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연-
dc.creator이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2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269-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studied the Christian congregation's value awareness of the dance worship, finding out the current state of dance worship which increasingly expands its role in the church events, and the people's awareness toward this service. And the value of dance worship and the right path of it were explored in order to encourage the wider adoption and a sound progress of dance worship, eventually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For this, a poll involved 300 people in 7 churches which leads the dance worship was performed.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about the Bible or the Christian service and the previous studies, pretesting the appropriateness and adoption possibi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examining were added, and the questionnaire was adjusted on all the working.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0.0. The result was expressed by frequency distribution, Cronbach's α coefficient and the factor loading. As a result, research for the awareness of dance worship reported as follows: First, most people positively accepted the dance worship, felt the need and wanted it to be used more actively, more than revealed in the previous study 『The Research on The Cognitive Degree of Believers Towards Worship Dance』(Pyeon, Hyun-Jung 1994). It is because now the dance worship has spread and activated more since the previous study, so there are more experiences of dance worship. And the dance worship accepted as a praise of God like the choir's singing, and mostly it has been performed more as a church event than a Christian service. Second, the dance worship could be an enough motivation of the gospel preaching or missionary work. It could be an effective and indirect missionary media, for the people thought that the dance worship could deliver the gospel to make people experience the God's existence. And also they were aware of the dance worship' meaning of holy living sacrifice, thus they admitted that dance worship could be an adequate religious service. Third, in spiritual and healing aspect, the dance worship could fill people's mind with joy and peace beyond impression, and could give a spiritual impression to experience the spiritual and physical accordance, maturing the belief, giving the community spiritual insight and inspiration. Also because the stimulated imagination could enhance the aesthetic sense and further sensibility, the dance worship observed to give the holy spirit's consolation and encouragement, freeing the sensibility and liberating the suppressed holy spirit, making the people meet the God more deeply. Fourth, in cultural and artistic aspect, dance worship was recognized to strengthen the church community's communication, to vitalize the service community, and conceived as visually, auditorily and space conceptually a well furnished Christian art for the God's praising. And dance worship could be enjoyed as an art performance to give public a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could be extended even to the popular culture, so it was recognized as being able to contribute to a Christian culture spread. Fifth, in analysis of categorized dance worship value awareness,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from each church, individual's having or not having the experience of dance worship, and each church's having or not having the experience. In short, whether they experienced dance worship or not hugely influences on the value awareness of dance worship. Sixth, exploring the right path for dance worship revealed the most appropriate dance for service would be the worship dance followed by ballet and modern dance. The congregation hoped that dance worship would be lead at every church events, or be lead after or before the services as a part of the service. And the desired contents were worship, praising, the God's message and about Jesus, revealing the preference of gospel contents. A good number of congregation wanted to join worshipping through the dance worship. The obstacles observed to include the lack of awareness and the lack of specialized artists. To sum up, most Christian people recognized the dance worship positively and showed a substantial interest. Dance worship could be a missionary tool, providing spiritual healing, even having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 for the public. For the proper development of dance worship, the support of the church is needed, diversified performance should be adopted to raise the awareness