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경-
dc.creator이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6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2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5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90-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주체사상이 언제 어떤 상황에서 형성되었는가 하는 주체사상의 기원과 이 사상이 북한의 통치이념으로 확립되는 과정을 연구하려는 것이다. 주체사상은 북한이 처한 국내외 환경의 변화 속에서 탄생하여 현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 발전되어 왔다. 주체사상은 이같이 북한체제의 역사적 형성물로서 최근의 총체적 위기상황과 50여년간 큰 변화없이 독특한 체제를 유지해 온 북한을 이해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기존의 주체사상의 기원과 형성에 관한 연구들은 북한의 정권이 수립되기 이전 -1930년대 김일성이 만주에서 항일 무장투쟁을 하던 시기- 부터 존재해 왔다는 북한의 주장과 스탈린 사후 야기된 사회주의 권의 변화와 그에 대한 북한 내부의 권력 갈등이라는 외부적인 요인으로부터 비롯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 1930년대 기원설은 김일성의 우상화와 그의 유일 지도체제를 정당화시키기 위한 정치적인 필요에 의해 조작된 것으로 밝혀진다. 반면 이 주장은 김일성과 북한지도부의 정치적, 이념적 성향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북한정치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측면이라 할 것이다. 북한의 문헌을 검토하면 주체사상은 1950년대 국내외 상황에 대한 대응방식으로 제기된 것이기 분명하다. 그러나 그 저변에는 주변 강대국으로부터 내정간섭에서 자유를 확보하고자 하는 욕구가 깔려있으며 이같은 이념적 정향은 북한이 처한 역사적인 경험에서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주체사상이 일차적으로 완성되어 통치이념으로 확립되는 1960년대 후반까지 북한이 처했던 환경과 이에 대한 북한지도부의 관심과 대응방식은 물론 시기별로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 일제치하에서는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문제에 그리고 해방이후에는 사회주의 체제건설과 한반도 통일을 위해 소련·중국 등 주변 사회주의 강대국들로부터 지원을 확보하면서 대내적으로는 권력을 장악하고 대외적으로는 자주적인 관계를 설립하는 문제 등에 전념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문제들은 대외적 자주성이 보장된 주권국가의 건설이라는 목표를 지향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같은 북한의 역사적인 경험에서 김일성의 이념적인 요소가 주체사상으로 표출되는 과정을 추적하여 주체사상의 기원과 형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주체사상은 여러단계의 형성과정을 거쳐 오늘날에 이르렀으며 이 과정에서 그 성격은 크게 변화하였다. 오늘날의 주체사상은 지도자 김일성 -김정일의 유일지배체제를 합리화하는 이데올로기이지만 태동 초기의 주체사상은 대내적 자력갱생을 기초로 대외적 자주를 확보하고자 하는 북한의 사회주의 발전전략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주체사상은 소·중과의 관계에서 주체적 입장을 견지하고자 하는 대외정책이며 현실적으로 이들 양국간의 관계를 의존에서 대등한 관계로 전환을 시도하는 것이다. 주체사상의 태동시기는 이같은 관점에서 북한이 소·중 양국과 관계변화를 모색한 한국전 직후부터가 될 것이다. 한국전은 이전까지 소련에 의존하여 그들의 결정사항을 이행하던 북한이 처음으로 주도적인 입장에서 한국문제- 북한 주도아래 한반도 재통일 -를 처리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나 현실적인 측면에서 소련과 중국의 원조와 승인을 필요로 하였다. 이런 점에서 북한의 주도권은 제한적 일 수밖에 없었다. 더구나 전쟁도 북한의 예상과 달리 장기화, 국제화로 전개되어 북한은 주요 행위자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게 되었다. 소련은 전쟁의 총지휘권을 행사하면서도 이 전쟁에 개입됐다는 인상을 주지않기 위해 지원에 있어 매우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였고 중국은 군대파견 등 적극적인 지원으로 북한의 괴멸을 막는데 기여했지만 중국지원군의 작전통수권 장악과 이로 인한 내정간섭은 북한지도부와 갈등을 야기하게 하였다. 이같은 경험은 북한지도부에게 대국의 종속으로부터 벗어나 독립국가 건설의 필요성을 가속화시켰다. 이것은 김일성이 전쟁의 기간과 종전 후 시기 전과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연안파와 소련파를 대거 숙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숙청은 개인비리의 차원에서 행해졌지만 그들 배후세력인 소련과 중국과의 관계와 무관한 것이 아니었다. 이어 김일성은 전후 경제복구와 건설하는 과정에서 소련, 중국의 경험과 방식을 무비판적으로 모방하는 사대주의 태도를 지양하고 북한의 구체적인 실정에 맞는 방식으로 해야 한다는 주체선언을 하였다. 따라서 주체사상의 모태가 되는 주체선언은 이전 북한이 처했던 역사적인 경험 -일제의 식민통치, 외세에 의한 해방과 내정간섭-에서 형성된 독립과 자주를 향한 열망이 한국전을 계기로 표출된 결과이다. 이후 주체노선은 1950년대말 60년대중반에 이르는 대내외 상황을 배경으로 자력갱생과 자주성 확보를 위해 경제에서의 자립, 정치·외교에서의 자주, 국방에서의 자위정책으로 구체화되는 과정을 거쳐 통치이념, 주체사상으로 확립되었다. 자립, 자주 등을 핵심으로 하는 주체사상은 북한의 사회주의 발전전략으로서 외부의 내정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운 독립된 국가 건설에는 성공적이었으나 장기적인 발전측면에서는 비효율을 낳는 것이었다. 대외적인 자주성 확보를 위한 대내적인 자력갱생의 강조는 오늘날 북한의 경제 위기와 국제적인 고립 상황의 야기로 인한 체제붕괴론이 대두되는데 일조했다고 할 수 있다. ;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explore the origin of the chuch e (self-reliance) ideology and the process by which the ideology of chuch e had become the ruling ideology in North Korea. The chuch e ideology came from the response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anges and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 reality. Chuch e ideology thus reflects the historical situation of North Korea and the study of its origin and evolution is crucial in understanding why North Korea, which had survived for almost 50 years without a drastic change, began