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은경-
dc.creator정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2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271-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예술은 특수성을 띠는 교육이 아닌 보편성을 가진 문화교육으로서 예술교육의 의미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다. 현대 사회의 교육은 감성과 창의성을 중시하는 교육으로 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예술이 선택교육이 아닌 필수의 교육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조기 예술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유아예술교육의 체계적인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도 정도를 조사하여 이에 따른 문제점을 지적하고 예술교육으로서 유치원 무용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초를 확립하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한다. 이를 위해 전국 유치원 교사 강습회에 참여한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설문지는 유치원 무용교육과 관련된 문헌 및 이현주(2003), 류제련(2004), 박아영(2004)등의 설문지 문항을 기초로 하여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 문항은 인구 통계학적특성, 무용교육에 대한 인식도에 따른 무용교육의 필요성, 교육목표, 교육내용 및 방법인식, 운영인식, 환경인식, 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인식을 조사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따른 교육내용, 방법, 운영, 환경, 발전요구 문항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라 무용교육의 목표 및 내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교육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나 실제 유치원에서의 무용교육은 시행되지 않거나 비정기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유치원에서 무용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유치원 교육과정 안에 무용교육의 목표와 과정을 제시하여 초등교육과 연계성 있는 무용교육이 시행되어져야 한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의 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예술적, 미적, 문화적인 목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무용교육의 내용과 방법, 수업 운영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무용교육이 일반화되어야 한다. 셋째, 연령, 교사경력, 무용경험의 유무에 따라 무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유아교육을 시작하는 교사들의 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한다. 따라서 무용의 교육매체, 강습회, 세미나를 통하여 무용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무용지식과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한다. 넷째, 무용교육을 위한 시설을 재설비하고, 체계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하여 무용교육의 환경과 방법을 개선하여야 한다. 또한 운영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무용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기관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앞으로 우리나라 유치원 무용교육은 예술교육으로서 미적․문화적․예술적 목표를 토대로 새로운 목표를 구축하여야 하며, 무용교육을 통한 유아의 창의력 발달, 감각능력발달, 전인교육을 지향하기 위한 목표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따른 교육의 내용은 창작, 공연, 감상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함으로써 유치원 무용교육의 보편화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무용교육을 운영함에 있어서는 전문적인 무용교사를 통해 수업의 효율성을 높여야 하며, 교육환경에 있어서는 무용이 신체를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하는 교육이기 때문에 넓은 교육장의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원장과 교사들의 무용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효과적으로 무용 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유치원 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is being enlarged as art is cultural education that does not possess particularity but have universality, as a result of which educational change is necessary. As modern social education puts emphasis on sensitivity and creativity and, therefore, understanding of art education is heightened, art is taking its place not as selective education but as required education. In particular, a systematic method for infant art education is being required now that the importance of early art education arises. Henc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xtent of teachers’ understanding on art education, point out the resulting problems, and establish a basis to stimulate methods for kindergarten art education. For that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00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nationwide kindergarten teacher workshop, and the questionnaire has been execu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lated to kindergarten art education, the questionnaire items of Hyun-Ju Lee (2003), Je-Ryun Ru (2004), and Ar-Young Park (2004). The completed questionnaire items examine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necessity of art education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of dancing education,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 understanding, management understanding, environmental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dancing education as art education, conducted frequency study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educational managem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 request as a result of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and conducted cross tabulation to appreciate understandings of dancing education’s objective sand contents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obtained results through the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of dancing education is positive, but in reality dancing education at kindergartens is not carried out or carried out irregularly. Dancing education’s objectives and curriculum should be suggested within kindergarten’s curriculum in order to stimulate dancing education at kindergartens and, therefore, dancing education as related to elementary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Second, understanding of dancing education’s artistic, aesthetic, and cultural objectives should be heightened as art education, and dancing education should be generalized based upon the positive understandings of dancing education’s contents and methods, and class management. Third, there existed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dancing education depending on age, teacher’s career,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ncing experience.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understanding of dancing education for teachers who start infant education should be heightened. Accordingly, understanding of dancing education should be heightened through the educational media, workshops, and seminars of dancing, and knowledge and technique of dancing should be heightened. Fourth, facilities for dancing education should be reestablished, and the environment and method of dancing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by developing and spreading various programs.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institutions and supporting mechanism that can educate specialized human resources in order to improve management problems. Considering the results, our country’s kindergarten dancing education should construct a new objective based on aesthetic, cultural, and artistic objectives as art education, and a change of objectives is necessary in order to move towards infant’s creativity development, sensi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rough dancing education. The consequent educational contents should move towards the universality of kindergarten dancing education by developing and spread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creation,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Further, in managing dancing education the efficiency of classes should be heightened through specialized dancing teachers, and as for educational environment providing wide educational spaces are the most urgent problem as dancing education requires a space to move bodies. kindergarten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therefore, to effectively carry out dancing education based on understanding of principals and teachers on the importance of dancing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Ⅰ.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무용교육 = 5 1. 무용교육의 개념 및 목표 = 5 2. 무용교육의 가치 = 9 B. 유치원 교육과정 = 13 1. 제 6차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 = 13 2. 유치원 무용교육의 목표 및 내용 = 20 C. 유치원 무용교사의 역할 및 지도방법 = 24 Ⅲ. 연구방법 = 28 A. 연구대상 = 28 B. 연구도구 = 29 C. 연구절차 = 31 D. 자료처리 = 31 Ⅳ. 연구결과 = 33 A. 현행 유치원 무용교육의 인식정도 = 33 B. 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에 대한 인식정도 = 39 C.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용교육의 목표 및 내용의 인식정도 = 45 D. 무용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의 인식정도 = 52 Ⅴ. 결론 및 제언 = 59 참고문헌 = 63 부록 = 68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04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체육학부 무용학과-
dc.title무용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Research on Recognition of Dance Education for kindergarten Teacher-
dc.creator.othernameChung, Eun-Kyung-
dc.format.pagev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