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주율-
dc.creator이주율-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7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771-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우리는 전시의 춘추전국시대라 불릴 만큼 다양한 예술작품과 전시회의 홍수 속에 살아가고 있다. 수 많은 작가들의 작품을 보면서 ‘과연 저 사람은 왜 저것을 그렸을까?’하는 의문은 ‘나는 왜 인물을 그렸을까?’ 로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되었다. 본 논문은 본인의 인물 표현을 설명하기 앞서 광범위하게 그려져 왔던 기존 인물화들의 동기와 의미를 본인 인물화와 같이 살펴 봄으로서 인물화가 어떻게 작가의 내면을 반영해 냈는지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첫째, 인물화 표현 연구에 있어서 ‘1)회화에서 인물표현이 갖는 의미’에서는 선사시대 벽화부터 동양의 초상화, 서양의 인물화 등의 근, 현대 이전의 인물화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욕구와 소망이 어떻게 그림에 반영 되었는지 살펴 보았다. 둘째 ‘2)자아의 내면이 반영된 인물’에서는 사회가 복잡하고 다양하게 발달함에 따라 보다 적극적으로 표현된 화가들의 내적인 심리상태를 자화상 중심으로 살펴 보고, 그들의 현실과 고뇌를 반영하는 작품을 통해 인간 내면의 깊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인 작품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는 공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 하기 위해 기존 회화에서 보여지는 공간표현을 ‘1)회화에서의 전통 공간’과 ‘2)회화에서의 현대적인 공간’으로 나누고,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동양화의 여백과 그것의 영향을 받은 현대 추상 표현의 공간에 대한 의미도 함께 살펴 보았다. 작품의 전반적인 분석으로 수묵의 자연스러운 농담과 아교 포수 후 채색된 어두운 공간이 어떻게 억압된 환경과 한계 상황을 반영했는지 묵과 어둠의 공간을 통해 살펴 보았고 여인 형상의 단순화와 형태의 왜곡된 표현으로 현대 여성의 내면적 심리상태를 설명해 보고자 했다. 그리고 작품을 하게 된 동기와 표현 방법을 개별 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 보았다. 본인은 작품에 전반적으로 나타난 어둠을 수묵과 채색이라는 두 가지 방법으로 표현 하였다. 음양의 기를 응축하고 내면적 정신성을 추구하는 먹의 발묵 효과를 최대한 살려 현대 사회에서 여성으로서 헤쳐나가야 할 장벽과 두려움, 그리고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나타내어 보고자 했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제제와 억압을 아교 포수 후 강하게 발색하는 검정 분채를 사용하여 인물의 한계 상황을 극대화 하고자 했다. 인물 묘사 방법에 있어서는 여성으로서의 상실감을 나타내기 위해 인물의 여성적 표현을 자제하였고 웅크린 포즈와 길게 왜곡된 형상을 통해 외부로부터 무력한 여인의 심리 상태를 표현 하고자 했다. 본인은 작가들이 회화 작품을 통해 언어로 표현해내기 어려운 심리상태를 화면에서 나타내 줄 수 있다고 생각하며, 본인도 말로써 표현하기 힘든 스스로에 대한 고민과 내면세계를 그림에서 드러내고자 하였다.;Now a day we living in a flood of diverse artworks and exhibitions as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time of exhibition. While watching the numerous artworks, the question ‘Why do they paint that?’ is connected to ‘Why I am painting a portrait?’ in a very natural way. Before I describe my figure’s expression, I studied how portraits reflect the inside of artist by examine a motive and meaning of existing portraits and mine. The first, To the figure’s expression study, I examined How people’s desires and wishes are reflected to the paintings through the Provides modern present age’s figure paintings from the prehistoric age’s wall paintings to the oriental portraits and western figure paintings in ‘1)meaning of figure’s expression in painting’. The second, I examined more positive expression of artist’s mental state on a self portrait as the society was developed to complicated and variously. And I studied the depth of human inside through the work of reflection of their reality and agony. Also for presenting theoretical background of space which takes specific gravity of my work, I divided space expression shown in the existing painting into ‘1) Traditional space in paintings’ and ‘2) Modern space in paintings’, and defined the blank space of oriental painting which implies diverse meaning and the space of the abstract expressionism is influenced by East. For the general analysis of my work, how the space of a natural shade of India ink and dark colored after a varnishing of a glue reflected suppressive circumstances and limited conditions through the space of Indian ink and darkness, and tried to describe a internal mental state of today’s women by simplification of woman’s figure and falsified expression of shape. And I examine the motive of my art works and a way of expression through the individual case study. Darkness which shows up generally in the works was expressed by the two methods. A barrier, a fear and unstable mental state of a woman in modern society was painted by traditional Indian ink which condenses energy of the cosmic dual forces and pursuits the inner sprit. And also for the pressure and the restraint from the out side, the black powder color after gluing was used to maximize the limited condition of the figure To describe the figure, feminine representation was restrained for loss of femininity. And the powerless mental state of a woman from the out side world was painted by crouched pose and stretched shape. Unexpressive mental state can be shown in the artworks, and I’d tried to show the anguish and the inner world of myself which hard to express by verbal descrip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 II. 본론 = 3 A. 인물화 표현연구 = 3 1) 회화에서 인물표현이 갖는 의미 = 3 2) 자아의 내면이 반영된 인물 = 9 B. 공간 표현 연구 = 15 1) 회화에서의 전통적인 공간 = 15 2) 회화에서의 현대적인 공간 = 17 III. 묵을 통한 인물의 공간구성 = 25 1) 묵의 의미와 어둠의 의미 = 25 2) 인물의 단순화를 통한 내면의 표출 = 27 IV. 작품 분석 = 31 V. 결론 = 48 참고문헌 = 50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217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인물화와 공간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figure painting and space-
dc.creator.othernameLee, Choo-youl-
dc.format.pageviii,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