to collapse rapidly in recent years. There exist two prevailing arguments on the origin of chuch e ideology. According to the first argument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e chuch e ideology came into existence even before the North Kore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when Kim Il Sung fought the anti-Japanese guerrillas war in the 1930s. Although the argument reflects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inclinations of Kim Il Sung and the North Korean ruling elite and is useful to understand the political history of North Korea, it is criticized as an argument, even as a propaganda, to idolize Kim Il Sung, which was made up to legitimate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The other argument is that the chuch e ideology was formed by the external situation of the 1950s: the chuch e ideology resulted from the domestic power struggle as a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Communist powers since the death of Stalin. This argument is worth listening in that it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domestic response to external factors in the formation of chuch e ideology. However, it treated North Korean leading group as passive one constrained by external factors and did not catch their act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uch e ideology. My approach partly draws on earlier studies by accepting th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anges of the 1950s were very important and that the chuch e ideology originated in the period. But this study differentiates from others in that it emphasizes that North Korean leaders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formation of chuch e ideology by independently responding to external impacts. If we ignore the active role of domestic group in explaining the formation of an ideology, there should be a homogenization tendency of ruling ideologies in the countries with similar external experiences. However, each country s ruling ideology tends to differ from each other, and therefore the emphasis of domestic group s active reaction to external changes is important to explain the uniqueness of North Korean chuch e ideology. In particular, by focusing on the efforts of North Korean leading group to tackle external pressure in the process that Kim Il Sung s ideological inclinations transformed into the chuch e ideology, this study seeks to explain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huch e ideology in a new perspective. The chuch e ideology has been changed several times in its characteristic, and now functions as the mechanism to rationalize the unique ruling system of Kim Il Sung and Kim Jong Il. The origination of chuch e ideology is the Korean War, which made North Korea aware of the necessity to change the relationship with the Soviet Union and China. The Korean War first provided North Korea with the initiativ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since the support and approval from the Soviet Union and China was inevitable during the war, the initiative of North Korea could not but be limited. Furthermore, North Korean leaders began to lose their authority as a main actor, as the war became prolonged and widened. The Soviet Union took a passive stance not to give an impression to support the war, while sustaining the supreme commanding right. China played an important role to prevent the defeat of North Korea by actively involving in the war, but its seizure of the commanding right of Chinese soldiers and interference in North Korean domestic matters gave rise to tension with North Korean leaders. This experience at the Korean War made North Korean leaders recognize the necessity of the independence of the communist powers. The necessity was manifested in the evaluation of war-results, and resulted in the purge of the Chinese faction (Yenan-Koreans) and the Soviet faction (Soviet-Koreans). Although the purge was done under the name of personal corruption, it had to do with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oviet Union and China as