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개인적 기억의 회상

Title
개인적 기억의 회상
Other Titles
Recollection of Personal Memories
Authors
이주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조소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어머니는 우리의 영혼이 지쳤을 때 유일한 안식처이다. 사랑, 희생, 가르침 이런 요소들을 모두 담고 있는 존재가 바로 어머니이며, 어머니는 우리의 둥지이자 우리에게 날개를 달아준 인생의 스승이다. 우리에게 그 둥지가 없다면 우리는 방황하는 영혼에 불과할 것이다. 어머니와 함께 했던 경험은 대부분 누구나 갖고 있는 공통된 정서라 할 수 있는데, 이 시기에 어머니라는 존재는 유년기의 자식에게 커다란 영향을 준다. 어머니와 함께 한 유년시절의 기억은 우리의 영혼을 밝게 해주며, 인간의 감정을 순화시킨다. 유년시절에 대한 재인식은 좌절감과 불안감을 이기고 자기 극복의 의지를 갖게 하며, 삶의 의미를 회복시켜주는 근거가 된다. 본 연구에서 유년시절의 어머니에 대한 기억을 표현하는 것은 삶에서 느껴지는 불안과 난관을 치유할 수 있다는 신념에 기인하며, 과거로의 퇴행이 아니라 현재의 시간 속에서 계속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정신을 확인하고자 하는 의지에서이다. 본 연구자에게 어머니라는 존재는 삶에 있어 희망과 에너지의 원동력이며 인간의 근원적 정신 세계를 인식하게 하고 모성 표현의 가능성을 모색하게 한 매개체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어머니와의 추억을 통해 연구자의 가슴 속에 있는 이미지들을 표현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연구자의 마음을 정화시키고 환기시켜 마음의 평온상태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함께 했던 아름다운 기억을 표현함으로써 어머니를 느끼기 위함이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여성적인 기법을 택하여 모녀간의 관계를 더욱 밀착시켰는데, 어머니와 함께 했던 기억 속으로 몰입하도록 했다.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배경에서 모녀지간의 밀착된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택한 여성적인 기법을 살펴보기 위해 여성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의 작품에 함축된 여성적 감수성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알아본다. 또한 본 연구의 작품표현 중 개인적인 기억을 바탕으로 작업한 작가 니키 드 생팔과 앤 트루잇(Anne Truitt), 루이즈 부르주아(Louise Bourgeois)와 죠셉 코넬(Joseph Cornell)의 작품을 통해 과거의 기억이 어떻게 표현되어지고 부활되었는지에 대해 서술하였다. 표현 내용에서는 이미 표현된 색채는 개인적 체험뿐 아니라 어머니와 함께 했던 따뜻한 기억을 표현하고자 했으며, 여성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어머니와 함께 했던 기억 속에서 어머니를 느끼고 이로서 마음의 평안에 이르고자 했다. 표현 방법에서는 어머니와 함께 한 기억들 중에서 연구자의 내면세계에 가장 깊이 자리하고 있는 십자가와 늘 함께 했던 기도의 기억을 수직으로 표현했으며, 어머니와 함께 했던 일상의 기억은 여성적 감성이 담긴 기법으로 표현했다. 또한 다양한 색채를 사용함으로써 어머니의 존재감에서 느껴지는 따뜻함을 표현했고, 이러한 기법과 색채를 통해 모녀간의 친밀함과 어머니에 대한 갈망을 표현했다. 작품 분석에서는 7점의 작품을 대상으로 개인적 기억을 근거로 작업 동기를 밝혔고, 이론적 배경과 표현 내용 및 방법에 근거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백색의 수직적 구조와 그것에 더해진 빛을 어머니와 함께 했던 기도의 기억으로 연결시켰으며, 연구자가 어머니에 대해 느꼈던 숭고하고 애잔한 감정을 어머니가 의지하셨던 천상의 세계에서 평화롭기를 염원하는 마음으로 표현했다. 또한 다양한 색채를 사용함으로써 동화적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도록 했으며, 누구나 겪는 유년시절의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그 속에 자연스럽게 빠져들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여성적 기법을 통해 모녀간의 관계가 밀착되어 있음을 표현하였고 그리운 어머니에 대한 추억에서 위안을 얻어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자의 마음을 표현했다.;A unique place for me to rest at the time of my soul being fatigued is my mother. Just she contains all the elements such as love, sacrifice and teaching. She is my nest and master of life attaching wings to me. Without the nest I will be but a wandering soul. Most of the experience with her can be said to be emotion common to anybody. Her existence in this period has a great effect on her children in their infancy. The memory of my infancy when I was with my mother brightens my soul and purifies human emotion. Based on recognizing my infancy again I overcome a sense of frustration and a sense of uneasiness, have a will to overcome myself, and restore the meaning of my life. Expressing the memory of my infancy about my mother in this study is due to the belief that it can heal uneasiness and difficulty felt in my life. It does not mean regression to the past but a will to confirm the spirit continuing to operate in the present time. To the researcher the existence of a mother is the motive power to provide hope and energy to my life and medium that has me recognize human fundamental spiritual world and seek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matern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xpressing the images in the bosom of the researcher through the reminiscence with her mother. It aims at purifying and awakening her mind and having it reach calmness. Its purpose is to feel my mother by expressing the beautiful memory with her. I made closer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 and a daughter by choosing a woman technique to express it, and was absorbed in the memory with her. The study investigated feminity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xplored how woman sensibility was expressed in Niki de Saint-Phalle's work. It also described how past memories were expressed and revived through the works of the artists called Niki de Saint-Phalle and Ann Truitt, Louise Bourgeois and Joseph Cornell who worked based on their personal memories. For the substance of expression, I have already expressed colors not only for personal experience but also for warm memories with my mother. I tried to feel her in the memory with her by using a woman technique and reach mental peace by doing so. A method of expression was to express as the vertical of a cross the memories of a cross and the prayers the researcher always said with her mother, which established themselves most deeply in her inner world among the memories with her mother, and express daily memories with her mother in a woman technique. Also, I expressed warmth felt in a sense of existence for her mother by using various colors, and expressed the intimacy between a mother and a daughter and a thirst for a mother through a woman technique. In an analysis of work I clarified that the working motive for seven pieces of works was based on personal memories and analyzed it based on their theoretical background and substance and method of exp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 connected white vertical structure and light added to it with the memory of the prayers I said with my mother, and expressed the sublime and pathetic emotion the researcher felt for her mother as her heart's desire that her mother would be peaceful in the heavenly world that she had relied on. Also, I could create an atmosphere of fairy tale by using various colors, make anybody homesick for his infancy experienced by him, and enable him to indulge naturally in it. Also, the researcher express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 and a daughter through a woman technique and expressed her heart of overcoming reality by taking comfort from the reminiscence of her mother whom she mi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