviated, and thereby Koryo suffered from ideological poverty in the midst of abundant Confucian culture. And the Koryo Dynasty began drifting about without directions and was driven to the Rebellion of Military Officers(武臣亂).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geomantic theory(風水思想) under King Sukjong s reign was raised during the debates over transferring the capital. In Koryo, prophetic(圖讖的) and supplementary(裨補的) geomancy was popular, and it was expressed as Yon gi-sol(延基說) to prolong the fate of Koryo Dynasty(基業), and sometimes the argument on transferrring the capital was in connection with contemporary political affairs. In this context, concerns about Sokyung were expressed by frequent royal visitations from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building of royal palaces, and even the movement of removing the capital to Sokyung, but noteworthily it functioned as a safety-valve to solve political problems related to the capital, Kaekyung(開京). The typical example was the "Rebellion of Myoch ung" in King Injong. Injong s visitation to Sokyung and debates on removing the capital were solely to supplement weak geographical vigor of Kaekyung based on Yon gi-sol to extend the fate of Koryo Dynasty. In addition, Sokyung was thought as a temporal shelter from political upheavals. Such tendency had appeared from time to time since King T aejo. In fact, there had been no intention to move the capital. However, Myoch ung and people of Sokyung misunderstood the phenomenon and took to uprising when their hope was frustrated. The idea of favorable location (吉地) in geomancy was actually related to political affairs and the Samkyung(三京) system of Koryo is confirmed to be a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device based on geomantic studies, not just an administrative one. It also reveals the limitation of Koryo Dynasty which assumed the direct successor of Koguryo. In the first half of Koryo Dynasty, the society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and accommodating Koguryo s spirit and Silla(新羅) s culture, but Koryo had never deserted Kaekyung, the home place of the founder, Wang-gun. In this context, the meaning of their transformation can be understood. Geomancy was utilized as the best excuse for debates over the capital transfer as well as for strengthening royal power. It also explains why geomancy was so popular in Koryo, which w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yo Dynas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