and should have the contents based on Christian belief. Any validity of dance worship on the ground of the Bible, however, was not fully recognized yet. So the theological meaning and concept establishment are required. And through developing various dance worship program, wider spread of dance worship should be encouraged and more experiences of dance worship should be offered.; 본 논문은 현재 한국 기독교인들의 예배 무용에 대한 가치 인식을 실질적으로 연구하여 교회 행사 수단으로서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예배 무용의 현황과 신도들의 인식 변화 정도, 그리고 예배 무용이 지니는 가치 및 발전 방향을 알아봄으로써 예배 무용의 폭넓은 수용과 함께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대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교회 중 예배 무용을 드리고 있는 교회 7곳에서 설문조사가 가능했던 교인들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 작성은 성서와 예배와 관련된 문헌, 무용과 관련된 문헌을 기초로 하여 선행 설문지 연구자들의 방법을 참고 하여 작성하였고, 예비 검사를 통해 설문 내용의 적합성과 적용 가능성을 검토 한 후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수정하여 본 조사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0.0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 결과는 빈도 분포, Cronbach's α계수, 요인적재량(factor loading)으로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절차를 통해 예배 무용의 가치에 대한 인식도 조사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예배 무용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선행 연구『기독교 무용 예배 활성화를 위한 신도들의 인식도 조사』(1994, 변현정)에 비하여 대다수의 신도들이 예배 무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필요하다 느끼고 활성화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선행 연구가 이루어진 시기에 비해 예배 무용이 많이 보급되고 활성화 되어 신도들이 예배 무용을 보다 많이 접한 데서 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예배 무용은 대부분 교회의 행사 차원에서 이루어지며 예배의 의미보다는 성가대와 같은 찬양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음ㆍ선교적 측면에서 예배 무용은 거룩한 산제사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 예배로서 드려지기에 충분하고, 이를 통해 복음이 선포됨으로써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경험할 수 있다고 인식되고 있었으며, 일반인들에게 간접적으로 선교 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달 매체로 이를 접해보지 못한 사람들에게 전해주고자 하는 동기 부여가 되기에 충분하다고 나타났다. 셋째, 영성ㆍ치유적 측면에서 예배 무용은 이를 경험하는 사람에게 감동을 넘어서 마음에 기쁨과 평안이 충만하게 하고, 영혼에 감동을 주어 영과 육의 감정 일치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신앙적으로 성숙하게 하며, 공동체에 영적으로 깊은 통찰력과 영감을 준다고 인식되고 있었다. 또한 예배 무용을 통해 성령의 위로와 격려를 경험함으로써 하나님을 더 깊이 만날 수 있고, 상상력 자극을 통한 심미안 향상과 정서 함양이 가능하기에 정서를 자유롭게 하며 억압된 심령이 해방되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고 나타났다. 넷째, 문화ㆍ예술적 측면에서 예배 무용은 교회 공동체 커뮤니케이션이 강화되게 함으로써 예배 공동체에 활력을 줄 수 있으며, 하나님을 찬양하는 방법의 하나로 시각적, 청각적, 공간적 차원의 요소를 고루 갖춘 기독교 예술이라고 인식되고 있었다. 또한 일반 대중들에게 있어서 예배 무용은 공연 예술 작품으로써 감상이 가능하여 문화ㆍ예술의 경험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에 대중 문화로 까지 그 범위가 확장가능하며, 이를 통해 기독교 문화화에 기여한다고 나타났다. 다섯째, 예배 무용 가치의 영역별 차이를 분석 했을 때 교회별, 예배 무용의 경험 유무별, 교회별ㆍ예배 무용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통해 예배 무용의 경험 유무가 그것의 가치인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예배 무용의 발전 방향에 있어서 예배 무용에 가장 적합한 무용은 워십 댄스, 발레, 현대무용 순으로 나타났으며, 예배 무용이 교회 행사 때마다 또는 예배의 일부로서 설교 후나 설교 시작 전에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배 무용에 바라는 내용은 경배와 찬양, 하나님의 메시지, 그리스도에 대하여 라고 응답하여 복음적 내용이 담겨있기를 바라는 사람이 많았으며, 대다수의 신도들이 함께 참여하여 하나님을 경배하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장애 요소로는 예배 무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과 예배 무용 전문 예술인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기독교 안에서의 예배 무용에 대한 신도들의 인식은 대부분 긍정적이었고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배 무용은 복음을 선포할 수 있는 선교의 도구로서, 이를 경험하는 이로 하여금 영적 치유를 경험하게 하며, 일반 대중들에게 있어서도 문화ㆍ예술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보여 진다. 또한 예배 무용의 바람직한 형태를 위해서는 교회의 후원이 필요하고, 다양한 공연으로 예배 무용의 인식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으며, 신앙이 전제된 예배 무용의 내용이 있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성서적 근거를 바탕으로 예배 무용이 정립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신학적 정립과 예배 무용의 개념 정립이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예배 무용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예배 무용의 보급이 보다 활성화되고 더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ⅵ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연구의 제한점 4 Ⅱ. 기독교 문화와 예배 무용 5 A. 기독교 문화 5 1. 기독교 문화의 개념 5 2. 기독교 문화의 영역 11 B. 예배 무용 17 1. 예배 무용의 개념 및 가치 17 2. 예배 무용의 시대적 특성 및 유형 31 가. 구ㆍ신약 시기 31 나. 중세 및 종교 개혁기 37 다. 근대 이후 40 C. 예배 무용의 현황 41 1. 교회 안에서의 무용 41 2. 교회 밖에서의 무용 43 Ⅲ. 연구방법 52 A. 연구 대상 52 B. 측정 도구 52 C. 조사 절차 및 자료처리 54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56 A. 성도들의 일반적 특성 56 B. 예배 무용의 가치에 대한 인식도 61 C. 예배 무용의 발전방향에 대한 인식도 69 Ⅴ. 결론 및 제언 75 참고 문헌 79 부록 85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46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체육학부 무용전공-
dc.title기독교 예배 무용의 가치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Value Awareness of Christian Dance Worship-
dc.format.pageⅷ,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