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옥희-
dc.creator이옥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3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6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46-
dc.description.abstract本 硏究는 都市間에 형성되는 諸 속성들의 相互依存的 관계가 物資와 情報흐름, 人口의 移動 등을 통한 相互作用으로 나타난다는 槪念的 틀을 바탕으로 하여, 60년대 이래 급속한 經濟的·社會的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韓國都市體系의 構造的 특성과 그 變化過程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國土空間組織을 형성하는 構造的 바탕을 都市間 交通體系로 보고 旅客버스路線網(network)과 旅客버스運行回數(flows)를 분석하였다. 本 硏究에서는 都市體系의 構造的 패턴의 變遷過程을 밝히기 위하여 첫째, 都市體系를 형성하는 相互作用槪念의 의미를 검토하고 주요 硏究傾向을 살펴보았다. 둘째, 60년대 이후 旅客버스路線網의 空間的 擴張과 都市成長 間의 관련성을 地圖化를 통해 분석하였다. 셋째, 都市間 旅客버스運行回數를 指標로 總流動量 分析(gross flows analysis)을 통해 패턴의 變遷過程을 살펴보고 優位流動量 分析(dominant flows analysis)에 의해 都市間 相互連繫構造를 밝힘으로써 都市體系의 構造的 특성과 그 변천과정을 確認하였다. 넷째는, 都市體系를 형성하는 相互作用과 관련된 요소들을 動力模型에 의해 評價하여 旅客버스유동의 模型化 가능성 與否를 확인하는 한편, 殘差分析을 통하여 都市間 連繫의 공간적 差異를 설명하였다. 分析 결과 韓國都市體系의 구조적 變遷過程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前産業期였던 60년대 초에는 一次産業의 비중이 높아 사람의 移動(movemet)이 크게 要求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交通施設이 미비했던 까닭에 都市間 旅客버스流動은 거리의 隣接性이나 行政區域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旅客버스路線은 일부 人口稠密地域에 局地的으로 발달한 單一路線 中心의 버스路線網을 이루었으며, 都市間 相互連繫體系는 行政中心地를 근간으로 하는 地域水準(道單位)의 독자적인 작은 影響圈을 형성하였다. 그 결과 上位 階層都市間 기능적 連繫體系가 발달하지 못함으로써 地域間 隔節性이 매우 컸다. 그러나 60년대 중반 이후에는 産業化 정책과 交通網 확충으로 臨海工業地域(동남임해공업단지)과 資源開發地域에 버스路線이 확장되는 한편 大都市 중심의 産業化 정책의 영향으로 버스路線網이 大都市 중심의 道路網 체제로 서서히 變化하였다. 産業化의 추진으로 經濟가 급성장하고 高速道路가 본격적으로 개통된 70년대에 들어서 國土空間은 구조적 변화를 겪게 되었다. 기존 大都市 중심의 産業化 政策과 幹線道路의 고속화로 전국이 統合된 連繫網을 갖추게 되자 버스유동의 서울집중으로 宗主化 현상이 심화되고 京釜軸 上 주요 都市間의 연계가 강화되는 機能偏重現象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전반적으로 國家水準에서 都市體系의 통합을 가져 온 반면, 지방 中·小都市圈이 지역 中心都市와 宗主都市에 흡수되어 下位 都市體系의 불안정과 취약성을 惹起함으로써 地域不均衡의 원인이 된 것으로 評價되었다. 大都市 위주로 進行된 급속한 産業化 過程에서 파생된 地域隔差를 해소하기 위하여 70년대 후반부터 다각적인 地域均衡開發政策이 시행되었고 그 일환으로 支線道路網도 크게 확장되었다. 그 결과 80년대 들어서 地方 主要都市의 성장율이 大都市 人口增加率을 상회하여 서울집중이 緩和되는 현상을 보였다. 가장 뚜렷한 특색은 地域經濟基盤이 빈약한 湖南地域이 수도권을 指向함에 따른 서울 및 首都圈 都市들과 湖南軸 中心都市間의 連繫强化와, 지난 20년간 工業化로 확고한 産業基盤을 구축한 釜山을 중심으로 한 嶺南圈의 독자적인 下位 都市體系구조 형성이다. 本 硏究를 통하여 볼 때, 지난 25년간 급속한 都市化 및 産業化 過程에서 韓國都市間 相互作用體系의 구조는 政府의 地域開發政策과 고속도로의 발달에 크게 영향을 받다, 60년대 지역수준의 部分體系에서 70년대 宗主都市 지배하의 統合된 體系를 거쳐 80년대 國土空間의 차원에서 兩極體制로 分化된 것으로 確認되었다. 한편, 旅客버스運行回數를 都市間 相互作用力으로 보고 動力模型에 의해 旅客버스流動(運行回數)의 模型化 여부를 分析한 결과 都市間 距離, 人口規模, 行政區域 및 고속도로의 4變數에 의해 總 變量의 1/2 정도가 설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都市體系를 형성하는 相互作用에 관련되는 이 要素들을 評價한 결과, 60년대 初에는 都市間 距離가, 70년대에는 고속도로의 連結與否가, 80년대에는 버스流動이 발생하는 兩 都市의 人口規模가 都市間 相互作用에 가장 큰 變數임이 確認되었다. 비록 이 硏究는 都市體系의 空間構造的 변화를 버스路線網과 旅客運行回數에 의해 분석한 結果이지만 앞으로 이들 都市體系 形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屬性들에 대한 보다 多角的이며 綜合的인 硏究가 진행될 때 韓國都市體系에 대한 理解의 폭이 넓어지리라고 믿는다. ;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spatial structural patterns and processes of urban system in Korea. It is based on conceptual framework reflected in the interdependent relations among various attributes of cities by the changes of the flows and expansion of networks in bus transportation. In this context, the analysis focused on the networks and traffic flows of passenger bus service as an indicator of measuring urban system evolution. In order to clarify the transformation of the structure of urban system patterns, the following four aspects are analyzed. 1)The study has the broad theoretical background, reviewed the conception and major trends of urban system and interaction research fields. 2)It concentrated on identify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expansion of networks and urban growth. 3)It looked into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urban system and its spatial proces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and dominant flows inter-city passenger bus. 4)Finally, it tried to evaluate whether the gravity interaction model based on the elements of the passenger bus flows and other variables could be preditable the change of urban system in general. As a result of its research over the period between 1961-1985, spatial structural pattern of urban system can be concluded as follows. In early 1960s, pre-industrialization period, bus lines were developed locally in densely populated area. Thus inter-cities linkage system confined to the provincial administrative boundary created relationly influencial circle on regional level, which consequently brought about regional isolation due to less development of functional interaction system between higher rank cities outside the boundary. Since mid-1960s, with together