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차성란-
dc.creator차성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1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8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94-
dc.description.abstractThe near environmental resources have been viewed as very important in the modern society. The resources that families can use for satisfying the emotional and physical needs are very restrictive. The level of public facilities and services helping the home production activities is low. Moreover, s the rate of employed housewives increases and husbands get interested in the work, dutiesof the housewife as a productor of home goods get heavier and heavier. Performing home production activities effectively in such an environmental resources are utilized for the home production activiti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Beutler, Owen and Hefferan’s production and consumption model. The theory of the social interaction and the theory of the resources exchange network are applied to the study. This study gathers empirical data on 729 housewives in Seoul through interviews. Used methods of the analysis are frequency,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regressionanalysis, cross-tabulation and cluster analysis. The findings o 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usewives have generally negative substitutiblity attitude toward the home production activities.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substitutiblity attitude toward the home production activities and those of the home production activities using the near environmental resources are positive. Thus, home production activities usiing the near environmental resources are performed more frequently when goods cannot be substituted for market products. Second, home production activities with neighbors are influenced by the housewives’ physical health, similarity to the neighbors, and distance with the adult sisters’ and brothers’ home. In the case of home production activities with adult children, family life-cycle, number of family members, residential duration, distance to the step ?parents’ home, and the population mobility rate in the district were influenced variables. Home Production mobility rate in the district were influential variables. Home Production activities with the step-parent are affected by the number of family member, family life-cycle, housewives’ education level, husband’s birth order among the brothers, distance with the step-parents home, distance with te husband’s brothers home, distance with the sisters home, and level of functionality of the step- parents,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home production activities with housewives’ parents are family life-cycle, housewives’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of the housewives, housewives’s physical health, housewives’ birth order among the sisters, distance to housewives’ parents. Home production activities with adult sisters are influenced by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housewives’s birth order among sisters, distance to parents, distance to housewives’ adult sisters, and distnce to husband ‘s adult sisters. Home production activities utilizing facilities in the near environment are influenced by family life-cycle, housewives’ birth order among adult sister, high- rise apartment, housing tenure, level of facilities in the near environment, and population density, Production activities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the organizations are influenced by family life-cycle, housing tenure, level of facilities in the near environment, and similiarity to neighbors. Third, five cluster are identified in cluster analysis. Cluster 1 is ‘dispersion type’ and is characterized by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stage in the family life cycle, low level of education, low level of income, and single detachted house. Cluster 2 is named ‘dependent on the adult sisters’ and is similar to cluster 1, but popular among the families with high level of income and living in apartmnet. Cluster 3 si ‘exclusively dependent on the parents’. That is found in newly married stage and pre school age stage in the family life cycle, husband’s high status of the occupatioon, housewives with full time job, high level of income, and first order among the adult sisters. Cluster 4 is ‘expanding to the organizational activity participation’. It is found in the elementary school stage abd high school stage in the family life cycle, low level of education and low level of income. ‘Neighborhood dependent’ type is cluster 5. It is characterized by elementary school strage and high school stage in the family life cycle, husband’s high status of occupation and full-time housewives. Lastly, ‘dependent on step parents’ is often found in newly married and pre school stage in the family life cycle, high level of educatioon, high level of income, housewives with full-time job, housewives in first order among adult sisters and husbands in first adult brothers. These results imply that kinship around housewives ‘ parents is very important to home production activities. And near environmental resources have many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families without supportive environmental resources. Finally, I can conclude that home production activities using the near environmental resources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family functioning and to the well-being of the family. ; 현대사회에서 근접환경자원에 대한 인식은 가정의 기능유지라는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하다. 