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량-
dc.creator김미량-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5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5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5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588-
dc.description.abstract1960년대 이후 정치 사회적 성향이 매우 강한 영국 연극의 흐름을 주도한 작가 Edward Bond는 극작의 초기부터 현대가 직면한 위기의 심각성을 폭력 현상 속에서 인지하고 이런 위기 의식을 희곡으로 형상화한 작가이다. 정치 사회극 운동에 참여한 대표적 극작가 중 유일하게 하층 노동계급 출신인 Bond는 자신의 극적 상상력에 빈곤과 궁핍의 현상에서의 체험을 결합시킴으로써 당대 사회극 운동에 참여한 작가들의 관념적 도식성을 극복하는 한편, 살아 있는 전형을 창조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오늘날 극작 활동을 하는 작가 중 Brecht의 영향을 가장 깊이 받은 Bond는 현대 극작가들이 지향해야 할 새로운 극을 서사극의 범주에 속하는 “Rational Theatre”로 명명하며, 이를 통해 합리적 사회에 대한 비전을 미적 경험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그는 Brecht의 서사극을 계승하고, 나아가 서사극의 소격효과를 관객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공격효과”로 발전시키고 있다. 이와 함께 강렬한 극적 이미지를 통해 사회에 내재하는 폭력과 파괴성을 고발하고 인간의 심층세계를 표출하고자 한다. Bond의 주된 관심사는 폭력을 유발하는 권력구조의 모순 속에서 희생되는 개인들이 혼돈 된 삶의 파괴적 양상을 체험한 뒤, 자아인식 과정을 통해 초월적인 삶을 지향하게 되는 개인과 사회간의 변증법적 갈등이다. 개인과 사회의 대립은 특히 Lear에서 혁명과 반혁명의 역사를 배경으로 “폭력의 변증법(dialectics of violence)”의 구조 안에서 움직이는 인간의 모습을 통해 드러나며 이와 동시에 폭력의 악순환을 극복하고자 하는 idealist의 관점이 부각된다. 개인과 사회간의 갈등은 폭력의 장으로 변모한 현실세계와 사회적 압력으로 정신이상이 된 시인 Clare의 파멸 과정을 통해서 보다 심화된다. The Fool은 자신들의 이익에 상응하는 세계관을 강요하는 지배층과 시인 Clare 간의 긴장을 통해 산업사회의 모순을 고발한다. 이 작품은 폭력의 문제를 사회의 전체 구조와 연결시켜 본다는 점에서 작가의 현실 인식은 초기에 비해 심화된 반면, 이에 대한 적극적인 해결책을 모색하지는 못한다. Lear와 The Fool이 폭력에 바탕을 둔 사회체제의 변혁 가능성을 한 개인의 현실 인식 속에서 찾고 있다며, Restoration은 사회 구조적 모순이 낳은 계층간의 갈등을 정면으로 극화 시킴으로써 개인과 사회의 대립을 극복하려는 시도이다. 지배계층이 추구하는 이데올로기가 사회적 가치로 변하는 세계에서 Rose는 권력 구조의 모순을 인식하고, 자신을 자유로운 존재로 생각하는 Bob의 무지가 곧 그의 파멸 요인임을 깨닫는다. Rose는 고통스러운 체험을 통해 객관적 조건과 주관적인 의식의 변화가 병행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Bond의 극은 개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체제나 이데올로기가 그 자체로서 얼마나 무서운 폭력성을 띠고 있는가에 대한 고발의 의미를 지니며, 또한 폭력이 난무하는 현실에서 행동하지 않는 개인의 양심이란 결국 무슨 의미가 있는가에 대한 보다 철저한 자기 반성적 질문을 관객과 독자에게 던진다. 폭력의 문제가 날로 심각해져 가는 오늘날 이 문제와 정면으로 맞서 진지한 탐색을 계속한 그의 극은 피지배계층에게는 자아각성을 호소하고 지배계층에게는 사회의 위기를 경고함으로써 진정한 공동체로의 인류의 진로를 제시하려는 작가의 신념을 반영한다. 연극을 사회 개혁의 수단으로 정의한 Bond는 작품 속에서 사회적 위기의 원인을 심층적으로 분석, 폭로하면서도 작가의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인간 심리의 내면이나 서정성, 비극성을 아울러 표출하는데 이런 면이 그의 작품을 더욱 풍요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극의 주제 전개 및 전달을 위해 Bond의 극에 사용된 이미지와 다양한 극적 기법은 작품 속에 정치와 예술이라는 이중적 구조를 부각시킨다. 이는 폭력이라는 사회적 주제를 작가의 창의력과 감수성을 통하여 희곡이라는 창작 예술로 승화시킨 결과로 볼 수 있다. ; Edward Bond is one of the leading British dramatists with a strong political and social tendency since 1960. Conscious of the problem of violence as one of the most serious issues facing modern society since early in his dramatic career, Bond has concentrated on this issue in his plays. As the only dramatist with a political and social tendency to have lower working-class origins, Bond has combined his experiences of poverty and destitution with his dramatic imagination. This has enabled him to create a distinctive voice in the British theatre. Among today’s active British dramatics, Bond has been the most deeply influenced by Brecht. Bond’s “Rational Theatre”, which he views as the goal of modern dramatists, is a form of epic theatre. Through “Rational Theatre”, Bond has attempted to present a vision of a rational society in his are. In continuing the vein of Brecht’s epic drama, Bond has taken it a step further and developed its alienation effect into “Aggro-effect”. Unlike alienation effect, however, “Aggro-effect” attempts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from the audience. At the same time, Bond has tried to exploit the violence and destructiveness inherent in society and explore the