the industrialization policy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networks, the bus lines have been extended to both industrial and resource development regions. Consequently, under the influence of rapid industrialization, networks of bus lines have been multiplied toward major large metropolises. In 1970s, the opening of major highways along the axis of Kungbu express way brought on the change in a way in which the integrated network pattern of urban system was established across the country. Thus primate characteristic of bus flows centering on Seoul Metro has developed. In general, the opening of highways have brought forth the integration of urban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Based on the observation of spatial change in networks as its analysis, the study can be concluded that the rapid integration of the national urban system and the creation of primate characteristic on the hierarchy seem to the instability and vulnerability of suburban system. Also this consequence suggest us that the regional unequal development has been progressed as lower level of small-medium cities. Since early 1980s, the growth rate of major local cities gas predominated over the population growth rate of Seoul, which led to easing concentration on Seoul Metro area. The sort of new trend might be partially related to the expansion of branch lines of road networks.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road networks is becoming the increase of the linking with Honam axis leading to metropolitan area, while on the other hand, the emergence of subsystem centered to Pusan, based on the sound industrial basises for the past 20 years, has played major role for functional subdivision of the region. In this process, it is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of spatial interaction system might accelerated to develop into bipolar system in 1980s. Although the spatial structural process of urban system can be identified by the analysis on networks of bus service and traffic flows of passenger bus service, there is still many contraints to full understanding of the transformation of urban system. Further questions on it may bring better answers for what cause the current urban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Ⅰ. 序論 -------------------------------------------------------------- 1 A. 硏究目的 ---------------------------------------------------------- 1 B. 硏究方法 ---------------------------------------------------------- 3 1. 硏究의 展開方向 -------------------------------------------------- 3 2. 硏究資料와 分析方法 ---------------------------------------------- 5 Ⅱ. 理論的 背景 및 硏究動向 ------------------------------------------- 15 A. 理論的 背景 ------------------------------------------------------- 15 1. 體系理論과 都市體系 ---------------------------------------------- 15 2. 相互依存과 相互作用槪念 ------------------------------------------ 20 3. 動力模型과 그 應用 ----------------------------------------------- 25 B. 硏究動向 ---------------------------------------------------------- 27 1. 國外硏究 --------------------------------------------------------- 27 2. 國內硏究 --------------------------------------------------------- 35 Ⅲ. 都市體系와 道路交通의 發達 ---------------------------------------- 39 A. 都市體系의 形成 --------------------------------------------------- 39 B. 道路交通의 發達과 都市成長 ---------------------------------------- 48 1. 道路交通의 發達 -------------------------------------------------- 49 2. 버스路線網의 擴張과 都市成長 ------------------------------------- 57 Ⅳ. 旅客버스 流動패턴과 空間構造 -------------------------------------- 75 A. 旅客버스 流動패턴의 變遷 ------------------------------------------ 76 1. 1961년의 패턴 ---------------------------------------------------- 76 2. 1970년대의 패턴 -------------------------------------------------- 83 3. 1980년대의 패턴 -------------------------------------------------- 89 B. 旅客버스 流動에 의한 空間構造 ------------------------------------- 95 1. 버스 流動量에 의한 階層構造 -------------------------------------- 96 2. 都市間 相互連繫構造 ----------------------------------------------105 C. 相互作用要所와 旅客流動模型 ---------------------------------------115 1. 旅客流動模型 -----------------------------------------------------116 2. 相互作用要所의 分析 ----------------------------------------------118 3. 殘差의 比較分析 --------------------------------------------------125 Ⅴ. 結論 --------------------------------------------------------------131 參考文獻 --------------------------------------------------------------134 英文抄錄 --------------------------------------------------------------1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706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의 도시체계와 여객버스유동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