supporters behind the scene. According to Kim Il Sung s Chuch e declaration, Sadaejuii(flunkeyism) which adapts the experience of China and the Soviet Union without a criticism needs to be rejected, and the unique system that fits their specific situation should be founded. The chuch e declaration as a foundation of chuch e ideology was an expression of the desire for political independence, which had been formed by the North Korea s historical experience such as Japanese colonialism,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not achieved by themselves but given by the external powers ac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interference in domestic matters. Later the basic idea of the Chuch e declaration became the ruling ideology, i.e., the chuch e ideology, and specified as the idea of Charip (self-sustenance) in economic area, the idea of Chaju (independence) in political and diplomatic matters, and the idea of Chawi (self-defense) in military affairs. In the process of chuch e ideology formation, North Korean leaders concerns with and responses to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have been varied over time. However, those various responses have in common the pursuit of the foundation of an independent sovereign state. The chuch e ideology as a communist development strategy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of an independent state free from external interference. On the other hand, it failed to achieve an economic efficiency that is more necessary for the long-term development of the country. The emphasis on the self-reliance to achieve political independence of the external pressure is thus a primary reason for the collap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by causing the current economic crisis and the diplomatic isol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ⅲ 제 1 장. 序 論 --------------------------------------------------- 1 제 1절. 기존 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 1 제 2절. 연구범위와 논문의 구성 ------------------------------------ 9 제 2 장. 북한정권 성립이전 주체사상의 기원에 관한 문제(1930-45) ----- 14 제 1절.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15 제 2절. 1930년대 기원설에 대한 평가 ------------------------------ 24 제 3 장. 北韓政權수립: 대소 종속적 체제형성(1945-48)----------------- 36 제 1절. 蘇聯의 對北韓 政策 ---------------------------------------- 40 1. 초기 점령정책 (1945-1946. 2) --------------------------------- 40 2. 모스크바 3대국외상회의 이후의 변화---------------------------- 53 제 2절. 북한정권 수립과 대외관계 ---------------------------------- 58 제 4 장. 韓國戰과 主體思想의 형성(1948-53) -------------------------- 86 제 1절. 韓國戰의 준비과정: 김일성의 독자성 추구 ------------------- 89 1. 대내적인 기반 ------------------------------------------------ 89 2. 中·蘇 와의 협력강화 ------------------------------------------109 제 2절. 韓國戰의 전개과정: 김일성의 주도권 상실 -------------------118 1. 소련의 개입과 이중적 정책-------------------------------------119 2. 중국의 참전 --------------------------------------------------124 제 5 장. 韓國戰이 주체사상에 끼친 영향 (1953-55)---------------------138 제 1절. 대내적인 측면: 북한식 사회주의 체제건설--------------------142 1. 김일성의 권력강화---------------------------------------------142 2. 사회주의적 경제구조 개조 -------------------------------------150 제 2절. 대외적인 측면: 북한의 對外依存關係 탈피시도 ---------------158 제 6 장. 初期 主體思想의 定立 (1955-67)------------------------------167 제 1절. 사상에서의 주체선언 ---------------------------------------167 제 2절. 주체노선의 정책화------------------------------------------186 1. 경제에서의 자립.----------------------------------------------187 2. 정치에서의 자주.----------------------------------------------197 3. 국방에서의 자위.----------------------------------------------202 4. 외교에서의 자주.----------------------------------------------210 제 3절. 주체사상의 확립 및 유일사상화 -----------------------------218 제 7 장. 結 論 -----------------------------------------------------227 참고문헌 ------------------------------------------------------------235 영문초록 ------------------------------------------------------------2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4285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주체사상의 기원과 초기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치외교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