consciousness of man through the use of intense dramatic imagery. The main interest in Bond’s plays lies in the dialectical discord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The individual, when faced with the limitation of circumstances, experiences the destructive aspect of a disorderly life, goes through a process of self-knowledge, and finally strives for a transcendental lif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is especially evident in Lear. It is revealed through the image of a man living within the structure of a “dialectics of violence” with a historical background of revolution and anti-revolution. At the same time, the standpoint of an “idealist” trying to overcome the vicious circle of violence is emphasized. The Fool shows a more intensified form of the conflict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in the failure of one of its characters, Clare, the poet to become a meaningful part of society. His failure can be ascribed, not so much to his personal weakness, as to the contradiction inherent in society. In this play, the structural weakness of capitalism is exposed through the tension between the ruling class, which imposes its self-interests and the poet, Clare. The Fool shows a more intensified vision than his earlier plays since Bond attributes the problem of violence to the overall structure of society. However, Bond fails to present an active solution to counter this violence. While Lear and The Fool show the possibility of a step by step transformation of the violence-based social step transformation of the violence-based social system in the social consciousness of an individual, Restoration attempts to surmount the conflict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by openly dramatizing the conflict between the classes produced by the socio-structural discrepancy. In a world where the ideology of the ruling class is a predominant social value, Rose realizes the paradox in the power structure and understands that Bob’s ignorance in thinking himself to be a free being works as his destruction factor. Through Rose’s painful experience, bo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a counter-violence against the established violence and the need for a transformation in the consciousness of man to positively reform the social structure. Bond defines art and especially the theatre as a means to achieving a change in society. Bond however, not only exposes and analyzes the cause of the violence in society to deliver a political message, but explores the consciousness and emotions of the individual, thereby further enriching his work. The various dramatic techniques and images used by Bond emphasize the double structure of politics and art in his work. This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combining the problem of violence with his dramatist-consciousness and outstanding artistic sensibility through the creative medium of dram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제1장 서론 ------------------------------------------------------------ 1 제2장 RATIONAL THEATRE ------------------------------------------------ 14 제3장 Lear ------------------------------------------------------------ 42 제4장 The Fool: Scenes of Bread and Love ------------------------------ 84 제5장 Restoration -----------------------------------------------------123 제6장 결론 ------------------------------------------------------------161 참고문헌 --------------------------------------------------------------167 영문초록 --------------------------------------------------------------1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731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Edward Bond의 희곡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