가족형태의 변화로 가족이 구성원들의 정서적, 신체적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은 매우 제한적이며 이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사회복지 시설이나 서비스 수준은 아직 낮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주부취업률이 증가하고 남편은 직업노동에만 전념하므로써 가정생산자로서의 주부의 책임은 더욱 과중해지고 있다. 이러한 모든 상황으로 인해 가정 생산 할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근접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당면한 과제이다. 가정생산활동은 가족의 요구와 자원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본 연구는 근접환경자원에 대한 가족들의 요구를 조사하고 근접환경자원을 가정생산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생산활동 유형을 파악하므로써 근접환경자원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 논문은 Beutler, Owen과 Hefferan의 생산 및 소비의 투입 산출 모형을 이론적 기초로 하였으며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이 수행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신가정경제학의 사회학적 상호이론, 사회학의 자원교환 관계망이론을 적용시켰다. 경험적 분석을 위해 본 논문은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서울시에 거주하는 주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므로 총 729부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 백분율, 분산분석, 적률상관계수, 분할표분석, 집략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주부들의 가정생산활동에 대한 분리 가능성의식은 낮은 편이며 가정생산활동은 분리가 어려울 때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이 이를 대신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기능은 기혼자녀, 시가, 친정과의 가정생산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경제적 자원보다 건강과 같은 개인체계의 인적자원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접환경 중 친정을 중심으로 한 관계망이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 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친정과의 가정생산활동은 어떤 유형의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보다 선호되었으며 친형제자매는 친정과의 가정생산활동을 연결시켜주므로 가정생산을 위한 자원이동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 을 하고 있었다. 중요한 잠재적 자원교환관계망인 친족 관계망 중에서도 어떤 가정에게 이미 주어져 있는 친족관계망의 형태와 친족관계망에서의 위치가 중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주부와 남편의 형제서열이 높은 경우 , 시가, 친정, 그리고 형제자매와의 지리적인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만 이들과의 가정생산활동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근접환경의 시설, 근접환경의 동질성과 같은 조건들이 근접환경 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는 도시계획에서 관심을 갖는 주민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 뿐만 아니라 가정생산활동 역시 근접환경의 물리적 조건에 영향을 받을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유형은 ‘분산형’, 형제자매의존형’, ‘전전인 친정의존형’. ‘공사조직확산형’.,’근린의존형’,’시가 의존형’ 등이 있다. 이들 유형은 가정생산에 대한 요구와 이를 충족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근접환경자원이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즉 가정생활주기에 따라 변화되는 자녀양육의 과업, 주부취업여부 등이 가정생산활동에 대한 요구의 차이를 낳게 되며, 학력 및 소득, 그리고 주부 또는 남편의 형제서열 등에 영향을 받는 이용 가능한 자원의 차이에 따라 특정한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유형이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가정생산활동에 투입할 수 있는 근접환경자원은 친척과의 인접성, 부모의 기능수준과 같이 상당부분이 이미 주어져 있는 조건에 의해 결정되고 있어 이 부분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방향으로의 근접환경자원 개발이 요구되다 하겠다. 이상에서 얻은 연구 결과들은 자원개발의 측면에서 가정생산활동관리, 사회복지정책 수립, 도시주거 계획 부문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가정체계가 지닌 자원 뿐만 아니라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활동 역시 가정의 기능유지를 위해 요구와 자원을 효율적으로 결합시키는 가정생산활동이라는 것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으며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효율적이고 융통성있는 가정생산활동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대안적 자원으로서 근접환경자원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 정책적인 면에서는 가정생사활동을 위한 중요한 잠재적 자원망인 친족관계망이 기능하지 못하는 집단, 그리고 특히 자녀 양육기에 있는 집단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서비스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도 있다. 또한 법적, 행정적인 정책수립 시 주부 노동의 가치를 평가하는 경우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까지도 포함시켜 산정해야 할 것이라는 점을 간접적으로 밝혀주었다. 도시계획적인 면에서는 근접환경의 물리적 조건이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화동을 촉진시키므로써 가정의 기능유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 입증되었다. 앞으로도 조사도구를 표준화시키며, 저소득층 가정, 핵가족 이외의 다양한 가족 형태등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연구를 계속하므로써 가정생산활동 모형을 이론적으로 발전시킬 것이 요구된다. 이와같은 노력을 통해 주부노동의 가치가 보다 객관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확고한 기초를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7 Ⅱ. 근접환경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 연구의 이론적 틀 ------------------ 9 A. 근접환경 및 근접환경자원 ----------------------------------------- 9 1. 근접환경 및 근접환경자원 ---------------------------------------- 9 2. 근접환경의 가정생산활동 지지 기능 ------------------------------- 13 B.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의 이론적 기초모형 ------------- 17 1.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에 대한 접근법 ---------------- 17 2.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의 이론적 기초모형 ------------ 22 C.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에 대한 접근법 ----------------- 30 1. 신가정경제학적 접근 --------------------------------------------- 30 2. 자원교환적 접근 ------------------------------------------------- 33 D.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40 1. 가족 특성 ------------------------------------------------------- 41 2. 근접환경특성 ---------------------------------------------------- 47 Ⅲ.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을 위한 연구방법 --------------- 52 A. 연구문제의 설정 -------------------------------------------------- 52 B. 조사도구 --------------------------------------------------------- 55 C.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유형별 가족특성 및 근접환경특성 ------------------------------------------------------------------116 Ⅳ. 요약 및 결론 -----------------------------------------------------129 참고문헌 -------------------------------------------------------------137 부록 -----------------------------------------------------------------149 영문초록 -------------------------------------------------------------1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332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도시주부의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